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6, 2012년, pp.796 - 806
김윤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전은례 (남미시시피대학교 식품영양전공) , 유맹자 (송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난희 (전남대학교 가정교육과, 생활과학연구소)
본 연구는 2009년 9월 7일부터 9월 19일 사이에 광주광역시 소재 중학교 남학생과 여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식생활태도와 영양지식의 수준별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첫째, 중학생의 식생활 태도는 총 75점 만점에 평균 49.47점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성별 식생활태도는 남학생 49.78점, 여학생 49.13점으로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년별 식생활태도는 1학년이 50.68점, 2학년 49.49점, 3학년 48.10점으로 1학년의 식생활태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중학생의 영양지식 정도는 총 15점 만점에 평균 10.88점으로 나타나 양호한 편이었다. 성별 영양지식의 평균은 남학생 10.65점, 여학생 11.15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영양지식의 수준이 높았다(p<0.01). 또한 학년별 영양지식의 평균은 1학년이 10.98점, 2학년은 10.65점, 3학년은 11.03점으로 3학년의 영양지식이 가장 높았다. 셋째, 중학생의 식품표시 확인 여부는 '확인한다'가 62.9%로 나타났다. 식품표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더 확인하였고, 학년별로는 2, 3학년에 비해 1학년이 더 확인하는 편이었다. 또한 식생활태도가 좋은 그룹이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이며 식품표시를 더 많이 확인하였으며, 영양지식 점수가 높은 그룹이 식품표시를 더 확인하였다. 식품표시를 확인한다고 답한 대상자들 중 가장 먼저 확인하는 식품표시 내용은 유통기한이 54.9%로 가장 많았고 제품명, 가격 순이었다.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 역시 유통기한(제조일자)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61.6%로 가장 많았고 영양성분의 정보를 얻기 위해, 보관 시 주의할 점을 알아보려고, 가격이나 중량 등을 비교하려고 순이었다.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아무 생각 없이 습관적으로 구매하는 편이 43.8%로 가장 많았고, 식품표시에 관심이 없기 때문 30.9%, 식품표시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 17.3%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표시에 대한 만족도는 총점 30점 만점 중 16.20점으로 중간 정도였다. 식생활태도가 좋은 그룹은 17.54점, 중간 그룹은 16.32점, 나쁜 그룹 14.86점으로 만족 정도에 있어 그룹 간 유의한 차이(p<0.001)가 나타났다. 즉, 식생활태도가 좋은 집단의 식품 표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영양지식 수준별 그룹의 만족 정도는 높은 그룹이 15.79점, 중간 그룹 16.08점, 낮은 그룹 17.08점으로 영양지식 수준이 낮은 그룹의 만족도가 영양지식 수준이 높은 그룹에 비해 높았다. 넷째, 식품과 영양표시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는 총 7점 만점에 4.71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식생활태도로 분류한 그룹별 식품과 영양표시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는 중간 그룹의 실제 이해도가 가장 높았고 오히려 좋은 그룹의 이해도는 세 그룹 중 가장 낮았다. 영양지식 수준으로 분류한 그룹별 식품과 영양표시의 내용에 대한 이해 정도는 영양지식 수준이 높은 집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 중학생의 식생활태도와 영양지식 수준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식생활태도와 영양지식 수준이 높은 집단의 식품표시에 관한 인식이 높고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비율 역시 높음을 알 수 있었으나 실제로 식품과 영양표시를 이해하는 정도는 그보다 낮았다. 따라서 중학생들이 식품표시를 확인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실천위주의 교육이 필요하고, 식품표시 형식 또한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눈에 잘 띄는 표시기준과 표시방법을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ary attitude,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examine their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ing systems. The total and mean dietary attitude scores were 75 and 49.47, respectively. The total and mean nutrition kn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식품표시제도란? | 식품표시제도는 식품에 관한 각종 정보, 즉 원재료명, 내용량, 제조일자 및 유통기한, 영양성분, 주의사항 표시 등에 관한 정보를 제품의 포장이나 용기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자는 소비자가 건전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확한 구매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는 자신의 요구에 부합하는 식품을 선택하는 공정한 거래 확보를 통하여 소비자를 보호하는 제도이다(8). 영양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이 식품의 양보다는 질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에 따른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 역시 급격히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 |
청소년기에 많은 영양소를 필요로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청소년기에는 성장 발달 속도가 빠르고, 활동량과 학습량이 늘어나 많은 영양소를 필요로 하며 식욕도 왕성하다. 제 2의 성장기인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생리적으로 급속한 성장변화를 나타내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의 영양은 일생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된다(1). | |
식품표시제도가 필요해진 배경은? | 식품표시제도는 식품에 관한 각종 정보, 즉 원재료명, 내용량, 제조일자 및 유통기한, 영양성분, 주의사항 표시 등에 관한 정보를 제품의 포장이나 용기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자는 소비자가 건전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확한 구매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는 자신의 요구에 부합하는 식품을 선택하는 공정한 거래 확보를 통하여 소비자를 보호하는 제도이다(8). 영양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이 식품의 양보다는 질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에 따른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 역시 급격히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특수한 환경에 처한 환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식품과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식품을 구별해야 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으며 국가간 식품교역량의 증가로 세계 각국의 각종 식품을 빈번하게 대하게 되는 요즈음의 현실을 감안할 때 식품표시에 대한 깊은 이해가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9). |
