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주장성, 성폭력 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성폭력 경험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Gender Role Stereotype, Sexual Assertiveness, Sexual Assault Recognition,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 in Dating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0 no.1, 2014년, pp.48 - 56  

이은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강희순 (순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sexual issues and sexual violence experiences by gender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 survey collected responses from 469 university students in three regions.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폭력 예방을 위한 성건강 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조절하고 유지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남녀 성 특성에 맞게 차별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성화 시킨다면 성폭력에 대한 인식의 전환뿐 아니라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의식을 구성하는 다양한 심리적 변수들과 데이트 성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들 변수들의 성별 차이를 재확인함으로써 성폭력의 위험군을 파악하고, 성별에 따른 효과적인 성 건강교육 및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연구 주제상 대상자의 윤리적 보호를 위하여 담당자는 대학생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예견되는 이익과 위험성 등에 관하여 사전에 충분히 알려주었고 설명문과 동의서에 기재하여 연구대상자가 읽고 난 후 자유로이 동의서를 작성하게 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라도 중단할 수 있음을 알려주었으며, 연구에 참여하지 않아도 아무런 불이익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문구를 설문지에 제시하였다.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대상자들 중에서 이성간 데이트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서를 받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성관련 심리적 변수와 데이트 성폭력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여, 남녀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예방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성차에 따라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주장성, 성폭력 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등 성관련 심리적 변수와 데이트 성폭력 경험에 차이가 있었고, 데이트 성폭력 피해 및 가해 경험과 관련된 요인에도 차이가 있었으므로,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데이트 성폭력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주장성, 성폭력 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성폭력 경험을 파악하고, 데이트 성폭력 경험과 성 관련 심리적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비교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성의식과 데이트 성폭력 정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남녀 대학생을 위한 성폭력 예방 및 성건강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성별에 따른 데이트 성폭력 피해를 확인한 결과 성폭력 피해 점수(5점 만점)에서는 남녀간 차이가 없었으나 피해 경험(유무)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한국 사회는 서구 사회의 성개방 풍조의 급격한 유입으로 어떻게 변화가 되었는가? 최근 한국 사회는 서구 사회의 성개방 풍조의 급격한 유입으로, 성에 관한 사회현상이 과거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띠고, 과히 “성혁명의 시대”라고 할 만큼 성개방과 성 정보의 홍수 속에서 대중들의 성의식 태도 또한 크게 변화되었다. 이러한 성 개방화 추세는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성적 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인 대학생들의 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대학생의 성행동을 조사한 결과와 알 수 있는 점은? 이러한 성 개방화 추세는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성적 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인 대학생들의 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대학생의 성행동을 조사한 결과(Chae & Jung, 2004)에서도 남학생의 75.9%, 여학생의 30.7%가 혼전 성경험이 있었고, 남학생의 15.7%, 여학생의 73.4%가 성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성경험률과 성피해율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남녀 대학생의 성폭력 피해경험과 성폭력 가해경험의 차이는? 남녀 대학생의 성폭력 피해경험과 성폭력 가해경험의 차이는 Table 2와 같다.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경우는 남학생은 44.5%, 여학생은 55.8%로 여학생이 더 높아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9). 반면,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경우는 남학생은 38.3%, 여학생은 24.0%로 남학생이 더 높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G. Y. R. (2006). Research review about psycho-social risk marke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4), 709-726. 

  2. Back, J. H. (2006). The differences of date violence experience by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date related variables, 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3. Chae, P., & Jung, M. C. (2004). A study about the sexual attitudes and victimization of korea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4), 869-886. 

  4. Foo, L., & Margolin, G. (1995). A multivariate investigation of dating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10(4), 351-377. 

  5. Greendlinger, L. A., & Byrne, D. (1987). Coercive sexual fantasies of college males as predictors of self-reported likelihood to rape and overt sexual aggression. Journal of Sex Research, 23, 1-11. 

  6. Han, Y. R. (2012).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on in victim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dwell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532-546. 

  7. Jang, H. S., & Cho, H. G. (2001)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8, 197-204. 

  8. Jang, S. H., & Lee, S. H. (2011). Self-esteem,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riend's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4), 395-406. 

  9. Kang, H. S. & Lee, E. S. (2010). Factors influencing the perpetrations of sexual violence while dating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3), 75-84. 

  10. Kim, D. I. (1999). Gender stereotypes of Korean. Sociology of gender. Seoul: Muneumsa. 

  11. Kim, J. R., & Kim, K. S. (1999). College students' dating violence and cop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 Association, 37(8), 73-90. 

  12. Kim, K. W., Kang, K. H., & Jeong, G. H. (2012). Self-Efficacy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51-59. 

  13. Kim, Y. J. (2006). The effect of sexual decision-making ability and sexual attitude of high 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14. Koh, H. (2007). An analysis of rape case perception difference: With special to sex-role stereotype, rape myths effe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5. Lee, E. S., & Kang, H. S. (2010).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victims while dating as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3), 266-275. 

  16. Lee, J. H. (2007). Psychological symptoms of date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7. Lee, J. Y., & Lee, E. S. (2005). The explanatory models of dating violence and victimization with dating partner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7(2), 419-436. 

  18. Luthra, R. (2006).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men and women: Evaluation of a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1(6), 717-731. http://dx.doi.org/10.1177/0886260506287312 

  19. Nam, H. M. (2003). A study on predicting date rape among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Oh, S. H., Kang, H. S., & Kim, Y. H. (2010). Analysis of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among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2), 249-257. 

  21. O'Keeffe, M. (1997).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4), 546-568. 

  22. Park, M. R. (2007). Relationships among gender role attitudes, sexual attitudes, impulsivity,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and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Masan. 

  23. Park, S. M., & Song, W. Y. (2012). The effects of rape myth and tolerance towards violence on dating to the sexual assertiveness in college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7(2), 265-280. 

  24. Patricia, J. M., Kathryn, Q., Lisa, L. H., Laura, W., Diane, M. G., Pamela, R. G., et al. (1997). Sexual assertiveness scale for wom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4), 790-804. 

  25. Ryu, C. S. (2006). SPSS 14.0 for windows (5th ed.). Seoul: Elite. 

  26. Shim, C. S., Lee, Y. S., & Oh, S. H. (2012).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sexual assault awareness and permissible limit in th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2), 117-125. 

  27. Silverman, J. G. (2001). Dating violence against adolescent girls and associated substance use, unhealthy weight control, sexual risk behavior, pregnancy, and suicidality.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286), 572-579. 

  28. Sohn, A., & Chun, S. (2005). Comparing sexual attitude, sexual initiation and sexual behavior by gender in korean college students. Health and Social Science, 18, 73-100. 

  29. Sugarman, D. B., Aldarondo, E., & Boney-McCoy, S. (1996). Risk marker analysis of husband-to-wife violence: A continuum of aggress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6(4), 313-337. 

  30. Suh, K. H. (2011).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Korean, Mongolian, Filipino, and Russian sampl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5), 219-244. 

  31. Vaughn, I. R., Rupal, S., & Constance, M. W. (2002). Is lack of sexual assertiveness among adolescent and young adult women a cause for concern?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34(4), 178-183. 

  32. Yoo, O. S., & Park, K. (2004). An explanatory model of unwanted sexual compliance with dating partner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16(4), 793-8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