$\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lanching에 의한 햇순나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etsun Vegetables by Blanch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5, 2012년, pp.647 - 654  

김민하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혜림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로 blanching 후 섭취되고 있는 참죽, 오가피, 두릅, 엄나무 햇순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햇순나물의 수분함량은 blanching 후 증가되었으나 조회분, 조지방, 조섬유 및 조단백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참죽이 1,518.16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햇순나물에서 blanching에 의해 환원당이 감소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햇순나물에서는 트립토판을 제외한 모든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고, blanching 후 총 아미노산 함량이 모두 감소되었다. 유기산 함량의 경우 엄나무에서는 succinic acid가, 그 외 햇순나물에서는 tartaric acid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blanching에 의해 그 함량이 모두 감소되었다. 햇순나물의 비타민 C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모두 감소되었으며 감소량은 29~88%로 영양성분 중 가장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모든 햇순나물에서 칼륨과 칼슘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blanching에 의한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햇순나물은 비타민 C와 무기질 등의 함량이 높은 건강식품이나 blanching에 의해 대부분의 영양성분의 감소를 보여, 향후 본래의 영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blanching 조건 설정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w and blanched $Haetsun$ vegetables. The proximate composition, reducing sugar, free amino acid, organic acid, vitamin C and mineral composition were compared between raw and blanched $Haetsun$ vegeta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로 blanching 후 섭취되고 있는 참죽, 오가피, 두릅, 엄나무 햇순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햇순나물의 수분함량은 blanching 후 증가되었으나 조회분, 조지방, 조섬유 및 조단백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었다.

가설 설정

  • 2)ND: Not detected.
  • 2)Values in the sam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햇순나물은 무엇인가? 햇순나물은 그 해에 새로 나고 자란 여린 줄기나 가지를 말하며 흔히 기능성 나무순채라고도 하며, 엄나무, 참죽나무, 오가피, 두릅, 화살나무, 다래, 뽕나무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햇순나물에는 폴리페놀, 사포닌, 알칼로이드, 강심배당체, 정유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비롯하여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한약재 및 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2,3).
햇순나물 중 엄나무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이들 햇순나물에는 폴리페놀, 사포닌, 알칼로이드, 강심배당체, 정유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비롯하여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한약재 및 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2,3). 엄나무(Kalopanax pictus)는 항진균 작용, 소염, 살충,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면역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보고되었다(4). 참죽(Cedrela sinensis)은 특유의 향이 있어 향춘수라고도 하며, 만성위장질환, 지혈작용 등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햇순나물은 대표적으로 무엇이 있는가? 햇순나물은 그 해에 새로 나고 자란 여린 줄기나 가지를 말하며 흔히 기능성 나무순채라고도 하며, 엄나무, 참죽나무, 오가피, 두릅, 화살나무, 다래, 뽕나무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햇순나물에는 폴리페놀, 사포닌, 알칼로이드, 강심배당체, 정유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비롯하여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한약재 및 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uh EJ, Kim JW. 2010.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to spending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Human Ecology 19: 883-896. 

  2. Lee EB, Li DW, Hyun JE, Kim IH, Whang WK. 200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Kalopanax pictus bark and its fractions. J Ethaophamacol 77: 197-201. 

  3. Shin HJ, Jeon YJ, Shin HJ.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Cedrela sinensis leave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164-168. 

  4. Jun DH, Lee JT, Cheon SJ, Lee CE, Kim TH, Lee DH. 2009. Polyphenol and anti-oxidant effect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leaf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2: 343-348. 

  5. Park JC, Yu YB, Lee JH, Kim NJ. 1994.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f the components from some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671-674. 

  6. Park JC, Yu YB, Lee JH, Kim NJ. 1994.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dible plants in Korea (V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116-119. 

  7. Park SR, Yang SW, Ahn DR, Yang JH, Cho CH, Kim HY, Lee JH, Park JS, Kim DK. 2010 Antioxidant constituents of the heartwood of Cedrela sinensis A. Juss. Korean J Pharmacog 41: 245-249. 

  8. Kim IH, Kim SH, Kwon JH. 2008.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Yakju added with Acanthopanacis cortex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21-527. 

