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손 마사지 중재 논문 분석: 수면, 통증, 우울,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tudies on Hand Massage Published in Korea: On the Effects of Sleep, Pain, Anxiety and Depression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5 no.1, 2012년, pp.47 - 53  

김인자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조유나 (대전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the feasibility and provide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regarding hand massage, studies on hand massage published in Korea were analyzed. Methods: Using the key word of hand massage, 23 studies which identified the effects on sleep, pain, anxiety and depression were fou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손 마사지 효과를 측정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의 손 마사지의 활용을 증진시키고자 시행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간호현장에서 독자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서의 손 마사지의 효율성을 확인하고 그 효과를 적극 알려 다양한 현장에서 더욱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손 마사지 관련 연구들을 타당도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적용방법에 따라 효과가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손 마사지 연구들을 분석하여 연구 경향을 파악하고, 연구 타당도를 분석하고, 중재방법과 결과 변수, 특히 비교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수면, 통증,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임상이나 실무에서 활용할 때 고려할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타당도 측면의 분석을 통하여 손 마사지 연구의 타당도를 증진시켜 간호의 지식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 현장에서 독자적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손 마사지의 연구 방향과 실무에 적용할 때 고려할 점들을 제시하고자 국내에 발표된 23편의 손 마사지 중재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손 마사지와 아로마 손 마사지의 효과크기와 두 방법을 비교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아로마 손 마사지가 손 마사지보다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술지에 발표된 손 마사지 중재 논문들의 연구 경향과 수면, 통증, 불안, 우울에 미친 효과크기를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손 마사지의 효율성을 확인하고 앞으로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간호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의 손 마사지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하여 국내 학술지에 ‘손마사지’, ‘손맛사지’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중재 연구 논문 중 선정기준에 맞는 23편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에게 손 마사지 적극 활용을 권장하는 이유는? 손 마사지는 비용이 들지 않고, 신체의 어느 다른 부위보다 접근가능성이 높아 대상자나 상황의 특성과 관계없이 적용하기 쉽고, 특별한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없이 간호사가 독자적으로 시행할 수 있어 다른 어느 독자적 간호중재보다 활용성이 높다. 또한 간호사와 대상자의 손 접촉은 라포 형성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간호사들에게 적극 활용을 권장할 중재법 중 하나이다(Kim, 1991).
손 마사지의 이론적 근거는 무엇인가? 손 마사지는 대상자의 손 표면이나 경락을 쓰다듬거나, 누르거나, 문지르는 행동으로 혈액순환을 증진시키고, 세포에 영양공급을 촉진하여(Prentice, 1990; Snyder, Egan, & Burn, 1995) 통증, 혈압, 맥박 등과 같은 신체적 증상과 불안, 우울, 기분상태 등 심리적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이론적 근거아래 독자적인 간호중재로 사용하는 대체 / 보완요법 중 하나이다(Degirmen, Ozerdogan, Sayiner, Kosgeroglu, & Ayranci, 2010; Kunikata, Watanabe, Miyoshi, & Tanioka, 2012). 손 마사지는 비용이 들지 않고, 신체의 어느 다른 부위보다 접근가능성이 높아 대상자나 상황의 특성과 관계없이 적용하기 쉽고, 특별한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없이 간호사가 독자적으로 시행할 수 있어 다른 어느 독자적 간호중재보다 활용성이 높다.
손 마사지가 다른 어느 독자적 간호중재보다 활용성이 높은 이유는? 손 마사지는 대상자의 손 표면이나 경락을 쓰다듬거나, 누르거나, 문지르는 행동으로 혈액순환을 증진시키고, 세포에 영양공급을 촉진하여(Prentice, 1990; Snyder, Egan, & Burn, 1995) 통증, 혈압, 맥박 등과 같은 신체적 증상과 불안, 우울, 기분상태 등 심리적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이론적 근거아래 독자적인 간호중재로 사용하는 대체 / 보완요법 중 하나이다(Degirmen, Ozerdogan, Sayiner, Kosgeroglu, & Ayranci, 2010; Kunikata, Watanabe, Miyoshi, & Tanioka, 2012). 손 마사지는 비용이 들지 않고, 신체의 어느 다른 부위보다 접근가능성이 높아 대상자나 상황의 특성과 관계없이 적용하기 쉽고, 특별한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없이 간호사가 독자적으로 시행할 수 있어 다른 어느 독자적 간호중재보다 활용성이 높다. 또한 간호사와 대상자의 손 접촉은 라포 형성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간호사들에게 적극 활용을 권장할 중재법 중 하나이다(Kim,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uckle, J. (1997). Clinical aromatherapy in nursing. London: Arnold. 

