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태(E. cava Kjellman) 효소분해산물의 항당뇨 및 알코올 분해능과 미용효과
α-Glucosidas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of Enzymat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and its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6 = no.146, 2012년, pp.751 - 759  

김혜윤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조은경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강수희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배정미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장 해안의 해수에서 분리한 해양 미생물로부터 해조류의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균주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Microbulbifer sp. SC092로 명명하였다. Microbulbifer sp. SC092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된 조효소의 기질 특이성 분석으로 agar 및 alginic acid를 분해하는 효소활성이 각각 146.2%로 agarase와 alginase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력은 DPPH radical 소거능SOD 활성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은 각각 84.1, 89.6%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혈당 강하능은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alpha}$-glucosidase 활성은 58.7%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염증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은 인체의 위의 pH와 비슷한 조건에서 아질산염소거능 측정으로 확인하였는데, 0.5 mg/ml 농도에서 56.3%를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알코올분해능은 ADH와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각각 123.3, 215.2%로 나타나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우수한 숙취해소 효능을 보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효과로 분석하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해산물의 농도 2.5 mg/ml 농도에서 각각 42.2%와 73.1%로 높은 저해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소 추출법이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데 효과적인 추출법인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bulbifer sp. was used to acquire the degrading products from Ecklonia cava (DPEC) and the product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Firstly,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ssay were about 84.1% and 89.6% at 2.5 mg/ml,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agar 분해능이 높은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SC092로부터 조효소를 분리하여 해조류에 많이 존재하는 복합다당류인 fucoidan, laminarin, alginic acid, starch, chitin 및 agar의 분해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화학적 발암물질로 알려진 nitrite는 식물이나 동물 등에 존재하며 육제품과 수산 가공품 등의 첨가제로 사용되는데, 단백질 식품이나 의약품 및 잔류 농약 등에 존재하는 2급, 3급 등의 amine류와 반응하거나 식품내의 상재 성분으로 널리 존재하고 있는 amine류를 함유하고 있는 음식물과 동시에 섭취 했을 때 위내에서 발암성 물질인 nitrosamine이 생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28]. 그러므로 산성 영역에서 nitrosamine의 생성인자인 아질산염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여 nitrosamine 생성을 억제하는데 기여하는 물질들을 찾고자 연구되어 왔다. 따라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 아질산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melanin 색소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에 대한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농도별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Fig. 5).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kojic acid는 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감태에 대한 열수 추출물이나 유기용매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와는 달리 해조류의 비소화성 복합 다당류를 분해할 수 있는 해양 미생물을 이용하여 감태에 효소를 처리 후 추출한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능, 항염증, 항당뇨, 알코올 분해능, cosmetic 기능 등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감태의 천연 기능성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새로운 추출법을 활용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의 열수 및 유기용매 추출보다 효소추출법이 가진 장점은?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열수 및 유기용매 추출에 의한 감태의 기능성 입증으로 그 이용가치에 대한 효율적인 면이 의심되고 있는데 해조류의 세포벽에 있는 섬유질이나 당단백질 등의 고분자 물질을 분해시켜 생리활성물질이 원활히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효소 추출법이 최적이기 때문이다. 효소 추출법은 열수 추출법이나 기타 추출법에 비하여 높은 수율의 저분자 수용화 기술이어서 효소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생리 활성을 생체 내로 쉽게 전달 시킬 수 있고, 유기용매와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없어 기능성 천연소재로서 식품의 응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11,12].
새로운 고부가 가치 식품 소재로서 감태가 가진 기능은? 하지만, 이러한 연구는 대부분 육상 식물을 대상으로한 것으로 이미 한계치에 이르고 있으므로 새로운 건강기능성 소재개발을 위해서는 해조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해조류가 극심한 환경에서 생육하므로 육상식물과는 다른 성분과 생리활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인데 해조류 중의 하나인 감태의 경우도 항산화, 항암, 항고혈압, 미용효능, 숙취해소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들이 밝혀지면서 새로운 고부가 가치 식품 소재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14,24].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열수 및 유기용매 추출에 의한 감태의 기능성 입증으로 그 이용가치에 대한 효율적인 면이 의심되고 있는데 해조류의 세포벽에 있는 섬유질이나 당단백질 등의 고분자 물질을 분해시켜 생리활성물질이 원활히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효소 추출법이 최적이기 때문이다.
Free radical은 어떤 물질인가? Free radical은 생물학적 손상의 주요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노화와 질병의 원인 중의 하나로 생체 내에서 활성 산소종을 생성하게 된다[34]. 인체 내의 free radical은 지질, 단백질 등과 반응하여 생체의 노화를 촉진할 수 있는 물질로 이러한 free radical을 제거할 수 있는 천연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6]. 특히,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법은 항산화 물질의 전자 공여 능을 이용한 항산화 측정법으로 주로 pheonlic 구조와 aromatic amine 화합물에서 많이 사용되며, 천연 항산화제의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평가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 J. M., Cho, E. K., Kim, H. Y., Kang, S. H. and Choi, Y. J. 2012. Biological analysis of enzymatic extracts from Capsosiphon fulvescens using marine bacterium Microbulbifer sp. AJ-3. J. Life Sci. 22, 627-633. 

  2. Bergmeyer, H. U. 1974.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Academic Press, New York. pp. 28.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200. 

  4. Bradford, M.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5. Bu, H. J., Ham, Y. M., Kim, J. M., Lee, S. J., Hyun, J. W. and Lee, N. H. 2006. Elastase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Korean J. Pharmacogn. 37, 92-96. 

