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직문화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5, 2012년, pp.2054 - 2062  

차윤석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직문화(organizational culture)의 조직성과에 대한 유효성은 지난 수십 년간 많은 연구들에서 지지되어 왔다. 우수기업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화적 특성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Peters & Waterman의 연구 이후,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많은 연구들에서 조직문화는 조직의 효과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실증되고 있다. 조직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만족이나 몰입 등의 개인 수준의 조직유효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성과뿐만 아니라 조직 수준의 주관적 성과 및 재무적 성과에도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조직문화는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는 가치 있는 자원일 뿐만 아니라 희소하며, 다른 조직이 모방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직의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직문화 중 문화의 특성, 강도 및 조직문화의 내적 일관성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이론적 명제를 제시하고 향후 실증연구를 위한 토대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effectiveness has been supported by several researchers. Since Peters & Waterman acclaimed that the excellent companies have their unique culture typ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culture have been practically supported. Organization culture is closel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와 성과간의 관계를 현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닌 문화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연구하고자 하는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수준을 고려하여 명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조직문화와 성과간의 관계가 일치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한 이전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중점을 설정하였다.
  • 셋째, 상황적합적 접근법으로 조직문화 특성과 상황요인들 간의 적합성이 조직성과를 좌우한다는 주장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 나타난 이러한 세 접근법의 특성과 한계를 간략히 고찰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연구방법을 제안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특성론적 접근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관리적인 측면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조직의 여러 특성 중 특정 차원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환경변화에 뒤처지지 않고 살아남기 위해서는 조직은 끊임없이 변화와 혁신을 지속해야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외부 환경에 대한 적응과 변화, 혁신 개념을 포괄하는 문화 차원의 범주에서 문화와 성과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정 차원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문화와 성과간의 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는 최근에 경영학에서 제기되고 있는 이론, 분석 및 측정에 걸친 레벨이슈와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또한 기업문화와 성과와의 관계 연구에서는 주로 기업문화의 특성 및 유형과 조직의 성과와의 관계를 연구해 오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업문화의 강도가 과연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명제를 제시하여 보았다

가설 설정

  • 또한 문화는 조직의 공식적인 통제 시스템을 대체하는 효과를 발휘하기에 조직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둘째, 강한 문화는 목표를 일치시킨다. 구성원들 모두가 조직의 목표를 분명하게 인식함으로써 구성원의 목표와 경영층의 목표가 일치하게 되어 모호성이 줄어든다.
  • 문화 특성 및 문화 강도로서 성과를 제대로 예측할 수 없다는 현실 인식에 따라 조직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론이 조직문화 연구에 도입되었다. 상황론적 접근 방법은 조직문화의 외부 환경 및 내부 요소들 간의 적합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문화와 성과간의 관계는 조직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 차이가 있음을 가정하고 있다.
  • 따라서 저층의 느린 문화와 고층의 쉽게 변화는 문화간의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일관성의 결여를 가져오게 된다. 둘째, 정치적 고려에 의해서 차이가 발생한다. 조직은 연합체(coalition)들의 집합으로 조직의 의사결정은 이들 연합체 간의 협상의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게 된다[23].
  • 명제 1: 혁신지향적 문화 특성은 개인의 혁신행동 및 조직의 혁신성과와 정(+)의 관 계를 가질 것이다
  • 명제 2: 혁신지향적 문화 강도는 혁신지향적 특성과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와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즉, 혁신지향적 문화 강도가 높을수록 혁신지향적 특성과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와의 정(+)의 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 명제 3: 인사관리제도의 혁신성은 혁신지향적 특성과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와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즉, 인사관리제도의 혁신성이 높을수록 혁신지향적 특성과 혁 신행동 및 혁신성과와의 정(+)의 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 명제 4: 혁신지향적 문화특성, 혁신지향적 문화강도, 인사관리제도의 혁신성은 상호작용을 통해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혁신지향적 문화강도가 높은 상황에서 인사관리제도의 혁신성이 높을수록 혁신지향적 문화특성과 혁신성과의 정(+)의 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우수기업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화적 특성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Peters & Waterman[47]의 연구 이후,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많은 연구들에서 조직문화는 조직의 효과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실증되고 있다. 조직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만족이나 몰입 등의 개인 수준의 조직유효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1,2,6,14,15,25,34,40,42], 개인성과뿐만 아니라 조직 수준의 주관적 성과 및 재무적 성과에도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27,30,32,34,40,63]. 이와 같이, 조직문화는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는 가치 있는 자원일 뿐만 아니라 희소하며, 인과적으로 모호하여 다른 조직이 모방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직의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간주되고 있다[20].
실무관점에서 조직문화 관리에 관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은? 실무관점에서 기존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를 형태로 구분하고 형태별 성과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많은 연구들에서 자주 다루어지는[10], Cameron & Quinn[22]의 경쟁가치 모형은 한 조직에서 서로 모순되는 4개의 문화 특성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있다. 이러한 포괄적인 문화의 형태적 접근방법은 측정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특정 문화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 성과 기준도 각기 다를 수 있기[27] 때문에 문화의 어떤 특성을 변화시켜야 하는 지에 대한 분명한 메시지를 주지 못하고 있다. 둘째, 조직문화의 어떤 요소를 관리해야 될지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조직문화를 구성하는 요소 간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차이를 고려한 분석적인 문화 평가를 하지 않았다. 비록 문화와 성과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하더라도 문화의 어떤 요소를 변화시키고 관리해야 되는지에 대한 의문은 항상 남아 있게 된다.
조직문화가 조직의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간주되는 이유는? 조직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만족이나 몰입 등의 개인 수준의 조직유효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1,2,6,14,15,25,34,40,42], 개인성과뿐만 아니라 조직 수준의 주관적 성과 및 재무적 성과에도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27,30,32,34,40,63]. 이와 같이, 조직문화는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는 가치 있는 자원일 뿐만 아니라 희소하며, 인과적으로 모호하여 다른 조직이 모방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직의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간주되고 있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Kang, Y. S.. Research on the Mediators Effect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Types between the Corporate Culture and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Oneness. Personnel Management, 23, (2), 243-265. 1999. 

