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염장조건에 따른 엄나무와 두릅 순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alopanax$ $pictus$ and $Aralica$ $elata$ Shoot according to Their Salt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2, 2012년, pp.193 - 200  

장세영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김선화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성나혜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우상철 (대구보건대학 소방안전관리과)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엄나무와 두릅 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염장조건 및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 중 엄나무 순의 pH는 저장온도 $4^{\circ}C$, 10%와 12% 염수에서, 저장온도 $10^{\circ}C$에서는 12% 염수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두릅 순의 pH는 저장온도 $4^{\circ}C$에서는 엄나무순과 비슷한 경향이며, $10^{\circ}C$에서는 모두 감소하였다. 엄나무와 두릅 순의 염도는 저장 동안 증가하는 경향이며, 저장온도에 따른 큰 차이도 없었다. 염장한 엄나무와 두릅 순의 L값은 저장 동안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이며, 염수 농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b값은 엄나무 순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두릅 순은 조금씩 감소하였다. a값은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으로 저장온도 및 염수 농도에 따른 차이는 크게 없었다. 염장한 엄나무와 두릅 순의 강도와 경도는 저장 중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으로 저장온도 $4^{\circ}C$에서 엄나무 순은 10% 염수에서, 두릅 순은 8~10% 염수에서 강도와 경도가 높게 나타났다. 엄나무와 두릅 순의 총 클로로필 함량은 저장 동안 감소하는 경향이며, 저장온도 및 염수 농도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엄나무와 두릅 순은 10% 염수로 염장한 후 $4^{\circ}C$에서 저장하면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alopanax$ $pictus$ and Aralica elata shoots during their preservation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salt conditions and storage temperatures to improve the use of the shoo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H of $kalopanax$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엄나무와 두릅 순의 식품소재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염장조건 및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엄나무와 두릅 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염장조건 및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 중 엄나무 순의 pH는 저장온도 4℃, 10%와 12% 염수에서, 저장온도 10℃에서는 12% 염수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엄나무와 두릅 순의 저장 중 품질특성 조사 결과, 어떠한 염장조건 및 저장온도에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가? 엄나무와 두릅 순의 총 클로로필 함량은 저장 동안 감소하는 경향이며, 저장온도 및 염수 농도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엄나무와 두릅 순은 10% 염수로 염장한 후 4℃에서 저장하면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olyphenol이 많이 함유된 엄나무 잎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엄나무(Kalopanax pictus)는 오갈피나무과로 음나무, 개 두릅나무라고도 하며(4), 우리나라 전 지역에 자생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군집성은 적으며, 우리나라, 중국 및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5). 엄나무에는 saponi인 kalopanaxsaponin과 phenol성 화합물인 lirodendrin, syringin, chlorogenic acid 등이 알려졌으며, 특히 엄나무 잎에는 polyphenol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어 면역 활성, 항산화활성 및 소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6-8). 두릅나무(Aralica elat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온대 지역에서 넓게 분포되어 있다(9-10).
엄나무와 두릅의 새순의 특징은? 두릅나무 순에는 ascorbic acid, retinol, β-carotene와 같은 비타민이 풍부하여 한의학에서는 당뇨병, 간독성 보호 효과,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 엄나무와 두릅의 새순은 성상과 식용방법이 유사하며 번식력과 자생력이 뛰어나지만 봄철 일시적으로 수확·생산되며, 수분함량이 높아 저장성과 유통기한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3,12). 현재 채취되는 엄나무와 두릅 순의 대부분 생채로 소비되며(3), 장아찌와 같은 자반용으로 일부 가공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won TR, Kim SK, Min GG, Jo JH, Lee SP, Choi BS (1995) Seed germination of Aralia cordata Thunb and effect of mulching methods on yield blanching. J Korean Soc Hort Sic, 36, 620-627 

  2. Jung SD, Huh JH, Hong JS, Choi HS, Chun HS, Bang KH, Huh MK (2003)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alopanax pictus(Araliaceae). J Plant Biology, 46, 255-262 

  3. Kim MH, Jang HL, Kim NJ, Jang SY, Jung YJ (2011) Development of Haetsun Bibimbab and its nutritional estimation. Korean J Food Presery, 18, 191-198 

