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치계 소프트 카본 음극재 제조 시 피치의 연화점이 음극재 초기 효율 및 율속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tch Softening Point-based on Soft Carbon Anode for Initial Efficiency and Rate Performanc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3, 2019년, pp.331 - 336  

김경수 (한국화학연구원(KRICT) 탄소산업선도연구단) ,  임지선 (한국화학연구원(KRICT) 탄소산업선도연구단) ,  이종대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지홍 (한국화학연구원(KRICT) 탄소산업선도연구단) ,  황진웅 (한국화학연구원(KRICT) 탄소산업선도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차전지의 초기 효율과 율속 특성의 향상을 위해 피치계 소프트 카본 음극재의 요구 물성 및 제조 공정변수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치는 석유계 잔사유를 사용하여 공정 온도를 변수로 합성하였다. 공정온도를 각각 360, 370, $410^{\circ}C$에서 3 h 진행하여, 86, 98, $152^{\circ}C$연화점을 갖는 피치를 제조하였다. 피치의 원소분석과 열적 특성을 EA 분석과 TGA 분석을 통해 고찰한 결과, 높은 연화점을 갖는 경우 낮은 H/C 및 발달된 열적안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얻어진 피치를 $1,200^{\circ}C$에서 1 h 동안 탄화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소프트 카본계 음극재를 제조하였다. XRD 분석을 통해 결정 구조를 고찰한 결과, 연화점이 높은 피치에서 제조된 소프트 카본은 상대적으로 고비점의 성분들로 구성되어 탄화 열처리공정 시 증발 성분의 감소 및 고리화에 참여하는 성분들의 증가로 인하여 결정성이 증가하였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결정성이 향상된 소프트 카본계 음극재에서 향상된 초기 효율과 율속 특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향상된 초기 효율 및 율속 특성은 소프트 카본계 음극재의 발달된 결정 구조에서 기인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required properties and optimized procedure conditions for the pitch based soft carbon anode of lithium ion battery was investigated for improving the initial efficiency and rate performance. Each petroleum residue was thermally treated at 360, 370, and $410^{\circ}C$ for 3...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피치계 소프트 카본 음극재 제조 시 피치의 연화점이 초기 효율 및 율속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FO를 사용하여 반응 온도를 공정변수로 분자량 및 연화점이 조절된 피치를 합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피치계 소프트 카본 음극재를 제조 시 율속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변수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반응 온도를 공정변수로 제조된 연화점이 다른 피치를 제조 및 분석하고, 열처리를 진행하여 연화점이 흑연 구조의 발달 및 전기화학적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연화점이 다른 P1, P2, P3에서 열처리를 하여 제조된 소프트 카본을 각각 A1, A2, A3로 명명하였다. 소프트 카본 제조의 열처리 조건은 피치의 제조 온도 및 앞 단락에서 설명한 피치의 열적 특성을 토대로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피치의 중합반응을 고려하여 정하였다. 본 공정에서는 500 ℃에서 1 h 유지한 후 1,200 ℃까지 승온하여 1 h 유지 조건으로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 1 C)의 율속 특성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피치계 소프트 카본 음극재의 율속 및 초기 효율 특성이 피치의 높은 연화점이 소프트 카본의 구조적 발달 및 안정성에 의해 향상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흑연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흑연은 자연에서 생성되는 천연흑연과 코크스 및 피치를 활용하여 2,400 °C 이상의 열처리를 통해 제조되는 인조흑연이 있다[8-10]. 천연흑연은 인조흑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가인 장점이 있지만, 품질의 폭이 넓고 충⋅방전 시 모서리 면에 박리나 구조적 붕괴가 상대적으로 쉽게 발생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9,11]. 반면, 인조흑연은 반복적인 충⋅방전에도 변화가 작은 구조적 안정성이 있지만, 고가인 단점이 있다[10,11].
흑연이란 무엇인가? 현재까지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소재로는 흑연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흑연은 SP2기반 구조적 안정성을 가져 높은 효율과 사이클 성능으로 인해 널리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음극 재료이다[6,7]. 흑연은 자연에서 생성되는 천연흑연과 코크스 및 피치를 활용하여 2,400 °C 이상의 열처리를 통해 제조되는 인조흑연이 있다[8-10].
높은 율속 특성을 갖는 전극 소재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인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전기자동차를 상용화하기 위해서 주행거리 및 충전시간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동안 배터리 용량증가에 의한 주행거리 증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상대적으로 충전시간에 대한 연구는 뒤늦게 진행되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높은 율속 특성을 갖는 전극 소재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 Dubarry, C. Truchot, M. Cugnet, B. Y. Liaw, K. Gering, S. Sazhin, D. Jamison, and C. Michelbacher, Evaluation of commercial lithium-ion cells based on composite positive electrode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Part I: Initial characterizations, J. Power Sources, 196, 10328-10335 (2011). 

  2. V. A. Sethuraman, K. Kowolik, and V. Srinivasan, Increased cycling efficiency and rate capability of copper-coated silicon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96, 393-398 (2011). 

  3. S. Zhang, Z. Du, R. Lin, T. Jiang, G. Liu, X. Wu, and D. Weng, High-rate capability silicon decorated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for Li-ion batteries, Adv. Mater., 22, 5378-5382 (2010). 