  2. Kang, J.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Categories. Korean Management Review, 26, (3), 513-530. 1997. 

  3. Kim, H. H. & Lee, J. H. Empirical Study o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CEO Leadership Styles, and Behavioral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5, (1), 193-238. 1997. 

  4. Kim, Y. J.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ng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in Korean Firms.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8, (2), 111-134. 2000. 

  5. Kim, Y. J. & Park, S. E.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Type, Strength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n Firms,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6, (2), 195-238. 1998. 

  6. Min, S. K. & Ko, J. S. A Study of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Corporate Culture. Personnel Management, 18, 65-90. 1994. 

  7. Park, S. E. & Kim, Y. J.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Profil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 Empirical Test of Competing Values Model on the Korean Firms,. Korean Management Review, 24, 3, 213-237. 1995. 

  8. Suh, I. D. & Choe, M. K.. An empirical study of corporate cultures and HRM practices in Korean chaebols. Personnel Management, 12, 283-328. 1988. 

  9. Song, H. S., Lee, D. R., & Kim, J. Y.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Acceptance of Annual Pay System. Personnel Management, 26, (2), 89-110. 2002. 

  10. Chang, Y. S. & Moon, H. K. Organizational Culture Research: Trends and Challeng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6, (1), 65-114. 2008. 

  11. Jun, S. H. & Shin, Y. J. An Empirical Study on the Behavior Effectiveness by Fit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Korean Management Review, 24, (3), 153-185. 1995. 

  12. Choe, M. K. An Empirical Study of Corporate Strategy Types, Culture Types, and financial Performance. Korean Management Review, 23, 1-39. 1994. 

  13. Choe, M. K. Cultural Types, Strategic Types, and Behavioral Performance in Organizations, Personnel Management, 18, 283-328. 1994. 

  14. Hahn, J. & Hwang, W.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Subjective Business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sonnel Management, 20, (1), 173-200. 1996. 

  15. Hahn, J. Hwang, W. & Park, S.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Bases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5, (2), 95-134. 1997. 

  16.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1991. 

  17. Ajzen, I., & Fishbein, M.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0. 

  18. Akin, G., & Hoplain, D. Finding the culture of productivity. Organizational Dynamics, 14, (3), 19-32. 1986. 

  19. Ashforth, B. Climate formation: Issues and extens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837-847. 1985. 

  20. Barney, J. B. Organizational culture: Can it be a source of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656-665. 1986. 

  21. Bates, K. A., Amundson, S. D., Shroeder, R. G., & Morris, W. T. The crucial inter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strategy and organizational culture. Management Studies, 41, 1565-1580. 1995. 

  22. Cameron, K. S., & Quinn, R. E.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99. 

  23. Cyert, R. M., & March, J. G. A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 New York: Prentice Hall. 1963. 

  24. Deal, T., & Kennedy, A. Corporate cultures: The rites 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Reding, MA: Addison-Wesley. 1982. 

  25. Denison, D. R. Bringing corporate culture to the bottom line. Organizational Dynamics, 13, (2), 5-22. 1984. 

  26. Denison, D. R. Corporate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ew York: Wiley. 1990. 

  27. Denison, D. R., & Mishra, A. K.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Organization Science, 6: 204-223. 1995. 

  28. Dansereau, F. & Markham, S. E. Levels of Analysis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Ferris, G. R. and Rowland, K. M. (Ed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Human Resources Research: 35-84. London, JAI Press. 1990. 

