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원예치료 평가지표 구성요소 개발
Development of Elements of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Indices (HTEI) through Delphi Method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0 no.3, 2012년, pp.308 - 324  

임은애 (건국대학교 환경시스템학부) ,  손기철 (건국대학교 환경시스템학부) ,  감정기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원예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영역과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여 평가도구의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24명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는 검사 문항의 내용타당도 계수와 합의도, 수렴도, 안정성 등을 매 차수별 산출함으로써 문항들을 수정, 보완, 삭제, 추가하는 일을 거듭했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관련문헌, 측정도구의 분석, 전문가 개방식 조사 및 심층 면접을 통해 신체적, 인지적, 심리 정서적, 사회적 영역 등 4개 영역의 112개 항목으로 구성된 검사도구의 기본 틀을 마련하고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2차 시안에서4개의 영역에 총 107개 항목, 3차 시안에서 4개의 영역에 총 102개 항목이 개발되었다. 최종적으로 원예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영역은 4개의 영역, 총 98개 항목으로 확정되었다. 신체적 영역은 5개 구성인자에 27개의 항목, 인지적 영역은4개 구성인자에 25개의 항목, 심리 정서적 영역은 2개 구성인자에 24개의 항목, 사회적 영역은 4개 구성인자에 22개의항목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원예치료 효과의 영역, 구성인자 및 문항들은 향후 원예치료 평가도구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기획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construct the elements of a new evaluation tool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 horticultural therapy. Delphi method was applied to classify the realms of evaluation and specify their components and constituting items. Delphi process was performed through t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패널들의 반응과 부기된 견해들 사이에 편차가 커서 연구자 단독으로 판단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원예치료 전공 박사 3인과 치료 경력 15년의 원예치료사 1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를 거쳤다. 단독처리로 인한 오류 발생의 여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1차 조사 결과 수정, 보완, 삭제, 추가 등을 거쳐 정제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 1차 조사의 설문지는 신체적, 인지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구성인자와 측정항목의 적절성 등에 대한 패널의 의견을 Likert 방식의 5점 척도로 구분된 응답지에 직접 표기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구분한 검사영역과 구성인자, 그리고 영역별 측정 내용과 항목 등에 대해 수정, 삭제, 보완, 추가되어야 할 내용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1차 조사의 설문지는 응답자의 개인적 속성을 파악하는 6개 문항과 함께 4개 영역에서 총 112개의 세부 평가항목이 제시되었다.
  • , 1990). 본 연구는 응답 일치성이 높은 안정도의 변이계수를 참조하여 3차까지 실시하여 원예치료의 효과를 측정하는 평가지표의 모델을 구축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원예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영역과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여 평가도구의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24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 연구는 실질적인 치료행위가 이뤄지는 다양한 임상적 상황에서 원예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게 될 도구의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는 관계로, 사회적 지위보다는 섬세한 치료상황에 대한 분석적 안목(analytic understanding)과 원예치료의 전반적 맥락과 과정을 꿰뚫어 보는 종합적 통찰력(synthetic insight)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임상경험을 전문성 판단의 주요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 그러나 아직까지 원예치료 효과 측정의 영역과 세부항목 및 그 측정방법 등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상자의 특성과 연구자의 관심 여하에 따라 산만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와 같은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대상자에 대해 다면적 영역에서 종합적으로 원예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도구의 모형을 세워보려 한 것이 본 연구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4가지 유형의 검사도구들은 전체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검사도구로서 원예치료의 효과를 측정해 주는 데 적절한 문항들로 판명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료사로 하여금 원예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무엇이 있는가? 그동안 치료사로 하여금 원예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도록 고안된 평가도구들이 국내외에서 소수 개발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예를 몇 가지 들면, 작업치료에서 집단활동시 대상자의 참여도와 작업태도 및 흥미 등을 알아보기 위해 만든 것을 원용한 Oseas(1961)의 원예활동 평가표(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뉴욕대학 메디컬센터에서 초기에 사용하였던 원예치료 그룹활동평가표(horticultural therapy group activity treatment procedure), 한국원예치료협회에서 만든 원예작업 활동 평가표(horticulture task skill inventory), 그리고 국내에서 만들어 사용되고 있는 원예치료진단표(KHY)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삶의 질 개선을 겨냥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일본의 한 노인시설에서 정신적, 사회적, 신체적, 원예기술적 영역으로 나누어 프로그램 개발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예치료 평가도구를 개발한 바도 있다(Matsuo et al.
델파이 조사 결과는 어떤 방식으로 산출 하였는가?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24명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는 검사 문항의 내용타당도 계수와 합의도, 수렴도, 안정성 등을 매 차수별 산출함으로써 문항들을 수정, 보완, 삭제, 추가하는 일을 거듭했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관련문헌, 측정도구의 분석, 전문가 개방식 조사 및 심층 면접을 통해 신체적, 인지적, 심리 정서적, 사회적 영역 등 4개 영역의 112개 항목으로 구성된 검사도구의 기본 틀을 마련하고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최종적으로 원예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영역은 총 몇 개의 항목으로 확정되었는가? 그 결과 2차 시안에서4개의 영역에 총 107개 항목, 3차 시안에서 4개의 영역에 총 102개 항목이 개발되었다. 최종적으로 원예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영역은 4개의 영역, 총 98개 항목으로 확정되었다. 신체적 영역은 5개 구성인자에 27개의 항목, 인지적 영역은4개 구성인자에 25개의 항목, 심리 정서적 영역은 2개 구성인자에 24개의 항목, 사회적 영역은 4개 구성인자에 22개의항목으로 확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Ahn, H.S. 2004.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applied by social reinforcement on the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s in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MS Thesis, Konkuk Univ., Seoul. 