  4. A. Gohier, B. Laik, K. H. Kim, J. L. Maurice, J. P. Pereira-Ramos, C. S. Cojocaru, and P. T. Van, High-rate capability silicon decorated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for Li-ion batteries, Adv. Mater., 24, 2592-2597 (2012). 

  5. H. L. Tsai, C. T. Hsieh, J. Li, and Y. A. Gandomi, Enabling high rate charge and discharge capability, low internal resistance, and excellent cycle ability for Li-ion batteries utilizing graphene additives, Electrochim. Acta, 273, 200-207 (2018). 

  6. D. Bar-Tow, E. Peled, and L. Burstein, A study of highly oriented pyrolytic graphite as a model for the graphite anode in Li-ion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46, 824-832 (1999). 

  7. H. Buqa, D. Goers, M. Holzapfel, M. E. Spahr, and P. Novak, High rate capability of graphite negative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52, 474-481 (2005). 

  8. M. Yoshio, H. Wang, K. Fukuda, T. Umeno, T. Abe, and Z. Ogumi, Improvement of natural graphite as a lithium-ion battery anode material, from raw flake to carbon-coated sphere, J. Mater. Chem., 14, 1754-1758 (2004). 

  9. T. Wu, X. Jiang, C. Wan, and E. Tsuchida, Effects of catalytic oxidation on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common natural graphite as an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Electrochem. Commun., 2, 272-275 (2000). 

  10. C. Ma, Y. Zhao, J. Li, Y. Song, J. Shi, Q. Guo, and L. Liu,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graphite as an anode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Carbon, 64, 537-556 (2013). 

  11. N. Takami, A. Satoh, M. Hara, and T. Ohsaki, Structural and kinetic characterization of lithium intercalation into carbon anodes for secondary lithium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42, 371-379 (1995). 

  12. M. Yoshio, H. Wang, K. Fukuda, Y. Hara, and Y. Adachi, Effect of carbon coating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reated natural graphite as lithium-ion battery anode material, J. Electrochem. Soc., 147, 1245-1250 (2000). 

  13. M. Yoshio, H. Wang, and K. Fukuda, Spherical carbon-coated natural graphite as a lithium-ion battery-anode material, Angew. Chem. Int. Ed. Engl., 115, 4335-4338 (2003). 

  14. E. Buiel and J. R. Dahn, Li-insertion in hard carbon anode materials for Li-ion batteries, Electrochim. Acta, 45, 121-130 (1999). 

  15. R. Moriyama, J. Hayashi, K. Suzuki, T. Hiroshima, and T. Chiba, Analysis and modeling of mesophase sphere generation, growth and coalescence upon heating of a coal tar pitch, Carbon, 40, 53-64 (2002). 

  16. B. C. Bai, J. G. Kim, J. H. Kim, C. W. Lee, Y. S. Lee, and J. S. Im, Blending effect of pyrolyzed fuel oil and coal tar in pitch production for artificial graphite, Carbon Lett., 25, 75-83 (2018). 

  17. J. G. Kim, J. H. Kim, B. J. Song, C. W. Lee, Y. S. Lee, and J. S. Im, Empirical approach to determin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using MALDI-TOF analysis of petroleum-based heavy oil, Fuel, 186, 20-23 (2016). 

  18. J. G. Kim, J. H. Kim, B. J. Song, C. W. Lee, and J. S. Im, Synthesis and its characterization of pitch from pyrolyzed fuel oil (PFO), J. Ind. Eng. Chem., 36, 293-297 (2016). 

  19. J. G. Kim, J. H. Kim, B. J. Song, Y. P. Jeon, C. W. Lee, Y. S. Lee, and J. S. Im, Characterization of pitch derived from pyrolyzed fuel oil using TCL-FID and MALDI-TOF, Fuel, 167, 25-30 (2016). 

  20. Y. D. Park and I. Mochida, A two-stage preparation of mesophase pitch from the vacuum residue of FCC decant oil, Carbon, 27, 925-929 (1989). 

  21. J. G. Kim, J. H. Kim, C. W. Lee, K. B. Lee, and J. S. Im, Effect of added mesophase pitch during the pitch synthesis reaction of PFO, Carbon Lett., 23, 48-54 (2017). 

  22. Y. J. Han, J. D. Kim, J. S. Yeo, J. C. An, I. P. Hong, K. Nakabayashi, J. Miyawaki, J. D. Jung, and S. H. Yoon, Coating of graphite anode with coal tar pitch as an effective precursor for enhancing the rate performance in Li-ion batteries: Effects of composition and softening points of coal tar pitch, Carbon, 94, 432-438 (2015). 

  23. B. Campbell, R. Ionescu, Z. Favors, C. S. Ozkan, and M. Ozkan, Bio-derived, binderless, hierarchically porous carbon anodes for Li-ion batteries, Sci. Rep., 5, 14575 (2015). 

  24. B. H. Kim, J. H. Kim, J. G. Kim, M. J. Bae, J. S. Im, C. W. Lee, and S. Kim, Electrochem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lithium battery anode materials by using a molecular weight controlled pitch derived from petroleum residue, J. Ind. Eng. Chem., 41, 1-9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