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nascus pilosus로 발효시킨 뽕잎차의 품질특성과 항산화능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f Tea Fermented by Monascus pilos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5, 2012년, pp.706 - 713  

이상일 (계명문화대학 식품영양조리학부) ,  이예경 (명지대학교 생명과학정보학부) ,  최종근 (명지대학교 생명과학정보학부) ,  양승환 (명지대학교 생명과학정보학부) ,  이인애 (명지대학교 생명과학정보학부) ,  서주원 (명지대학교 생명과학정보학부) ,  김순동 (명지대학교 생명과학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ascus$ $pilosus$에 의한 발효뽕잎차(FMM: fermented mulberry leaves tea)의 monacolin K 함량, citrinin의 유무, 관능적 품질, total polyphenol 및 total flavonoid의 함량, ROS 생성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및 ROS 소거계 효소류의 활성을 건조뽕잎(UFM: unfermented mulberry leaves)과 비교하였다. FMM은 UFM에 비하여 색상 기호도 및 종합적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FMM에 함유된 total monacolin K 함량은 0.056%(dry basis)로 활성형이 83.93%를 차지하였으며 citrinin은 검출되지 않았다.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의 함량 모두 UFM에서 현저히 높았다. XO 저해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높았으며 UFM이 FMM에 비하여 높았다. 전자공여능과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의 경우도 UFM과 FMM 모두에서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UFM에서 FMM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Ferrous iron chelating 활성의 경우에도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그 증가의 정도는 UFM이 FMM에 비해 더욱 강하게 나타났으나, 4.0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한편 polyphenol 또는 flavonoid 함량 당의 XO 저해활성과 SOD 유사활성 및 FRAP는 FMM이 UFM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뽕잎을 $M.$ $pilosus$로 발효시킨 FMM은 홍국의 기능성을 가짐과 더불어 상당히 강한 항산화능과 기호성을 관찰할 수 있어 ROS로 야기될 수 있는 여러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monacolin K and citrinin, along with the sensory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f tea fermented by $Monascus$ $pilsous$ (FMM). Total monacolin K content of FMM was 0.058%, but citrinin was not det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Monascus pilosus에 의한 발효뽕잎차(FMM: fermented mulberry leaves tea)의 monacolin K 함량, citrinin의 유무, 관능적 품질, total polyphenol 및 total flavonoid의 함량, ROS 생성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및 ROS 소거계 효소류의 활성을 건조뽕잎(UFM: unfermented mulberry leaves)과 비교하였다.
