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nalyses of Factors Affecting Accessible Website Design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1 no.1, 2012년, pp.1 - 14  

강영무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홍순구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김동완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차윤숙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rate of public organizations and private enterprises is still low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of Web accessibility by website developers and managers in spite of the fact that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became mandatory in 2008. Web developers and managers think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에 대한 영향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접근성 있는 웹 사이트 제작을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웹 사이트의 제작 환경의 변화를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웹 접근성에 관한 연구는 초기 단계로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극히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런 실정을 감안하여 접근성 있는 웹 사이트 제작에 관한 일반적인 선행연구들을 문헌연구를 통해 조사하였다.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에 관한 선행연구는 웹 개발자나 웹 디자이너 혹은 관리자를 대상으로 웹 사이트 제작에 있어서 웹 접근성 준수에 대한 인식 분야, 접근성 있는 웹 사이트 제작을 위한 디자인 분야, 웹 접근성을 준수하여 제작된 웹 사이트들에 대한 평가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 본 연구에서는 웹 접근성 관련 교육 및 연수의 경험과 웹 사이트 제작 경력이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한 추가비용 및 디자인 포기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자료조사 분석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일반적인 웹 접근성에 대한 오해인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거나 무엇보다 시각적 측면에서 단순한 디자인이 나올 것이라는 웹 개발자들의 오해가 웹 접근성 교육 및 연수의 경험, 웹 사이트 제작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웹 접근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을 위한 시간 및 재정적 추가 비용에 대한 인식, 디자인 포기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웹 접근성 교육 및 연수를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는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2:웹 접근성 교육 및 연수를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는 웹 접근성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에 소요되는 추가비용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3:웹 접근성 교육 및 연수를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는 웹 접근성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을 위한 디자인 포기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4:웹 사이트 제작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과 5년 미만인 집단 간에는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5:웹 사이트 제작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과 5년 미만인 집단 간에는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에 소요되는 추가비용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5:웹 사이트 제작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과 5년 미만인 집단 간에는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에 소요되는 추가비용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6:웹 사이트 제작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과 5년 미만인 집단 간에는 웹 접근성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을 위한 디자인 포기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6:웹 사이트 제작 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과 5년 미만인 집단 간에는 웹 접근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제작을 위한 디자인 포기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웹 접근성은 무엇인가? 웹 접근성은 WAI(Web Accessibility Initiative)에 의하면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콘텐츠를 인지하고(Perceivable), 운영하고(Operable), 이해하고(Understandable), 기술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견고(Robust)하게 웹 콘텐츠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6]. 또, “어떠한 사용자, 어떠한 기술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정의된다[7].
우리나라의 웹 접근성 관련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웹 접근성 관련법으로는 국가정보화 기본법, 장애인차별금지법, 장애인복지법 등이 있으며, 2009년 5월에 개정된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2조 1항에서 법률적 의무화를 명시하였다[7]. 또한, 2008년 4월 11일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등에 관한법률(이하 “장차법”) 제21조 및 동법 시행령 제14조에 의거 공공 및 민간기관의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접근성 준수를 단계별로 의무화하고 있다.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등에 관한법률이 웹 접근성 준수를 의무화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공 및 민간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율이 낮은 것은 무엇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는가? 이와 같이 장차법으로 이미 공공 및 민간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준수는 의무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공공 및 민간기관의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 준수율이 낮아서 장애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인터넷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공 및 민간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율이 낮은 것은 웹 사이트 개발자 뿐만 아니라 관리자들의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접근성 있는 웹 사이트 제작 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거나 무엇보다 시각적 측면에서 단순한 디자인이 나올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Norris, P., Digital Divide :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 강영무, 홍순구, 박성제, 이현미, "국내 전문계 고등학교 정보교사의 웹 접근성 교육에 대한 인식분석", 한국컴퓨터 교육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2010), pp.39-49. 

  3. 행정안전부, 웹 접근성 현황 및 정책 방향, 2009. 

  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장애인 정보 격차 실태조사, 2011. 

  5. 홍순구, 조재형, 이대형, "한국과 미국 정부기관의 웹 사이트 접근성 평가", Information System Review, 제7권, 제1호(2005), pp.81-96. 

  6. 방송통신위원회, 한국형 웹 컨텐츠 지침 2.0, 2010. 

  7. 한국정보화진흥원, 웹 접근성 표준 동향, 2009. 

  8. Thatcher, J., P. Bohman, M. Burks, S. L. Henry, B. Regan, S. Swierenga, M. D. Urban, and C. D. Waddell, Constructing Accessible Web Sites, UK : Glasshaus, 2002. 

  9. 문형남, 최두진, 홍경순, 이윤희, 문태은, 유재 영, 배선진, 권둘희, "2006 웹 접근성 인식 현황 실태조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7. 

  10. 김용진, "웹 접근성을 고려한 웹 디자인 관리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1. 박한진, "저시력 2, 3급 유저 관점에서 본 스마트폰 포털 사이트의 웹 접근성 연구", 국민 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2. 장영범,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과 웹 접근성 지침 준수를 위한 웹 사이트 정보설계 및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관점에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5권, 제3호(2009), pp.368-379. 

  13. 조현미, 정진헌, "웹 접근성 지침에 기반한 웹 디자인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8권, 제2호(2007), pp.485-497. 

  14. 구중억,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사례 분석 및 웹 접근성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권, 제1호(2011), pp.75-101. 

  15. 박미영, 안인자, 박혜수, 김인희, "시각장애인을 위한 과학기술정보검색 시스템 및 콘텐츠의 웹접근성 평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1권, 제3호(2010), pp.123-137. 

  16. 현준호, 김병초 "국내 인터넷 뱅킹 사이트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7권, 제2호(2008), pp.77-93. 

  17. 문태은, "국내 중앙행정기관 웹 사이트의 접근성과 사용성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8. 현준호, 김석일, "국내외 행정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정보화진흥원 이슈 리포트, 제3권, 제7호(2006), pp.1-42. 

  19. Paul Bohman, Introduction to Web Accessibility, http://www.webaim.org/intro, 2003. 

  20.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 표준화 포럼 운영, 2005. 

  21. 김주현, "웹 디자인 요소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6권, 제3호(2005), pp.53-61 

  22. 노석준, "웹 접근성 준수로 장애인과 노령자도 더불어 사는 장애 없는 디지털 세상 실현", 웹 접근성 현황 및 정책 방향, 제56권(2009), pp.50-55. 

  23. 배지현,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과 우리나라 디자이너의 인식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4. 홍순구, 강영무, 이현미, 차윤숙, "웹 접근성의 교육 현황 및 활성화를 위한 제언" 한국산업정보학회지, 제16권, 제3호(2011), pp.73-87. 

  25. W3C, "Developing a Web Accessibility Business Case for Your Organization : Overview", http://www.w3.org/WAI/bcase/. 

  26. W3C, 노석준역, "기관을 위한 웹 접근성 비즈니스 사례 개발시 재정적 요인", http://www.wah.or.kr/wai_doc/biz/fin.html#invest. 

  27. 홍순구, 강영무, 박성제, 이현미, "웹 접근성 교육과정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2011), pp.909-919. 

  28. 강영무, 홍순구, 박성제, 이현미, "국내 전문계 고등학교 정보교사의 웹 접근성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제13권, 제5호(2010), pp.39-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