  29. Fay, C. F., & Denison, D. R.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Can American theory be applied in Russia? Organization Science, 14, 686-706. 2003. 

  30. Ferris, G. R., Arthur, M. M., Berkson, H. M., Kaplan, D. M., Harrell-Cook, G., & Frink, D. D. Toward a social context theory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organization effectiveness relationship.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8, 235-264. 1998. 

  31. Fishbein, M., & Ajzen, I.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1975. 

  32. Gordon, G. G., & DiTomaso, N.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form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29, 783-798. 1992. 

  33. Griffin, M. A., Rafferty, A. E., & Mason, C. M. Who started this? Investigating different sources of organizational change.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8, 555-570. 2004. 

  34. Gregory, B. T., Harris, S. G., Armenakis, A. A., & Shook, C. L. Organizational cultures and effectiveness: A study of values,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 673-679. 2009. 

  35. Hoque, K.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erformance in the UK hotel industry.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37, 419-443. 1999. 

  36. Janssen, O.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3, 287-302. 2000. 

  37. Johns, G. Constraints on the adoption of psychology-based personnel practices: Lessons from organizational innovation. Personnel Psychology, 46, 569-592. 1993. 

  38. Kilmann, R. H. Five steps for closing culture-gaps. In R. H. Kilmann., M. J., Saxton & R. Serpa (Eds.), Gaining Control of the Corporate Culture: 351-69. San Francisco: Jossey-Bass. 1985. 

  39. Koberg, C. S., & Chusmir, L. H. Organizational culture relationships with creativity and other job-related variabl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5, 397-490. 1987. 

  40. Kotter, J. P. Leading chang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6. 

  41. Kotter, J. P., & Heskett, J. L. Corporate culture and performance. New York: Free Press. 1992. 

  42. Kwantes, C. T., & Boglarsky, C. A.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effectiveness and personal effectiveness across six countries. Journal of International Management, 13, 204-230. 2007. 

  43. Lau, C-M., & Ngo, H-Y. The HR system,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duct innovation.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13, 685-703. 2004. 

  44. Mumford, M., & Gustafson, S. Creativity syndrome: Integration, application, and inno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3, 27-43. 1988. 

  45. Ouchi, W. Theory Z: How American business can meet the Japanese challenge. Reading, MA: Addison-Wesley. 1981. 

  46. Ouchi, W., & Price, R. Hierarchies, clans, and theory Z: A new perpective on organizational development. Organizational Dynamics, 7, (2), 25-44. 1978. 

  47. Pascale, R. Fitting new employees into the company culture. Fortune, 109, (11), 28-43. 1984. 

  48. Peters, T. J., & Waterman, R. H. In search of excellence. New York: Harper & Row. 1982. 

  49. Pfeffer, J. Management as symbolic action: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organizational paradigms. In L. L. Cummings & B. M. Staw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52. Greenwich, CT: JAI Press. 1981. 

  50. Quinn, R. E., & McGrath, M. R.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 P. J. Frost et al. (Eds.), Organizational Culture: 315-334. Beverly Hills: Sage. 1985. 

  51. Quinn, R. E., & Spreitzer, G. M. The psychometrics of the competing values culture instrument and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quality of life. In R. W. Woodman & W. A. Pasmore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115-142. Greenwich, CT: JAI Press. 1991. 

  52. Saffold, G. S., III. Culture traits, strength,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ving beyond "strong"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 546-558. 1988. 

  53. Sathe, V. Implications of corporate culture: A manager's guide to action. Organizational Dynamics, 12, (2), 5-23. 1983. 

  54. Schall, M. A communications-rules approach to organizational cultur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8, 557-581. 1983. 

  55. Schein, E. H.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Jossey-Bass. 1985. 

  56. Scott, S. G., & Bruce, R. A.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580-607. 1994. 

  57. Smircich, L. Concepts of culture and organizational analysi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8, 339-358. 1983. 

  58. Smircich, L., & Morgan, G. Leadership: The management of meaning.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17, 114-129. 1982. 

  59. Sorensen, J. B. The strength of corporate culture and the reliability of firm performan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7, 70-91. 2003. 

  60. Tichy, N. M. Managing change strategically: The technical, political, and cultural keys. Organizational Dynamics, 11, (2), 59-80. 1982. 

  61. Van de Ven, A. Central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Management Science, 32, 590-607. 1986. 

  62. Wilkins, A., & Ouchi, W. Efficient culture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8, 468-481. 1983. 

  63. Yilmaz, C., & Ergun, E. Organizational culture and firm effectiveness: An examination of relative effects of culture traits and the balanced culture hypothesis in an emerging economy. Journal of World Business, 43, 290-306. 2008. 

  64. Yukl, G. Leadership in organizations (6th ed.).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00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