  • TP(total polyphenol), TF(total flavonoid) 함량 및 항산화능 분석시료의 추출은 UFM과 FMM 각 1~5 g에 70% ethanol을 가하여 100 mL로 채운 후 4℃에서 5일간 방치하여 추출하였으며, 여과지(Advantec 5B, Toyo Roshi Kaisha, Tokyo, Japan)로 여과한 여액을 분석용 시액으로 사용하였다.
  • WSS(water soluble substance) 및 ESS(ethanol soluble substance)의 함량은 UFM 및 FMM 각 1 g에 증류수 또는 70% ethanol을 가하여 100 mL로 채워 10분간 끓인 후 최종적으로 100 mL로 정용하고 여과한 여액 50 mL을 취하여 건조 중량을 측정하였다.
  • 뽕잎의 발효는 Fig. 1에서와 같이 생 뽕잎을 1×2 cm 크기로 자른 후 40℃에서 2일간 건조시켰으며(unfermented mulberry leaves: UFM), 발효는 건조시킨 뽕잎에 물을 가하여 총 수분 함량이 29%가 되게 조절한 후 2 L들이 polypropylene bag에 500 g씩 넣고 air filter를 부착하여 121℃에서 90분간 살균하였다.
  • 우린 차의 색상은 차 추출기(Damian Tea Co., Anyang, Korea)에 UFM 및 FMM 각 1 g씩을 넣고 끓는 물 100 mL를 가하여 3분간 우려낸 차를 색차계(Chromameter CR-200, Minolta, Tokyo, Japan)로 밝기(L*: lightness), 적색도(a*: redness), 황색도(b*: yellowness) 및 hue angle(H°)을 측정하였다.
  • 즉, UFM과 FMM 각 2 g씩을 취하여 커피여과지(Fine filters, Sungilunders Co., Gyeonggi-do, Korea)에 담아 차 추출기(Damian Tea Co.)에 넣은 후 끓는 물 200 mL로 채운 후 3분간 우려 우린차로 헹궈 낸 백색 도자기 찻잔에 30 mL씩 부어 제공(70±2℃)하였다.
  • 차의 관능검사는 (사)우리차문화연합회 회원 25명으로 구성된 관능요원에 의하여 단맛, 신맛, 떫은맛, 구수한맛은 강도로 아주 낮다(1점), 낮다(2점), 보통이다(3점), 강하다(4점), 아주 강하다(5점)로 나타내었으며, 냄새기호도, 색상기호도 및 종합적 기호도는 아주 싫다(1점), 싫다(2점), 보통이다(3점), 좋다(4점), 아주 좋다(5점)로 평가하였다. 패널은 전통차의 이론과 실기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40~60세의 여성으로 매주 2시간씩 4주간 상기의 묘사어를 중심으로 강도와 기호도에 대하여 훈련을 실시한 후 본 평가를 행하였다.
  • 최근 본 연구자들은 Monascus속 미생물을 액체배양 하여 얻은 균사체의 ethanol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흰쥐에서의 항비만 효과(25)와 비만으로 손상된 간의 기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관찰한 바 있으며(26) 본 연구에서는 M. pilosus를 이용한 발효 뽕잎차의 관능적 품질특성과 monacolin K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비발효 뽕잎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 차의 관능검사는 (사)우리차문화연합회 회원 25명으로 구성된 관능요원에 의하여 단맛, 신맛, 떫은맛, 구수한맛은 강도로 아주 낮다(1점), 낮다(2점), 보통이다(3점), 강하다(4점), 아주 강하다(5점)로 나타내었으며, 냄새기호도, 색상기호도 및 종합적 기호도는 아주 싫다(1점), 싫다(2점), 보통이다(3점), 좋다(4점), 아주 좋다(5점)로 평가하였다. 패널은 전통차의 이론과 실기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40~60세의 여성으로 매주 2시간씩 4주간 상기의 묘사어를 중심으로 강도와 기호도에 대하여 훈련을 실시한 후 본 평가를 행하였다. 즉, UFM과 FMM 각 2 g씩을 취하여 커피여과지(Fine filters, Sungilunders Co.

