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용 휴대전화 중독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8 no.2, 2012년, pp.76 - 84  

구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유명숙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children. Methods: The process include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generation of initial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selection of secondary items, preliminary study, and extraction of final i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아동의 위험 상태를 조기 발견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아동에게 사용하기 위해 아동용 휴대전화 중독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아동용 휴대전화 중독 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동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 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의 휴대전화 중독을 측정하기 위해서 아동용 휴대전화 중독 도구를 개발하여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문항분석 결과 9개 문항이 선정되었고, 요인분석 결과 강박적 사용과 의존의 2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 검토와 아동과의 면담을 기초로 아동용 휴대전화 중독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아동용 휴대전화 중독 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정을 위해 요인분석한 결과 강박적 사용과 의존의 2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전체 변량의 6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대전화 중독과 인터넷 중독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그러나 휴대전화는 의사소통을 전제로 하는 매체이므로, 휴대 전화 중독은 사회적 고립 등의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된 인터넷 중독(O’Reilly, 1996; Young, 1998)과 특성이 다르다. 휴대전화 중독과 인터넷 중독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성별에서 나타나는데, 남성이 여성보다 인터넷 게임에 몰두하며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았던 것에 비해(Park, Kwon, & Park, 2007), 기계적 조작이 간단한 의사소통 매체인 휴대전화는 여성이 남성보다 중독 정도가 높았다(Jang & Chae, 2006).
휴대전화 중독이란? 네 번째는 정신병리적인 문제로 인터넷 중독이나 게임 중독처럼 내성과 금단 증상을 일으키는 휴대전화 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휴대전화 중독은 휴대전화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잃고,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병적 증상이나 문제 행동을 경험하는 것이다(Jang & Chae, 2006).
아동의 휴대전화 사용으로 학업과 관련된 어떤 문제가 나타나는가? 또한 위험한 장소를 걷거나 도로를 횡단하는 등 주의집중이 필요한 상황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은 안전사고 발생과 관련된다(Bianchi & Phillips, 2005). 두 번째는 학업과 관련된 문제로 아동은 수업 시간에도 문자메시지를 주고받느라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휴대전화를 집에 두고 온 경우에는 수업에 늦더라도 다시 가져오거나 조퇴를 하여 학업에 지장을 초래한다(Ko, 2006). 세 번째는 경제적인 문제로 아동은 과도한 휴대전화 사용으로 부과된 많은 요금 때문에 고민에 빠지고, 부모와 갈등을 겪기도 한다(Ko,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rratt, E. S., & White, R. (1969). Impulsiveness and anxiety related to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and attitudes.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44, 604-607. 

  2. Bianchi, A., & Phillips, J. G. (2005).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 mobile phone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s, 8, 39-51. 

  3. Dimonte, M., & Ricchiuto, G. (2006). Mobile phone and young people: A survey pilot study to explore the controversial aspects of a new social phenomenon. Minerva Pediatrica, 58, 357-363. 

  4.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ist. Retrieved December 27, 2004, from http://www.rider.edu/users/suler/psycyber/supportgp.html. 

  5. Han, J. L., & Hur, G. H. (2004).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8, 138-165. 

  6. Hardell, L., Carlberg, M., Soderqvist, F., Mild, K. H., & Morgan, L. L. (2007). Long-term use of cellular phones and brain tumours: Increased risk associated with use for ${\geq}10$ year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4, 626-632. 

  7. Jang, H. J., & Chae, K. M. (2006).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technological addiction: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839-852. 

  8. Kamibeppu, K., & Sugiura, H. (2005). Impact of the mobile phone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riendship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Cyberpsychology & Behaviors, 8, 121-130. 

  9. Kim, B. K., Yun, S. O., & Lee, H. G. (2006). The analysis for the causes of mobile phone addiction. Seoul: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 

  10. Kim, K. H. (2002).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addictive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7, 159-179. 

  11. Kim, K. S. (2007). New amos 7.0 structural model analysis. Seoul: Hannarae. 

  12. Ko, J. H. (2006). Saving my child who addicted cellular phone. Seoul: Yedam. 

  13. Koo, H. Y. (2009). Development of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818-828. 

  14. Koo, H. Y., & Park, H. S. (2010).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56-65. 

  15. Lee, E. O., 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I., Bae, J. I., et al. (2009). Nursing/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6. Lee, G. S., & Lee, J. H. (2008). Children's cellular phone usage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usage and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 271-278. 

  17. Lee, H. G. (2008).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 133-157. 

  18. Lee, H. J., Kim, M. S., Son, H. K., Ahn, S. H., Kim, J. S., & Kim, Y. H. (2007). Discriminating power of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57-965. 

  19. Lee, H. S. (1992). Impulsiveness test guide. Seoul: Hankook guidance. 

  20. Lim, S. S. (2011). Having cell phones at 10.4 years old. Retrieved October 7, 2011, from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5431111&cpdu 

  21.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3). Internet addiction self-report questionnaires (K-tool) and prevention and education program. Seoul: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2. Moon, J. S. (1997). Nursing research. Seoul: Shinkwang. 

  23. Na, E. Y. (2005). Teens' usage of mobile phon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mobile phone, and efficacy for communication: Survey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2002 and 2004.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9, 198-233. 

  24. O'Reilly, M. (1996). Internet addiction: A new disorder enters the medical lexicon.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54, 1882-1883. 

  25. Park, H. S., Kwon, Y. H., & Park, K. M. (2007). Factors on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754-761. 

  26. Salama, O. E., Abou, E. I., & Naga, R. M. (2004). Cellular phones: Are they detrimental? The Journal of the Egyptian Public Health Association, 79, 197-223. 

  27. Song, E.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ing mobile phone and mental health stat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325-333. 

  28. Woo, H. J. (2007). Media audiences' self-stability, dispositional media use motives, flow, and addiction: A comparative study on online game, internet, and mobile 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21, 101-140. 

  29. Young, K. S. (1998).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Y: John Wiley & Son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