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토 및 환경 분야 중장기 국가계획의 보호지역 관련 내용 고찰 - "생물다양성협약 2011~2020 전략목표" 및 "보호지역 결정문" 내용을 중심으로-
Review on the Protected Areas Issues within Mid-Long Term National Plans for Territory and Environment of Korea; Focus on the "Biodiversity 2011-2020 Strategic Targets" and "Protected Areas Decision" 원문보기

환경정책연구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v.11 no.4 = no.35, 2012년, pp.3 - 37  

허학영 (국립공원관리공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국토 및 환경 분야를 다루는 다양한 국가계획에서 생물다양성 보전 및 보호지역 주요 이슈가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생물다양성협약의 "생물다양성 2011~2020 전략목표"와 "보호지역 결정문" 내용을 토대로 주요 이슈를 선정한 후, 주요 이슈별로 우리나라 국토 및 환경 관련 주요 중장기 국가계획 7개의 내용을 정리 분석하였다. 생물다양성 2011~2020 전략목표 5와 관련하여 녹지총량제, 습지총량제 등 거의 모든 국가계획에서 다양한 제도 도입과 활용을 다루고 있으며, 보호지역 확대와 관련된 전략목표 11(2020년까지 육상 육수 생태계 17%, 연안 해양 생태계 10%)의 경우 우리나라는 국토면적 대비 보호지역 15%(2015년), 연안 해양보호구역 13%(2015년, 2020년)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보호지역 결정문의 주요 권고사항인 국가별 보호지역 실행프로그램(PoWPA)의 장기 이행계획 수립 개정에 대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고 있으나, 관심이 필요한 10가지 보호지역 이슈에 대해서는 각종 국가계획에서 다양하게 다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내용의 충분성 및 국가 계획별 상호 연계성 등에 있어서는 개선의 여지가 많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보호지역 관리효과성평가"의 경우 당사국에 2015년까지 국가 보호지역의 60%까지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각종 국가계획에서 이에 대한 직접적 기술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찰내용을 토대로 한 제안사항은 (1) "국토종합계획"에서 자연환경 보전이 국가경쟁력의 주요 요소임을 인지하고 생물다양성 및 보호지역 이슈에 대한 내용 강화, (2) 관련 국가계획들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를 통한 효과적인 국가 보호지역 목표 성취를 위해 국가 환경 분야의 최상위 국가계획에서 범부처 차원의 "국가 보호지역시스템 계획" 수립, (3) 국가차원의 "보호지역실행프로그램 중장기 이행계획" 수립, (4) 각종 국가계획에 "생물다양성 전략목표"와 관련된 성과목표 설정과 보호지역결정문에서 권고하고 있는 주요 이슈들 중 관리효과성평가 등 미흡한 분야에 대한 내용 강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perspectiv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protected areas (PAs),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review the mid-long term national plans, which deal with national territory and environment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way to improve this issue. Key issues were drawn by referring "Biodiversity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물다양성 2011~2020 전략목표”와 “보호지역 결정문” 내용의 고찰을 통해, 국가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보호지역 관련 주요 전략 목표와 주요 이슈를 생물다양성 전략 계획의 5대 전략 목적에 맞춰 정리해보면 과 같으며, 선정된 보호지역 관련 전략 목표와 주요 이슈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각종 국가계획의 내용을 고찰하고자 한다.
  • 고찰 내용을 토대로 생물다양성 목표성취의 주요 도전과제로 밝혀진 ‘생물다양성의 주류화’, ‘정부 부처간 및 분야별 소통 부족’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국토 및 환경 분야 주요 국가계획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보호지역에 관한 국제적 목표와 이슈를 정리하고, 이러한 주요 목표 및 이슈가 우리나라의 국토 및 국토환경 관련 각종 중장기 국가계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고찰하였다.