대상 데이터

  • M. pilosus 배양액은 glucose(5%), peptone(2%), KH2PO4(0.8%), MgSO4·7H2O(0.05%), CH3COOK(0.2%), NaCl(0.1%)을 함유하는 배지에 균주를 접종하여 150 rpm의 진탕배양기에서 10일간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 실험용 뽕잎(M. alba leaves)은 2011년 9월에 채취한 것으로 새아침영농조합법인(경북 상주시)에서 제공받았으며, 균주는 한국종균협회에서 분양받은 M. pilosus IFO 4480을 사용하였다.
  • 1% trifluoroacetic acid(35/65), temperature: 40℃]로 분석하였다. 표준용액은 citrinin(Sigma-Aldrich) methanol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표준품의 검량선에 의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 , Palo Alto, CA, USA)로 gradient를 행하였다. 표준품 monacolin K(lovastatin lactone form,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는 75% ethanol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column은 Waters 120 ODS-AP(5 μm, 4.

데이터처리

  • 분석은 3회 반복으로 실험하여 평균치와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관능검사는 관능요원 25명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유의성 검증은 version 12의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Inc.
  • 유의성 검증은 version 12의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 IL, USA) software package program을 이용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및 t-test를 행하였다.

이론/모형

  • Blois(33)의 방법에 따라 시료추출액 0.2 mL에 0.4 mM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용액 0.8 mL를 가하여 10분간 방치한 다음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 electron donating ability(%)=[1-(시료흡광도/ 대조구흡광도)]×100에 의하여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 Dinis 등(36)의 방법에 따라 시료추출액 1 mL에 3.7 mL의 증류수를 가한 후 2 mM의 ferrous chloride 0.1 mL와 5 mM의 ferrozine 0.2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켜 562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활성도(%)는 [1-[시료 OD/대조구 OD]×100]으로 계산하였다.
  • Martin 등(34)의 방법에 따라 시료추출액 0.2 mL에 50 mM tris-HCl buffer(pH 7.4) 용액 3 mL와 5 mM hematoxylin 60 μL를 가하고 25℃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 SOD 유사활성(%)=100-[(대조구 OD-시료 OD)/(대조구 OD)×0.5]×100]에 의하여 활성을 산출하였다.
  • Reinhard와 Zimmerli(28)의 방법에 따라 HPLC[(Series 1200, Agilent Technologies Co., Ltd.), column: Waters 120 ODS-AP(5 μm, 4.6×150 mm), detector: UV(excitation wavelengths 335 nm, measurement wavelengths 502 nm), flow rate: 1.0 mL/min, mobile phase: CH3CN-0.1% trifluoroacetic acid(35/65), temperature: 40℃]로 분석하였다.
  • Roman과 Vladimir(27)의 방법에 따라 HPLC(Series 1200, Agilent Technologies Co., Ltd., Palo Alto, CA, USA)로 gradient를 행하였다. 표준품 monacolin K(lovastatin lactone form, Sigma-Aldrich Co.
  • )의 검량 선에 의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Total flavonoid 함량은 Meda 등(30)의 방법에 따라 시료추출액 1 mL에 2% aluminum chloride 1 mL와 50% ethanol 1 m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품 naringin(Sigma-Aldrich Co.)의 검량선에 의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 Total polyphenol 함량은 Minussi 등(29)의 방법에 따라 시료추출액 100 μL에 2% sodium carbonate 2 mL와 50% Folin-Ciocalteu reagent 100 μL를 가한 후 7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gallic acid(Sigma-Aldrich Co.)의 검량 선에 의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 XO(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우유로부터 정제한 효소원(31)을 이용하여 Stirpe와 Della Corte(32)의 방법에 따라 효소가 기질인 xanthine을 uric acid로의 전환을 억제하는 정도를 저해율 %로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onacolin K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한편, Monascus속 곰팡이는 전통적으로 홍국의 제조에 이용되어 왔으며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식품의 보존과 질병치료에 사용하고(14), cholesterol 생합성을 저해하는 monacolin K, mevinolin 및 lovastatin과 같은 statin계 성분을 생합성 함으로써 동맥경화의 예방에 사용하며(15) 골 형성 촉진 및 골절률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6). 특히, monacolin K는 항진균, 항당뇨, 항고혈압, 항콜레스테롤 및 항암 등의 효과가 있으며(17-21) rubropuntain, monascorubin, monascin, ankaflavin, rubropunctamine 및 monascorubramine(14,22) 등의 색소 성분은 항균 및 항암효과가 알려져 있다(23,24).
뽕나무의 뽕잎은 여타의 천연소재들에 비해 어떤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는가? 뽕나무(Morus alba)는 예로부터 잎, 열매, 껍질 및 뿌리 모두를 식·의약 소재로 사용해 왔으며, 특히 수확량이 많은 잎은 당뇨병과 뇌졸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또한 뽕잎은 여타의 천연소재들에 비하여 높은 양의 γaminobutyric acid와 rutin이 함유되어 있어 노인성 치매와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2,3), 혈압상승을 억제할뿐만 아니라 식욕조절을 통한 항비만 효과와 항암, 항산화, 항염 및 항고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8). 이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때문에 뽕잎을 다각적으로 활용코자하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9-11).
높은 양의 γaminobutyric acid와 rutin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뽕나무(Morus alba)는 예로부터 잎, 열매, 껍질 및 뿌리 모두를 식·의약 소재로 사용해 왔으며, 특히 수확량이 많은 잎은 당뇨병과 뇌졸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또한 뽕잎은 여타의 천연소재들에 비하여 높은 양의 γaminobutyric acid와 rutin이 함유되어 있어 노인성 치매와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2,3), 혈압상승을 억제할뿐만 아니라 식욕조절을 통한 항비만 효과와 항암, 항산화, 항염 및 항고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8). 이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때문에 뽕잎을 다각적으로 활용코자하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Kim HB, Lee YW, Lee WJ, Moon JY. 2001. Physiological effec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wine with chongilppong. Korean J Seris Sci 43: 16-20. 

  2. Lee IS, Lee SW, Lee IZ. 2003. Effect of tissue cultured ginseng on blood glucose and lipid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80-285. 