  2. Cho, M.K. 2008. Horticultural therapy as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BPSD in dementia. PhD. Diss., Konkuk Univ., Seoul. 

  3. Cho, W.K., J.M. Cho, E.A. Im, and K.C. Son. 2007. Studies of actual conditions of horticultural therapists' activities and the promotion of their status. J. Kor. Soc. Plants People Environ. 10:120-138. 

  4. Choi, Y.A. 2003. Horticultural therapy. Hakjisa, Seoul. 

  5. Chung, K.Y., H.B. Kim, and S.H. Lee. 2005. A study on scale development to measure hotel brand equity. Rev. J. Hotel Administration 14:151-166. 

  6. Dajani, J.S., M.Z. Sincoff, and W.K. Tally. 1979. Stability and agreement criteria for the termination of delphi studies. Technol. Forecasting Social Change 13:83-90. 

  7. Han, I.J. 2005.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mental symptomatic relief and rehabilitation of schizophreniacs. PhD. Diss., Catholic Univ., Daegu. 

  8. Hensley, R.L. 1999. A review of operations management studies using scale development techniques. J. Operations Mgt. 17:343-358. 

  9. Hong, M.O. 2009.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upon empowerment model on the improvement of self esteem and parent efficacy of disable children's mother. MS Thesis, Konkuk Univ., Seoul. 

  10. Hwang, S.Y. 2008. The development of an e-CRM activity scale in tourism industry: The case of hotels, travel agencies, airlines and restaurants. PhD. Diss., Sejong Univ., Seoul. 

  11. Hyun, J.S., E.A. Im, M.K. Cho, and K.C. Son.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lity of the mentally retarded persons in the group home. J. Environ. Life Res. 29:1-10. 

  12. Im, E.A. 2010.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examination of its efficacy. PhD. Diss., Konkuk Univ., Seoul. 

  13. Im, B.J., H.D. Rro, S.B. Kang, D.J. Kim, and E.K. Chung. 1990. Decision making of the order of priority in sport for all investment. J. Res. Inst. Phys. Educ. 11(2):19-48. 

  14. Jang, K.Y. 2010.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PhD. Diss., Sookmyung Women's Univ., Seoul. 

  15. Jeong, S.A. 2005.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y phase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on the psychosomatic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MS Thesis, Konkuk Univ., Seoul. 

  16. Jeong, W.M. 2006. Occupational therapy. Jungdammedia, Seoul. 

  17. Kang, M.H. 2005. Effects of horticultural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on, emotion, communication and problematic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Alzheimer. PhD. Diss., Chungnam Natl. Univ., Daejeon. 

  18. Kang, Y.J., J.K. Park, and I.S. Gu. 2008. Validation of the self concept and self acceptance tes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EDI Rept. Korea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for Disabled People, Seongnam, Korea. 

  19. Kim, J.H., M.K. Cho, H.S. Park, S.H. Joo, and K.C. Son. 2008.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social skill 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ity of women with mental retardation. Kor. J. Hort. Sci. Technol. 26:81-89. 

  20. Kim, K.S. 2008.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Kor. J. Music Therapy 10:1-18. 

  21. Kim, M.J. 2006.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scale in participant sports. Proc. Autumn Conf. Korea Contents Acad. 4:124-128. 

  22. Kim, N.E. 2004.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activity performance assessment (HAPA) for mild and moderate mentally retarded people. MS Thesis, Konkuk Univ., Seoul. 

  23. Kim, S.M., Y.J. Lee, and H.J. Kim. 2009.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joint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upper extremities of elderly with impaired cognition. J. Kor. Gerontological Soc. 29:987-1000. 

  24. Kim, S.Y., K.C. Son, H.J. Jeong, J.H. Yu, B.S. Kim, and S.U. Park. 2003.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functional rehabilitation in 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J. Kor. Soc. Hort. Sci. 44:780-785. 

  25. Lawshe, C.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563-575. 

  26. Lee, C.S. 2001. Delphi method. Gyoyukgwahaksa, Seoul. 

  27. Lee, E.H., H.R. Kwack, and H.S. Kim. 2003. The theory and the practice of the horticulture therapy focused on the elderly. Yucheon, Seoul. 

