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소도핑 메조다공성 산화티타늄 나노입자의 합성 및 리튬이온전지 음극재로의 적용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Nitrogen Doped Mesoporous TiO2 Nanoparticles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18 no.2 = no.57, 2012년, pp.177 - 182  

윤태관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배재영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박성수 (삼성SDI 주식회사 중앙연구소) ,  원용선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i-block copolymer를 유연 템플레이트로 사용한 수열합성법에 의해 메조다공성 아나타제상 $TiO_2$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TiO_2$ 재료는 $230m^2/g$의 매우 큰 표면적을 가졌으며 6.8 nm의 기공크기와 0.404 mL/g의 기공부피를 보였다. 리튬이 온전지 음극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코인셀 테스트를 실시하였는데 0.1 C에서 240 mAh/g의 방전 용량을 얻었으며 이는 LTO ($Li_4Ti_5O_{12}$)의 이론 방전 용량인 175 mAh/g 보다 훨씬 큰 값이었다. 비록 C-rate가 증가함에 따라 용량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메조다공성 $TiO_2$ 재료는 리튬 이온이 침투할 수 있는 큰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는 면에서 여전히 리튬 이온전지의 음극재로서 가능성이 있다. 추가적으로 질소를 도핑하여 $TiO_2$ framework 내의 전자 이동을 향상시킴으로써 C-rate 증가에 따른 용량 감소를 일부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soporous anatase $TiO_2$ nanoparticles have been synthesized by a hydrothermal method using a tri-block copolymer as a soft template. The resulting $TiO_2$ materials have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of $230\;m^2/g$, a predominant pore size of 6.8 nm and a pore v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tri-block copolymer를 템플레이트로 한 수열합성법[2]를 이용하여 표면적인 큰 메조다공성 아나타제상 TiO2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이를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재로 적용, 코인셀 테스트를 통해 기존 LTO (Li4Ti5O12)와 비교하여 용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 기존의 메조다 공성 아나타제상을 그대로 유지하며 질소가 도핑된 TiO2 나노입자를 추가로 합성하고 도핑으로 인해 향상된 TiO2 구조 내의 전자 이동이 C-rate 특성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고자 한다.
  • )와 비교하여 용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 기존의 메조다 공성 아나타제상을 그대로 유지하며 질소가 도핑된 TiO2 나노입자를 추가로 합성하고 도핑으로 인해 향상된 TiO2 구조 내의 전자 이동이 C-rate 특성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TO가 리튬이온을 충전하는 원리는? 음극으로 사용되는 LTO는 spinel 층상 구조(Li4Ti5O12)로서 rock salt 구조(Li7Ti5O12)로 상전이가 일어나며 리튬 이온이 충전되는데 이론 용량이 1.5 V에서 175 mAh/g으로 Table 1에서 보듯이 흑연에 비해 약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
MS-TiO2 시스템이 개발되는 이유는? Table 1은 PHEV (Plug-in HEV) 에 적용될 수 있는 전지 시스템을 정리하였다[5]. 표에서도 알수 있듯이 MS-TiO2 시스템은 비록 용량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흑연 음극의 고질적인 망간(Mn) 용출에 의한 안전성 이슈를 해결할 수 있어 현재 Figure 1과 같이 EnerDel/Argonne Advanced High-Power Lithium-Ion Battery (MS-TiO2 system) 가 토요타 Prius에 적용되는 등 개발 단계에 있다.
메조다공성 아나타제상 TiO2 나노입자의 단점은? 1 C에서 기존 LTO (Li4Ti5O12)의 이론적 방전 용량인 175 mAh/g 보다 훨씬 높은 240 mAh/g의 용량을 얻었다. 다만 C-rate가 증가할수록 기공 내 리튬 이온의 확산에 대한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용량이 C-rate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질소 도핑이 이러한 용량의 감소를 일부 제어할 수있음을 또한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wak, B. S., Choi, H. -C., Woo, J. -W., Lee, J. -S., An, J. -B., Ryu, S. G., and Kang, M., "Photo-electr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over P- and B- Incorporated $TiO_2$ Nanometer Sized Photo-catalysts," Clean Technol., 17, 78-82 (2011). 