  9. Kim SK, Kim YG, Lee MK, Han JS, Lee JH, Lee HY. 2000.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y according to extracting solvents of four Acanthopanax root bark. Korea J Med Crop Sci 8: 21-28. 

  10. Choi MS, Do DH, Choi DJ. 2002. The effect of mixing beverage with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root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the diabetic and hypertensive elderly. J Korean Soc Food Sci Nutr 15: 165-172. 

  11. Cho EJ. 2000.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Korean J Dietary Culture 15: 59-68. 

  12. Oboh G. 2005. Effect of blanch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tropical green leafy vegetables. LWT 38: 513-517. 

  13. Turkmen N, Sari F, Velioglu YS. 2005. The effect of cooking methods on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green vegetables. Food Chem 93: 713-718. 

  14. Vina SZ, Olivera DF, Marani CM, Ferreyra RM, Mugridge A, Chaves AR. 2007. Quality of brussels sprouts (Brassica oleracea L. gemmifera DC) as affected by blanching method. J Food Eng 80: 218-225. 

  15. Lee SJ, Kim JM, Kwon OJ, Jeong YJ, Woo SC, Yoon KY. 2011. Change on quality of Acanthopanacis cortex and Aralia elata shoots by blanching conditions and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8: 302-309. 

  16. Kim MH, Park SY, Jeong YJ, Yoon KY. 2012. Sensory proterties of Kalopanax pictus and Cedrela sinesis shoots at different blanching conditions and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in press.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Food Labels. 7th ed. 

  18. Han GJ, Shin DS, Jang MS. 2008.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n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80-685. 

  19. Lee YS. 2008.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different parts of Ailanthus altissima. Korean J Food Preserv 15: 261-268. 

  20. Shahidi F, Rubin LJ, D'Souza LA. 1986. Meat flavor volatiles-a review of composition, techniques of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Crit Rev Food Sci Nutr 24: 141-243. 

  21. Choi HD, Koh YJ, Kim YS, Choi IW, Cha DS.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andelion (Thraxacum officinale) leaves by roasting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15-520. 

  22. Kim BS, Choi OJ, Shim KH. 2005. Properties of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according to picking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81-686. 

  23. Chang JS, Lee BS, Kim YG. 1992. Changes in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and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ment conditions and of anae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315-319. 

  24. Park JH, Han SH, Shin MK, Park KH, Lim KC. 2002. Effect of hypertension falling of functional GABA green tea. Korea J Med Crop Sci 10: 37-40. 

  25. Evans RH, van Soestbergen W, Ristow KA. 1983. Evaluation of apple juice authenticity by organic aicd analysis. J Assoc Off Anal Chem 66: 1517-1520. 

  26. Lee JJ, Choo MH, Lee MY. 2007.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Pimpinella brachycarp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27-331. 

  27. Jeong CH, Nam EK, Shi KH. 2005.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Erigeron ann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857-861. 

  28. Volden J, Borge GIA, Hansen M, Wicklund T, Bengtsso GB. 2009. Processing (blanching, boiling steaming) effects on the content of glucosinolates and antioxidant-related parameters in cauliflower (Brassica oleracea L. ssp. botrytis). LWT 42: 63-73. 

  29. Hong JJ, Ahn TH. 2005. Changes in phytochemical compounds and hazardous factors of spinach by blanc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68-273. 

  30. Jeong JC, Ok HC, Hur OS, Kim CG. 2005. Food value and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garlic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Korea. Korean J Hort Sci Technol 23: 164-169. 

  31. Selman JD. 1993. Vitamin retention during blanching of vegetables. Food Chem 49: 137-147. 

  32. Lim SJ. 1992. Retention of ascorbic acid in vegetables as influenced by various blanch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8: 411-419. 

  33. Ahn MS. 1999. A study on the changes in physicoch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by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s. Korean J Dietary Culture 14: 177-188. 

  34. Burns JK, Pressey R. 1987. $Ca^{{+}{+}}$ in cell walls of ripening tomatao and peach. J Am Soc Hort Sci 112: 783-7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