  28. Lee, E.S., M.K. Cho, J.W. Yoon, and K.C. Son. 2008.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reminiscence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improvement of the aged. Kor. J. Hort. Sci. Technol. 26:177-188. 

  29. Lee, H.J. 2009.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self-esteem and sociality of former female prostitutes. MS Thesis, Korea Univ., Seoul. 

  30. Lee, J.W. 2008. Development of golf swing rating scale based on computer. PhD. Diss., Korea Sports Univ., Seoul. 

  31. Lee, S.H., E.A. Im, M.K. Cho, and K.C. Son. 2007a.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demented old adults. J. Kor. Soc. Plants People Environ. 10(4):40-47. 

  32. Lee, S.M. 2007.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to each client and the economic value by income approach. PhD. Diss., Dankook Univ., Chunan. 

  33. Lee, S.S. 2006. Approach to rehabilitative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motion analysis of flower arrangement. PhD. Diss., Konkuk Univ., Seoul. 

  34. Lee, Y.A., H.J, Hwang, J.E. Song, and K.C. Son, 2007b.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 Based Upon Logo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Purpose in Life and Ego Identity of Middle-aged Women. Kor. J. Hort. Sci. Technol. 25:277-290. 

  35. Matsuo, E. 2005. Recommendation of the horticulture, environment, education, welfare, gardening of district. Nongmin, Tokyo. 

  36. Matsuo, E. Relf and M. Burchett. 2008.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system using three elements (programsupport-client). Acta Hort. 790:54-61. 

  37. Mattson, R.H. 1982. A graphic defini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model, p. 43-58. In: R.H. Mattson and J. Shoemaker (eds.). Defining horticulture as a therapeutic modality. Department of Horticulture, Kansas State University, Manhattan. 

  38. Na, K.M. 2006.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self esteem and reduction of state trait anxiety of alternative school student. MS Diss., Konkuk Univ., Seoul. 

  39. Oh, E.K., E.A. Im, M.K, Cho, and K.C. Son. 2008.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old adults who have hemiplegia after stroke and retrograde arthritis. J. Environ. Life Res. 30:15-23. 

  40. Oh, S.G. 2008. Roles and functions of industrial educational institutions perceived by industrial educational experts in knowledge-based society. PhD. Diss., Korea Natl. Educ. Univ., Cheongju. 

  41. Oseas, L. 1961. Therapeutic potentials for work: Arch. Gen Psychiatry 4:622-631. 

  42. Park, D.Y. I.J. Ju, S.N. Kim, and J.H. Byun. 2010.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y model using a delphi techniqu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29:349-385. 

  43. Park, G.J. 2008a. Real-time delphi technique. Planning Policy 317:132-139. 

  44. Park, H.R. 2007.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griteria for general curriculum of the 4-year colleges. J. Curriculum Studies 25:109-132. 

  45. Park, H.Y. 2008b.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of service quality for dance company. PhD. Diss., Sookmyung Women's Univ., Seoul. 

  46. Park, Y.W. 2000.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change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mprovement of old stroke patient in day-care center. MS Diss., Konkuk Univ., Seoul. 

  47. Relf, D. 2008.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oretical models for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in horticultural therapy. Acta Hort. 775:79-91. 

  48. Rho, S.R. 2006. Delphi technique. Planning Policy 299:53-62. 

  49. Sempik, J., J. Aldridge, and S. Becker. 2003. Social and therapeutic horticulture: Evidence and messages from research. Centre for Child and Family Research, Loughborough University, Loughborough. 

  50. Shoemker, C.A. and M.-C. Lin. 2008. A model for healthy aging with horticulutre. Acta Hort. 775:93-98. 

  51. Son, K.C., H.J. Jung, H.J. Bae, and J.E. Song. 2004.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chizophrenia. Kor. J. Hort. Sci. Technol. 22:135-142. 

  52. Son, K.C., M.K. Cho, J.E. Song, S.Y. Kim, and S.S. Lee. 2006. Practice of professional horticultural therapy. Koobook, Seoul. 

  53. Son, K.C., S.K. Park, H.O. Boo, K.Y. Paek, K.Y. Bae, S.H. Lee, and B.G. Huh. 1997. Horticultural therapy. Sewon Press, Seoul. 

  54. Song, G.J. 2007.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the rehabilitation assessment on the changes of cognitiv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the demented old adults. MS Diss., Konkuk Univ., Seoul. 

  55. Suh, J.K., J.S. Lee, B.H. Kwack, H.R. Kwack, and A.K. Lee. 2000. Horticultural therapy. Dankook Univ. Press, Seoul. 

  56. Sung, H.R., H.J. Lee, Y.S. Park, S.M. Park, Y.O. Yu, and Y.S. Sohn. 2006. Cognitive intervention. Hakjisa, Seoul. 

  57. Yeum, D.M.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deaf identity scale of hearing disabled people. PhD. Diss., Kyungsung Univ., Pusan. 

  58. Yun, S.Y. 2008.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pincus' theory of rehabilitation practice on demented elders' daily activity functions and physiological changes. PhD. Diss., Catholic Univ.,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