  • 국가차원에서 갈수록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생물다양성 및 보호지역에 관한 주요 이슈를 도출하기 위해, 생물다양성협약 제10차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생물다양성협약 2011~2020 전략목표”와 “보호지역 결정문”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선정된 주요 목표와 이슈를 중심으로 개별 국가계획에서 어떻게 목표를 설정하고 이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정리·분석하였다. 분석시 계획별 상호 연계성 등을 함께 검토하였으며, 향후 각종 국가계획에서 생물다양성 및 보호지역 분야의 내용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참고로 본 연구에서 다룬 국가계획들이 그 수립시기와 내용적·공간적 범위와 성격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계획별 비교·분석과 더불어 다양한 국가계획이 생물다양성 및 보호지역에 관한 주요 이슈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종합적인 고찰에 중점을 두었다.
  • 우리나라 각종 국가계획에서는 생물다양성협약의 보호지역 실행프로그램과 이의 실행 계획의 수립과 관련한 내용은 없었으며, 관심이 필요한 보호지역 주요 이슈 중 생물 다양성 전략목표와 관련하여 이미 살펴본 생태계복원을 제외한 9개 이슈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중 향후 10년간 생물다양성협약의 보호지역에 관한 로드맵을 보여 주는 핵심 의결사항이라고 할 수 있는 “생물다양성 2011~2020 전략계획(CBD Decision Ⅹ/2)”과 “보호지역 결정문(CBD Decision Ⅹ/31)” 내용을 살펴보고, 보호지역에 관한 주요 목표와 이슈를 도출하였다.
  • 이상의 고찰내용을 토대로 보호지역 및 생물다양성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각종 중장기 국가계획의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 참고로 본 연구에서 다룬 국가계획들이 그 수립시기와 내용적·공간적 범위와 성격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계획별 비교·분석과 더불어 다양한 국가계획이 생물다양성 및 보호지역에 관한 주요 이슈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종합적인 고찰에 중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토종합계획은 무엇인가? “국토종합계획”은 국토기본법(12조)에 의거하여 수립되는 국토의 이용 개발 및 보전에 관한 국가 최상위 계획으로서 미래의 경제적ㆍ사회적 변동에 대응하여 국토가지향하여야 할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수정계획 수립은 국토기본법상 5년마다 여건변화를 반영하여 정비토록 하고 있으며, 제4차국토종합계획(2000~2020) 확정 이후 2005년 말에 1차 수정되어 수정계획(2006~2020)을 수립한 바 있으며, 2011년에 수정계획(2011~2020)이 재수립 공지되었다.
「자연환경보전법」제8조 규정에 근거한 장기종합계획인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에 담겨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자연환경보전법」제8조 규정에 근거한 장기종합계획인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은 “국가환경종합계획” 중 자연환경보전분야의 하위계획으로, ① 향후 10년간 우리나라의 국토 및 자연환경 여건을 전망하고, 이를 토대로 한 정책비전 및 목표 제시, ②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여야 할 정책 개발 및 투자계획 마련, ③ 국토, 자연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정부, 지자체, 민간단체 및 국민 등 이해관계 당사자가 수행할 역할분담 방안 모색, ④ 자연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한 국제환경 동향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국제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협력방향 제시, ⑤ 21세기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사는 선진환경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범국민적 실천계획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06~2015)의 정책 목표는 “자연과 인간이 함께하는 건강하고 균형된 국토 자연생태계 구축”이며, 실천 목표로는 ① 한반도 생태네트워크 구축 관리, ② 환경과 개발의 조화를 위한 국토관리 체계 구축, ③ 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 강화, ④ 생태계와 인간이 어우러지는 한반도 자연환경 조성, ⑤ 자연환경 관리기반 구축, ⑥ 자연환경보전에 관한 협력 체계 강화이다.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국가환경종합계획”은 장기적인 환경정책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는 장기 전략계획으로 정책집행계획의 기본 틀을 제시하며, 분야별 환경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계획으로, 대기, 수질, 자연환경, 국토환경, 연안 해양환경 등 분야별 환경계획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시너지효과를 유도한다. 주요 내용은 자연환경 현황 및 전망, 환경보전 목표 설정, 단계별 대책 및 사업계획으로 생물다양성∙생태계∙경관 등 자연환경 보전에 관한 사항, 토양보전에 관한 사항, 해양환경 보전에 관한 사항, 국토환경 보전에 관한 사항, 대기환경 보전에 관한 사항, 수질환경 보전에 관한 사항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