  2. Yun, T. K., Park, S. S., Kim, D., Hwang, Y. -K., Huh, S., Bae, J. Y., and Won, Y. S., "Pore-size Effect on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Composed of Mesoporous Anatase-titania," J. Power Sources, 196, 3678-3682 (2011). 

  3. "Energy Storage Research and Development," Annual Progress Report, Department of Energy (USA) (2009). 

  4. Bang, J. M., Cho, Y. I., and Na, B. -K., "Manufacture of Titaniasilica Composite Anode Materials by Sol-gel Method," Clean Technol., 16, 140-144 (2010). 

  5. Nelson, P., "Advanced Lithium-ion Batteries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Technical Report, Argonne National Laboratory (USA). 

  6. Reddy, M. A., Kishore, M. S., Pralong, V., Caignaert, V., Varadaraju, U. V., and Raveau, B., "Room Temperature Synthesis and Li Insertion into Nanocrystalline Rutile $TiO_2$ ," Electrochem. Commun., 8, 1299-1303 (2006). 

  7. Guo, Y. -G., Hu, Y. -S., and Maier, J., "Synthesis of Hierarchically Mesoporous Anatase Spheres and their Application in Lithium Batteries," Chem. Commun., 2783-2785 (2006). 

  8. Wang, D., Choi, D., Yang, Z., Viswanathan, V. V., Nie, Z., Wang, C., Song, Y., Zhang, J. -G., and Liu, J., "Synthesis and Li-ion Insertion Properties of Highly Crystalline Mesoporous Rutile $TiO_2$ ," Chem. Mater., 20, 3435-3442 (2008). 

  9. Lai, C., Yuan, X. C., Cao, X. L., Qiao, Q. Q., Wang, Y. L., and Ye, S. H., "Enhanced High-Rate Capability of the C-N-Doped $TiO_2$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y," Electrochem. Solid-State Lett., 15, A65-A67 (2012). 

  10. Yan, M. C., Chen, F., Zhang, J. L., and Anpo, M., "Preparation of Controllable Crystalline Titania and Study on the Photocatalytic Properties," J. Phys. Chem. B, 109, 8673-8678 (2005). 

  11. Kruk, M., and Jaroniec, M., "Gas Adsorption Characterization of Ordered Organic-inorganic Nanocomposite Materials," Chem. Mater., 13, 3169-3183 (2001). 

  12. Asahi, R., Morikawa, T., Ohwaki, T., Aoki, K., and Taga, Y., "Visible-light Photocatalysis in Nitrogen-doped Titanium Oxides," Sci., 293, 269-271 (2001). 

  13. Sathish, M., Viswanathan, B., Viswanath, R. P., and Gopinath, C. S., "Synthesis, Characterization, Electronic Structure,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Nitrogen-doped $TiO_2$ Nanocatalyst," Chem. Mater., 17, 6349-6353 (2005). 

  14. Sakthivel, S., Janczarek, M., and Kisch, H., "Visible Light Activity and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Nitrogen Doped $TiO_2$ ," J. Phys. Chem. B, 108, 19384-19387 (2004). 

  15. Irie, H., Watanabe, Y., and Hashimoto, K., "Nitrogen-concentration Dependence on Photocatalytic Activity of $TiO_2$ - xNx Powders," J. Phys. Chem. B, 107, 5483-5486 (2003). 

  16. Aoki, K., Morikawa, T., Ohwaki, T., and Taga, Y.,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Formaldehyde and Toluene Mixtures in air with a Nitrogen-doped $TiO_2$ Photocatalyst," Chem. Lett., 35, 616-617 (2006). 

  17. Chen, X., and Burda, C., "Photoelectron Spectroscopic Investigation of Nitrogen-Doped Titania Nanoparticles," J. Phys. Chem. B, 108, 15446-15449 (2004). 

  18. Tokudome, H., and Miyauchi, M., "NX Doped $TiO_2$ Nanotube with Visible Light Activity," Chem. Lett., 33, 1108-1109 (2004). 

  19. Senthilnathan, J., and Philip, L.,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Lindane under UV and Visible Light Using N-doped $TiO_2$ ," Chem. Eng. J., 161, 83-9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