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폭력 인지도 및 성폭력 허용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Sexual Assault Awareness and Permissible limit in th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8 no.2, 2012년, pp.117 - 125  

심정신 (조선간호대학교) ,  이영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오숙희 (전북과학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sexual assault awareness and permissible limits in the college students. Methods: With a structured survey, a sample of 756 college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폭력 인지도와 허용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대학생의 성폭력 예방교육 및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 및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 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폭력 인지도 및 성폭력 허용도를 일반적 특성별로 비교하고, 이에 따른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인식정립을 위해 성역할 고정관념, 성폭력 인지도와 성폭력 허용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연구방법은 G시에 소재한 5개의 2년제 대학 남·녀 대학생 756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1일부터 5월 2일까지 성역할 고정관념, 성폭력 인지도, 성폭력 허용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자가보고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 이렇듯 다양한 요인들이 성폭력 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호학 분야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폭력 지식과 태도(Song, 2003), 강간통념 수용도와 성역할 고정관념(Oh, Kang, & Kim, 2010) 등 2편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발생에 중요한 변수로 부각된 성역할 고정관념, 성폭력 인지도와 성폭력 허용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인식정립과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폭력 범죄 피해자 발생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 2006). 이러한 성폭력의 증가는 대중매체를 통한 노골적인 성적 표현이 가능해지고 올바르지 않은 성적 가치관의 무분별한 유입이 가능해짐에 따라 성에 대한 가치관의 혼란 (Park, 2010)과 성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이 남성과 여성이 살아가는 이 사회에서 서로간의 잘못된 오해들로 생긴 인지도 (Koh, 2007)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성역할 고정관념이란? 성역할 고정관념은 일반적으로 남녀의 역할구분에 대하여 받아들이는 신념으로 성역할 고정관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Kim (1991)이 개발한 성역할 고정관념 척도는 5개요인 총 3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개발당시 연구에서 신뢰도는 .70~.
성폭력은 어떠한 경우에 발생되는 가? 성폭력은 폭력의 문제에 성이 개입되어 있는 범죄로서 (Nam, 2004), 이성교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대학생의 경우 가해자뿐만 아니라 피해자도 성폭력을 범죄로 인식하지 못하며, 이러한 잘못된 인식은 성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Koh, 2007). 의외로 성폭력은 데이트 중 상대방의 동의없이 일방적인 강요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주로 데이트 상대로부터의 피해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Ackard & Neumark-Sztainer, 2002). 또한 데이트 성폭력 가해경험의 연구에서 성폭력 인식도가 낮고 성폭력 허용도가 높을수록 성폭행 가해경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am,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ckard, D. M., & Neumark-Sztainer, D. (2002). Date violence and date rape among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health. Child Abuse and Neglect, 26, 455-473. http://dx.doi.org/10.1016/S0145-2134 (02)00322-8 

  2. Burt, M. R. (1983). Justifying personal violence: A comparison of rapists and the general public. Victimology, 8, 131-150. 

  3. Byers, E. S. (1996). How well does the traditional sexual script explain sexual coercion? Review of a program of research. Journal of Psychology and Human Sexuality, 8, 7-25. http:// dx.doi.org/10.1300/J056v08n01_02 

  4. Chang, H. S., & Cho, H. G. (2001).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8, 179-204. 

  5. Chang, Y. K. (2002). A study on date rape experien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Foo, L., & Margolin, G. (1995). A multivariate investigation of dating aggression. Journal of Family Violence, 10, 351- 377. http://dx.doi.org/10.1007/BF02110711 

  7. Jang, S. H., & Lee, S. H. (2011). Self-esteem,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riend's sexual attitude and degree of sexual permissivenes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 , 395-406. http://dx.doi.org /10.4069/kjwhn.2011.17.4.395 

  8. Kang, H. S. (2009). Model construction of date sexual violence victims experienc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9. Koh, H. L. (2007). Analysis of rape case perception difference: With special to sex-role stereotype, rape myths effe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0. Kim, D. I. (1991).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3): Aspect of social psychology, sociology sexual. Seoul: Soomoonsa. Kim, Y. M., & Kim, H. O. (2001).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in dating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9 (4), 185-199. 

  11. Kim, N. Y. (200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xual violence severity and negative life attitude on the ment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2. Kim, J. H., & Kim, K. S. (2008).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on their sexu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3, 123-138. 

  13. Korea Sexual Violence Relief Center. (2007). Counseling stastics, Retrieved Feburary 4, 2008, from http://www.sisters.or.kr/index.php/subpage/pds/1 

  14. Kwon, S. H., Kim., S. N., Park, C. H., Sin, Y. S., Sung, M. H., Ahn, S. H., et al. (2006). Women and health. Seoul: Soomoonsa. 

  15. Lee, H. Y. (2007). Comparative analysis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sex educati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in adolesc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16. Lee, S. H. (1993).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s fixed idea of a sex ro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7. Lee, J. Y., & Lee, E. S. (2005). The explanatory models of dating violence and victimization with dating partner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 419-436. 

  18. Min, K. S.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sex role stereotype and gender, parenting type and experience with opposite sex in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09). 2010 Report about sexual violence center and institution. Seoul, Korea. 

  20. Nam, H. M. (2003). Study on predicting date rape among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Nam, M. J. (2004). Study on rape myths acceptance by sex role identity typ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22. Oh, S. H., Kang, H. S., & Kim, Y. H. (2010). Analysis of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among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 249-257. 

  23. O'Keefe, M., & Treister, L. (1998). Victim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Violence Against Women, 4, 195-223. http://dx.doi.org/10.1177/1077801298004002005 

  24. Park, M. R. (2007). Relationships among gender role attitudes, sexual attitudes, impulsivity,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and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25. Park, S. M. (2010). The effects of rape myth and date violence tolerance on the sexual assertiveness of college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Daejeon. 

  26. Riggs, D. S., & O'Leary, K. D. (1996). Aggression between heterosexual dating partner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1, 519-540. http://dx.doi.org/10.1177/088626096011004005. 

  27. Shin, S. J. (1997). A study on the date rape propensity and countermeasures against date rape of male college students-Focused on the male college students in Daegu.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32, 181-211. 

  28. Song, Y. S. (2003).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exual violenc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 , 444-452. 

  29. Sugarman, D. B., Aldarondo, E., & Boney-McCoy, S. (1996). Risk marker analysis of husband-to-wife violence: A continuum of aggress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6, 313-3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