  2. Chang, S. Y. (2008).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pain,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in hospic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4), 493-502. 

  3. Cho, K. S. (1999). The effect of hand massage program on anxiety and immune function in clients with cataract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1), 97-106. 

  4. Choi, Y. S., Kim, S. H., Sohn, K. J., Kim, M. J., Lee, J. B., & Kim, J. A. (2005). Aromatherapy self-hand massage in breast cancer patients. International Society of Integrative and Alternative Medicine, 1 (2), 65-75. 

  5. Degirmen, N., Ozerdogan, N., Sayiner, D., Kosgeroglu, N., & Ayranci, U. (2010). Effectiveness of foot and hand massage in postcesarean pain control in a group of Turkish pregnant women. Applied Nursing Research, 23 (3), 153-158. 

  6. Hong, J. Y., & Yoon, H. J. (2003). The effects of preoperative information and hand massage on postoperative satisfaction score after cesarean section under combined spinal-epidur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5, 492-497. 

  7. Hyun, K. S., Lee, H. Y., Kang, S. C., Yoon, K. J., Kim, H. S., Kim, H. N., et al. (2001). The effect of hand massage program on anxiety in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3 (2), 340-349. 

  8. Jang, H. J. (2000). The psychological effect of hand and arm massage o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6), 1389-1399. 

  9. Kang, H. S., Sok, S. R., & Kang, J. S. (2007). Comparison of effects of meridian massage and hand massage on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3), 270- 279. 

  10. Kim, H. R. (1991). The meaning of touch in nursing. The Korean Central Journal of Medicine, 56 (8), 577-584. 

  11. Kim, J. M. (2000). The effect of hand massage on the anxiety of the hysterectomy patient immediately prior to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2), 476-487. 

  12. Kim, M. S., & Cho, K. S. (1999). The anxiety level and comparing antianxietic effect of between hand massage program and intramuscular diazepam injection in cataract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40 (2), 383-395. 

  13. Kim, S. M. (2009). The effect of aromatherapy and hand massage on anxiety, sleep, and depression in the female aged at residential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4), 493-502. 

  14. Kunikata, H., Watanabe, K., Miyoshi, M., & Tanioka, T. (2012). The effects measurement of hand massage by the autonomic activity and psychological indicators. The Journal of Medical Investigation, 59 (1-2), 206-212. 

  15. Lee, E. O., L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I., Bae, J. Y.,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Seoul: Soomoonsa. 

  16. Lee, E., & Kim, K. S. (2011). The effect of aroma hand massage on anxiety and sleep in cancer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 (1), 42-53. 

  17. Lee, J. E., Lee, Y. W., & Kim, H. S. (2011).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the stress response and sleep of elderly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4), 480-487. 

  18. Oh, H. J., & Park, J. S. (2004). Effects of hand massage and hand holding on the anxiety in patients with local infiltration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6), 924-933. 

  19. Park, M. S., & Suh, M. J. (1995). The effect of the hand massage on anxiety of the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trea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 (2), 316-329. 

  20. Park, S. H., & Soh, H. O. (2010). Effects of aroma massage on depression and well-being in the 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 (3), 840-849. 

  21. Prentice, W. E. (1990). Therapeutic modalities in sports medicine (2nd ed.). St. Louis, MO: Mosby. 

  22. Rosenstein, D. L. (2011). Depression and end-of-life care for patients with cancer. Dialogues Clinical Neuroscience, 13 (1), 101-108. 

  23. Seo, S. Y., & Chang, S. Y. (2009).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sleep,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4), 372-380. 

  24. Snyder, M., Egan, E. C., & Burn, L. R. (1995). Efficacy of hand massage in decreasing agitation behaviors associated with care activities in persons of dementia. Geriatric Nursing, 16, 60-63. 

  25. Song, M. S., & Kim, N. C. (2009). Effect of hand massage on fatigue, sleep satisfaction and blood pressure of the aged in a long-term care facilit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 (2), 179-186. 

  26. Song, Y. S. (2002). The effect of hand massage on pain and anxiety related to chest tube removal in patients with a lobectom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9 (1), 27-44. 

  27. Suh, M., Kim, K., Kim, I., Cho, N., Choi, H., & Noh, S. (2005). Caregiver's burden, depression and support as predictors of post-stroke depression: A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2, 611-6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