  4. Lee E, Choi MY, Park HJ, Cha BC, Cho SH (1995) Chemical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Kalopanacis cortex. Korean J Pharmacogn, 26, 122-129 

  5. Park CH, Ahn SD, Jang BH, Ham SS (1995) Explanation of herbs at hils and moors. Kangwon University publishing occupation, Korea, p 102 

  6. Jun DH, Lee JT, Cheon SJ, Lee CE, Kim TH, Lee DH, Han JG, Kim SH (2009) Polyphenol and anti-oxidant effect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leaf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2, 343-348 

  7. Kim SH, Park YG, Jang YS, Han JG, Chung HG (2007) Oxidative stress in the cel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extracts. Mokchae Konghak, 35, 126-134 

  8. Park HJ, Nam JH, Jung HJ, Kim WB, Park KK, Chung WY, Choi JW (2005) In vivo antinociceptive antiinfla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leaf and stem bark of Kalopanax pictus in rats. Korean J Pharmacogn, 36, 318-323 

  9. Ma SJ, Ko BS, Park KH (1995) Isolation of 3,4-dihydroxy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bark of Aralia e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7-812 

  10. Song SJ, Nakamura N, Ma CM, Hattori M, Xu SX (2001) Five saponins from the root bark of Aralica elata. Phytochemistry, 56, 491-497 

  11. Cha JY, Ahn HY, Eom KE, Park BK, Jun BS, Cho YS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Aralia elata shoot and leaf extracts. J Life Sci, 19, 652-658 

  12. Han GJ, Jang MS, Shin DS (2006)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oring time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Kimchi.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81-689 

  13. Han GJ, Shin DS, Jang MS (2009) The quality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Jangachi by storing tim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8-15 

  14. Jung KY, Son KH, Do JC (1992)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Kalopanax pictum. Korean J Phamacogn, 23, 280-282 

  15. Lee JH (2009) A study on the feed value of Castor aralia (Kalpanax pictus). The graduate school of scientific technical Kyungpook Natioal University, MS Thesis. Daegu, Korea 

  16. Han GJ, Jang MS, Shin DS (2007)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Pickl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294-301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35 

  18. Mackinnery GJ (1941) Absorption of light by chlorophyll solutions. J Biol Chem, 140, 315-322 

  19. Park YK, Park MW, Choi IW, Choi HD (2003) Effects of various salt concentrati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ined Cucumbers for pickle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26-530 

  20. Kim CH, Yang YH, Kim MR (2005) Effect of blanching and CaCl2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iji prepared by dry salting method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219-225 

  21. Kim BS, Kang ST, Park KH, Hur JW (1999)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of greenhouse horticultural commodities in the south area, (1) Effect of brine concentration on the quality of Cucumber pickle. J Korean Soc Food Nutr, 28, 390-395 

  22. Jung ST, Lee HY, Park HU (1995) The acidity, pH, salt content and sensory scores change in Oyijangachi manufacturing. J Korean Soc Food Nutr, 24, 606-612 

  23.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1994) Comparison of fall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26-230 

  24. Park MW, Park YK, Jang MS (1994)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pickled Cucumber with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Nutr, 23, 634-640 

  25. Kwon OY, Yang YH, Park WS, Kim MR (2005)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iji prepared with dry salting methods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545-555 

  26. Jung GH, Rhee HS (1986) Changes of texture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ellulose, hemicellulose and pectic substances during fermentation of radish Kimchi. Korean Soc Food Cookery Sci, 2, 68-75 

  27. Ryu KD, Chung DH, Kim JK (2000) Comparties and Kakdugi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81-690 

  28. Shim YH, Yoo CG, Cha GH (2001) Quality changes of Oiji with various antimicrobial ingredient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29-337 

  29. Park ML, Lee YJ, Kozukue N, Han JS, Choi SH, Huh SM, Han GP, Choi SK (2004) Changes of vitamin C and chlorophyll contents in Oi-Kimchi with storage time. Korean J Food Culture, 19, 566-572 

  30. Kim JG, Choi HS, Kim SS, Kim WJ (1989)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oc Technol, 21, 838-844 

  31. Lee MH, Han JS, Kozukue N (2005)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in spinach by growth periods and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339-3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