  6. Cha, M. H. and Kim, Y. K. 2008. Analysis of consumption values of a seaweed functional food. Korean J. Food Culture 23, 462-468. 

  7. Cho, E. K. and Choi, Y. J.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Kjellman. J. Life Sci. 20, 1675-1682. 

  8. Dewitt, D. L., Rollins, T., Day, J. S., Gauger, J. A. and Smith, W. L. 1981. Orientation of the active site,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of synthase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 Biol. Chem. 256, 10375-10382. 

  9. Gray, J. I. and Dugan Jr, L. 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10. Haug, A., Larsen, B. and Smidsrod, O. 1966. A study of constitution of alginic acid by partial acid hydrolysis. Acta. Chemica. Scand. 20, 183-190. 

  11. Heo, S. J. and Jeon, Y. J. 2005. Antioxidant effect and protecting effect against cell damage by enzymatic hydrolysates from marine algae. Food Ind. Nutr. 10, 31-41. 

  12. Heu, M. S., Yoon, M. S., Kim, H. J., Park, K. H., Lee, J. H., Jo, M. R., Lee, J. S., Jeon, Y. J. and Kim, J. S. 2010. Improve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nstant noodles containing enzymat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and its quality characterization. Kor. J. Fish Aquat. Sci. 43, 391-399. 

  13. James, A. E. K., Timothy, D. W. and Gorden, L. 1996. Inhibition of human leujocyte and porcine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yrosinase inhibitors. Biochem. 35, 9090-9096. 

  14. Jimenez-Escring, A. and Goni Cambrodon, I. 1999.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dible seaweeds. Arch. Lationam. Nutr. 49, 114-120. 

  15. Jonnadula, R. and Ghadi, S. C. 2011.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garase from seaweed decomposing bacterium Microbulbifer sp. strain CMC-5. Biotechnol. Bioproc. Eng. 16, 513-519. 

  16. Joo, D. S., Lee, J. K., Choi, Y. S., Cho, S. Y., Je, Y. K. and Choi, J. W. 2003. Effect of sea tangle oligosaccharide drink on serum and hepatic lipids in rats fed a hyperlipidemic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64-1369. 

  17. Jung, E. Y. and Lee, S. K. 2007. Antioxidant activities and regeneration effect in HaCaT cell line by Jeju Island aboriginal Ecklonia cava. J. Korean Soc. Cosm. 13, 1071-1077. 

  18. Kim, D.-H., Jung, J.-Y., Kim, K.-B.-W.-R., Lee, C.-J., Kwak, J.-H., Kim M.-J., Sun, W.-C., Kim, H.-J., Jung, S.-A., Kim, T.-W., Cho, Y.-J. and Ahn, D.-H. 2011. Effects of heat and pH treatments on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Ecklonia cava ethanol extract. Kor. J. Fish Aquat. Sci. 44, 791-795. 

  19. Kim, E., Kim, M.-S., Kim, S.-Y. and Kim, H.-A. 2008. Effect of Ecklonia cava on the blood glucose, lipids and renal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23, 812-819. 

  20. Kim, J. A. and Lee, J. M. 2004. The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Ecklonia cava with blanching times. Korean J. Food Culture 19, 369-377. 

  21. Kim, J. W., Kim, D. K., Park, J. S., Lee, Y. K., Beik, K. Y. and Kim, S. D.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hark collagens, and inhibitory actions on elastase and tyrosinase. Korean J. Food Preserv. 16, 419-426. 

  22. Kim, M. K., Kim, J. Y., Choi, S. W., Hong, J. T. and Yoon, K. S.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thamustinctor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30, 15-22. 

  23. Koivula, T. and Koivusalo, M. 1975. Different from of rat liver aldehyde dehydrogenase and their subcellular distribution. Biochim. Biophys. Acta. 397, 9-23. 

  24. Lee, H. O., Kim, D. S., Do, J. R. and Ko, Y. S. 1999.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algae. J. Korean Fish Soc. 32, 427-431. 

  25. Lee, S. H., Kim, K. N., Cha, S. H., Ahn, G. N. and Jeon, Y. J. 2006.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and methanol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stem and leav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39-1145. 

  26. Leelarungrayub, N., Rattanapanone, V., Chanarat, N. and Gebicki, J. M. 2006.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garlic and shallot preparations. Nutrition 22, 266-274. 

  27. Miller, G. 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 

  28. Park, Y. B., Lee, T. G., Kim, O. K., Do, J. R., Yeo, S. G., Park, Y. H. and Kim, S. B. 1995. Characteristics of nitrite scavenger derived from seeds of Cassia tora L. Korea J. Food Sci. Technol. 27, 124-128. 

  29. Peters, T. J. 1982. Ethanol metabolism. Bri. Med. Bull. 38, 17-20. 

  30. Shinde, J., Taldone, T., Barletta, M., Kunaparaju, N., Hu, B., Kumer, S., Placido, J. and William, Z. S. 2008.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yzygium cumini (Linn). Skeels seed kernel in vitro and in Goto-Kakizaki (GK) rats. Carbohydrate Res. 343, 1278-1281. 

  31. Sies, H. 1999. Glutathione and its role in cellular functions. Free Radical Bio. Med. 27, 916-921. 

  32. Song, H. J. 2009.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garase gene from marine bacterium, Microbulbifer sp. AJ-3. MS Thesis. Silla University. 

  33. Tibbot, B. K. and Skadsen, R. 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 gene from berley. Plant Mol. Biol. 30, 229-241. 

  34. Wiseman, H. 1996.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rtant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J. Nutri. Biochem. 7, 2-6. 

  35.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1987.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ica. 53, 517-5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