Park SH, Jung RW, Lee HG. 1991. The study on the state of health and eating habits of boy's and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Sci 7: 67-80.
Kim ES, Koh MS, Jung LH. 2005.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n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 53-70.
Oh YM, Kim MH, Sung CJ. 2005. Effects of school lunch program on nutritional knowledge and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163-173.
Kim DS, Lee JW. 2002. Use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s in processed foo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8: 301-310.
Jung IK, Kim JS. 2007.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the Food and Nutrition area of the home economics subject by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8: 219-230.
Park HR, Min YH.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with a reference to the consumer awarenes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155-166.
Ko HR, Park MS, Song MY, Lee JW. 2006. Effect of nutrition-related education on the acceptance of TV food advertise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108-11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4. Study on a strategic framework for mandatory nutrition labeling on food labels.
Park HR, Min YH, Chung HR.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2): comparative perceptions of consumers, producers and government official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175-184.
Lee IS, Choi BS, You DR, Park YM. 2002. Colleg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the nutrition labels on food package. Korean J Food Culture 17: 299-308.
Chung EJ, Jeon JS, Ahn HS. 2010.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food & nutrition labels and dietary behaviors of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6: 239-254.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519-533.
Bae YJ, Yeon JY. 2011. Dietary behaviors,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awareness levels of nutrition labe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middle region by breakfast eating.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7: 387-402.
Park SS, Kim NY, Han MJ. 2008.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food and nutrition labeling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164-173.
Lee JW, Kim DS. 2003. Recognition of processed foods may affect the use of food labelings in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9: 185-196.
Gadema Z, Oglethorpe D. 2011. The use and usefulness of carbon labelling food: a policy perspective from a survey of UK supermarket shoppers. Food Policy 36: 815-822.
Roos E, Tjarnemo H. 2011. Challenges of carbon labelling of food products: a consumer research perspective. British Food J ournal 113: 982-996.
Balcombe K, Fraser I, Di Falco S. 2010. Traffic lights and food choice: A choice experimen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food labels and price. Food Policy 35: 211-220.
Ko EK, Yeo JS. 2007. An analysis of foods labeling standards. J Consumer Studies 18: 1-21.
Ryu KA. 2008. The recognition and the use of indicated nutritional facts for middle-school students in some areas of Seoul.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p 73-77.
Song HJ. 2009. The effects of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on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 knowledge by high school students in Jeonju area.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Korea.
Lee JI. 2006.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on perception and using of nutrition label in middle school curriculum.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Lee HY, Kim MK. 2008. 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 women. Korean J Nutr 41: 839-850.
Lee EJ, Soh HK, Choi BS. 2007. Problems analysis related to nutrition and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I)-A study centered on analyzing problems of dietary life for nutrition education goal sett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338-350.
Park HH. 2002. A study on nutritional knowledge, perception and use of fortified foo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Choi HJ. 2007.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actical behavior regarding nutrition labeling of girl's middle school students-Daegu city-.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Jeong HH. 2005. High-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food & nutrition facts.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