  3. Chae JY, Lee JY, Hoang IS, Whangbo D, Choi PW, Lee WC, Kim JW, Kim SY, Choi SW, Rhee SJ. 2003.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ves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5-21. 

  4. Omori M, Yano T, Okamoto J, Tsushida T, Murai T, Higuchi M. 1987. Effect of anaerobically treated tea (Gabaron tea) on blood pressur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Nippon Nogeikagaku Kaishi 61: 1449-1451. 

  5. Tews JK. 1981. Dietary GABA decreases body weight of genetically obese mice. Life Sci 29: 2535-2542. 

  6. Bea MJ, Ye EJ.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for anticancer effects of manufactured fermented mulberry leaf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96-804. 

  7. Cho YJ, An BJ. 2008.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Cheongmoknosang (Morus alba L.)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44-48. 

  8. Kim SY, Lee WC, Kim HB, Kim AJ, Kim SK. 1998.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in cholesterol induced hyperlipidemia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17-1222. 

  9. Hansawasdi C, Kawabata J. 2006.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mulberry (Morus alba) leaves on Caco-2. Fitoterapia 77: 568-573. 

  10. Lim MJ, Bae YI, Jeong CH, Cho BR, Choi JS. 2007. Phytochemical components of mulberry leaf tea by different roasting processes. J Agric Life Sci 41: 17-24. 

  11. Kim DC, In MJ, Chae HJ. 2010. Preparation of mulberry leaves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Appl Biol Chem 53: 56-59. 

  12. Bae MJ, Ye EJ. 2010. Analysis of active compon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manufacturing of fermented mulberry leaf (Morus alba)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59-863. 

  13. Kang OJ. 2010. Production of fermented tea with Rhodotorula yeast and comparison of its antioxidant effects to those of unfermented t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22-427. 

  14. Ma JY, Li Y, Ye Q, Li J, Hua Y, Ju D, Zhang D, Cooper R, Chang M. 2000. Constituents of red yeast rice, a traditional Chinese food and medicine. J Agric Food Chem 48: 220-5225. 

  15. Endo A. 1980. Monacolin K, a new hypocholesterolemic agent that specifically inhibits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J Antibiot (Tokyo) 33: 334-336. 

  16. Choi MJ, Yu TS. 2004. Effects of red-yeast-rice supplement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overiectomized rats. Korean J Nutr 37: 423-430. 

  17. Inoue K, Mukaiyama Y, Tsuji K, Tanabe N, Tarui S, Abe S, Takahashi M. 1995. Effect of beni-koji extracts on blood pressure in primary hypertensive volunteers. Jpn J Nutr 53: 263-271. 

  18. Martinkova L, Patakova-Juzlova P, Krent V, Kucerova Z, Havlicek V, Olsovsky P, Hovorka O, Rihova B, Vesely D, Vesela D, Ulrichova J, Prikrylova V. 1999. Biological activities of oligoketide pigments of Monascus purpreus. Food Addit Contam 16: 15-24. 

  19. Yasukawa K, Takahashi M, Yamanouchi S, Takido M. 1996. Inhibitory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Monascus pigment on tumor promotion in two-stage carcinogenesis in mouse skin. Oncology 53: 247-249. 

  20. Kang MR, Kim JY, Hyun YJ, Kim HJ, Yeo HY, Song YD, Lee JH. 2008. The effect of red-yeast-rice supplement on serum lipid profile and glucose control in subjects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or impaired glucose tolerance. Korean J Nutr 41: 31-40. 

  21. Kim EY, Rhyu MR. 200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onascus koj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76-81. 

  22. Endo A. 1979. Monacolin-K, a new hypocholesterolemic agent produced by Monascus species. J Antibiot (Tokyo) 32: 852-854. 

  23. Birch AJ, Cassera A, Fitton P, Holker JSE, Smith H, Tompson GA, Whalley WB. 1962. Studies in relation to biosynthesis. Part XXX. Rotiorin, monascin and rubropunctatin. J Chem Soc 3583-3587. 

  24. Tsuji K, Ichikawa T, Tanabe N, Obata H, Abe S, Tarui S, Nakagawa Y. 1992. Extraction of hypotensive substance from wheat benzi-koji.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9: 913-918. 

  25. Lee SI, Kim JW, Lee YK, Yang SH, Lee IA, Suh JW, Kim SD. 2011. Anti-obesity effect of Monascus pilosus mycelial extract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rats. J Appl Biol Chem 54: 197-205. 

  26. Lee SI, Kim JW, Lee YK, Yang SH, Lee IA, Suh JW, Kim SD. 2011. Protective effect of Monascus pilosus mycelial extract on hepatic damage in high-fat diet induced-obese rats. J Appl Biol Chem 54: 206-213. 

  27. Roman K, Vladimir K. 1993. Determination of lovastatin (mevinolin) and mevinolinic acid in fermentation liquids. J Chromatogr 630: 415-417. 

  28. Reinhard H, Zimmerli B. 1999.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ic behavior of the mycotoxins citrinin and ochratoxin A. J Chromatogr A 862: 147-159. 

  29. Minussi RC, Rossi M, Bologna L, Cordi L, Rotilio D, Pastore GM, Duran N. 2003. Phenolic compounds and total antioxidant potential of commercial wines. Food Chem 82: 409-416. 

  30. Meda A, Lamien CE, Romito M, Millogo J, Nacoulma OG. 2005. Determination of the total phenolic, flavonoid and proline contents in burkina fasan honey, as well as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od Chem 91: 571-577. 

  31. Ozer N, Muftuoglu M, Ataman D, Ercan A, Ogus IH. 1999. Simple, high-yield purification of xanthine oxidase from bovine milk. J Biochem Biophys Methods 39: 153-159. 

  32. Stirpe F, Della Corte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244: 3855-3863. 

  3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4. Martin JP, Dailey M, Sugarman E. 1987. Negative and positive assays of superoxide dismutase based on hematoxylin autoxidation. Arch Biochem Biophys 255: 329-336. 

  3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36. Dinis TCP, Madeira VMC, Almeida LM. 1994. Action of phenolic derivatives (acetaminophen, salicylate, and 5-amino salicylate) as inhibitors of membrane lipid peroxidation and as peroxyl radical scavengers. Arch Biochem Biophys 315: 161-169. 

  37. Juzlova P, Martinkova L, Kren V. 1996. Secondary metabolites of the fungus Monascus: a review. J Ind Microbiol 16: 163-170. 

  38. Manzoni M, Rollini M. 2002. Biosynthesis and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statins by filamentous fungi and application of these cholesterol-lowering drugs. Appl Microbiol Biotechnol 58: 555-564. 

  39. Thomson PD, Clarkson P, Karas RH. 2003. Statin-associated myopathy. JAMA 289: 1681-1690. 

  40. Pyo YH. 2006.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mevinolin from the soybean fermented with Monascus sp.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56-261. 

  41. Wang JJ, Lee CL, Pan TM. 2004. Modified mutation method for screening low citrinin-producing strains of Monascus purpureus on rice culture. J Agric Food Chem 52: 6977-6982. 

  42. Chen F, Hu X. 2005. Study on red fermented rice with high concentration of monacolin K and low concentration of citrinin. Int J Food Microbiol 103: 331-337. 

  43. Blanc PJ, Loret MO, Goma G. 1995. Production of citrinin by various species of Monascus. Biotechnol Lett 17: 291-294. 

  44. Eisenbrand G. 2006. Toxicological evaluation of red mould rice. Mol Nutr Food Res 50: 322-327. 

  45. Ngure FM, Wanyoko JK, Symon M, Mahungu SM, Shitandi AA. 2009. Catechins depletion patterns in relation to theaflavin and thearubigins formation. Food Chem 115: 8-14. 

  46. Zuo YG, Chen H, Deng YW. 2002.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techins, caffeine and gallic acids in green, Oolong, black and pu-erh teas using HPLC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 Talanta 57: 307-316. 

  47. Michiharu A, Naohiro T, Yoshito I, Chihiro T, Takuji I, Kiyohiko N. 2008. Characteristic fungi observed in the fermentation process of Puer tea. J Food Microbiol 124: 199-204. 

  48. Arakawa H, Maeda M, Okubo S, Shimamura T. 2004. Role of hydrogen peroxide in bactericidal action of catechin. Biol Pharm Bull 27: 277-281. 

  49. Park GY, Lee SJ, Lim JG. 1997.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cytochrome P450, xanthine oxidase activities in liver and liver damage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901-907. 

  50. Parks DA, Granger DN. 1986. Xanthine oxidase: biochemistry, distribution and physiology. Acta Physiol Scand Suppl 548: 87-99. 

  51. Roy R, McCord JM. 1982. Ischemia-induced conversion of xanthine dehydrogenase to xanthine oxidase. Fed Proc 41: 767-773. 

  52. Ham YK, Kim SW. 2004. Protective effects of plant extract on the hepatocytes of rat treated with carbon tetrachlorid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46-1251. 

  53. Hashim MS, Lincy S, Remya V, Teena M, Anila L. 2005. Effect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Coriandrum sativum on $H_2O_2$ -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lymphocytes. Food Chem 92: 653-660. 

  54. Lee F. 1991. Developmental aspects of experimental pulmonary oxygen toxicity. Free Rad Biol 11: 463-494. 

  55. Hayashi T, Sawa K, Kawasaki M, Arisawa M, Shimizu M, Morita N. 1988. Inhibition of cow's milk xanthine oxidase by flavonoids. J Nat Prod 51: 345-348. 

  56. Hatano T, Yasuhara T, Yoshihara R, Ikegami Y, Matsuda M, Yazaki K, Agata I, Nishibe S, Noro T, Yoshizaki M. 1991. Inhibitory effects of galloylated flavonoids on xanthine oxidase. Plant Med 57: 83-84. 

  57. Cho YJ, Chun SS, Choi C. 1993. Inhibitory effect of condensed tannins isolated from Korean green tea against xanthine oxidase. J Korean Soc Food Nutr 22: 418-422. 

  58. Lin CM, Chen CS, Chen CT, Liang YC, Lin JK. 2002. Molecular modeling of flavonoids that inhibits xanthine oxidase. Biochem Biophys Res Commun 294: 167-172. 

  59. Van Hoorn DE, Nijveldt RJ, Van Leeuwen PA, Hofman Z, M'Rabet L, De Bont DB, Van Norren K. 2002. Accurate prediction of xanthine oxidase inhibition based on the structure of flavonoids. Eur J Pharmacol 451: 111-118. 

  60. Da Silva SL, Da Silva A, Honorio KM, Marangoni S, Toyama MH, Da Silva ABF. 2004. The influence of electronic, steric and hydrophobic properties of flavonoid compounds in the inhibition of the xanthine oxidase. J Mol Struct (Theochem) 684: 1-7. 

  61. Choi CH, Song ES, Kim SJ, Kang MH.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16-1220. 

  62. Torel J, Gillard J, Gillard P.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 25: 383-385. 

  63. Sang S, Tian S, Jhoo JW, Wang H, Stark RE, Rosen RT, Yang CS, Ho CT. 2003. Chemical studies of the antioxidant mechanism of theaflavins. Radical reaction products of theaflavin 3,3'-digallate with hydrogen peroxide. Tetrahedron Lett 44: 5583-5587. 

  64.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 In Post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 Material in the Tropics. Uritani I, Garcia VV, Mendoza EM, ed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Japan. p 241-251. 

  65. Holasova M, Fiedlerova V, Smrcinova H, Orsak M, Lachman J, Vavreinova S. 2002. Buckwheat the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in functional foods. Food Res Int 35: 207-211. 

  66. Zhang L, Ma ZZ, Che YY, Li N, Tu PF. 2010. Protective effect of a new amide compound from Pu-erh tea on huma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 against cytotoxicity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Fitoterapia 82: 267-271. 

  67. Choi SW, Kang WW, Chung SK, Cheon SH.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flavonoids in persimmon leaves. Food Sci Biotechnol 5: 119-123. 

  68. Shin SR, Hong JY, Nam HS, Yoon KY, Kim KS. 2006.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of Korean herbal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7-191. 

  69. Hsu CL, Chen W, Weng YM, Tseng CY. 2003.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m flours a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Food Chem 83: 85-92. 

  70. Elmastas M, Gulcin I, Isildak O, Kufrevioglu OI, Ibaoglu K, Aboul-Enein HY. 2006.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y of bay leaf extracts. J Iran Chem Soc 3: 258-2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