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막외 마취제 투여 유무에 따른 분만 1기 산부의 분만 통증, 불안, 자궁경관 개대 정도 비교
Comparison of Obstetric Pain, Anxiety, and Cervical Dilatation between Epidural Analgesia and No Analgesia group during Labor Stage I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8 no.2, 2012년, pp.126 - 134  

한수정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분만실) ,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김묘진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분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was done to compare obstetric pain, anxiety and cervical dilatation between an epidural analgesia group and a control group. Method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depending on their decisions for pain relief. Subjective / objective obstetr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막외 마취제 투여 유무에 따라 분만 1기 산부의 분만 통증, 불안 및 자궁경관 개대의 차이를 비교한 비교조사 연구설계이다. 활동기와 이행기의 시점은 다음과 같은 근거 하에 분류되었다.
  • 본 연구는 경막외 마취제를 투여한 산부와 투여하지 않은 산부를 대상으로 분만통증과 불안, 자궁경관 개대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분만통증은 출산이 진행되는 동안 자궁, 골반, 회음부에 나타나는 통증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로 측정한 주관적 통증 점수와 McLachlan (1974)이 개발한 객관적인 통증점수로 평가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정상적으로 자연분만을 예정으로 한 분만 1기 산부를 대상으로 하여 경막외 마취제 투여 유무에 따라 통증과 불안, 그리고 자궁경관 개대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분만실간호사의 간호실무의 중재 근거를 마련하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분만진행과 관련된 자궁경관 개대에 대한 영향은 평가되지 않은 채 주로 통증 효과만 강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만 1기 잠재기의 산부를 모집단으로 하여 분만통증완화 목적으로 경막외 마취를 선택한 군과 통상적인 간호를 선택한 대조군에서 분만통증과 불안의 차이, 그리고 경막외 마취제가 자궁경관 개대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경막외 마취를 투여한 군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사이에 통증과 자궁경관 개대 및 객관적 통증의 차이가 있는지를 각 변수별 정규성과 함께 분석하였으며 정규성을 가정한 통계량을 기술하였다. 먼저 주관적 통증을 분만진행시기별로 검토한 결과 활동기와 이행기 모두 경막외 마취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만통증의 아픔은 어느 정도인가? 분만통증은 분만이 이뤄지는 동안 발생되며 분만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통증이 더 증가한다. Melzack은 통증의 강도와 감성적 측면을 고려하여 통증을 비교하였을 때 악성 종양보다 더 심하고 마취 없이 손가락 절단술을 시행할 때의 통증과 비슷하다고 하였다(recited in Hawkins, 2010). 분만 통증의 특성은 분만 1기에는 주로 자궁수축과 자궁경관 개대에 따른 통증이 자궁경관 옆쪽의 신경절에서 흉요추부(T10~L1) 신경을 통해 척수로 들어간다.
분만 제1기 통증경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로는 무엇인가? Melzack은 통증의 강도와 감성적 측면을 고려하여 통증을 비교하였을 때 악성 종양보다 더 심하고 마취 없이 손가락 절단술을 시행할 때의 통증과 비슷하다고 하였다(recited in Hawkins, 2010). 분만 통증의 특성은 분만 1기에는 주로 자궁수축과 자궁경관 개대에 따른 통증이 자궁경관 옆쪽의 신경절에서 흉요추부(T10~L1) 신경을 통해 척수로 들어간다. 이러한 과정은 분만 제1기 통증경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SOG], 2007; Wong, 2010).
분만과정에서 불안과 분만통증은 어떠한 악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과정은 분만 제1기 통증경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SOG], 2007; Wong, 2010). 분만과정에 있어 불안과 분만통증은 산후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하고(Alipour, Lamyian, & Hajizadeh, 2011), 불안은 공포를 증가시키며(Yoshioka, Yeo, & Fetters, 2012), 출산 후 어린이의 건강상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Beijers, Jansen, Riksen-Walraven, & de Weerth,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S. H., Ryu, G. S., & Chung, E. S. (2003). Differences in physical discomfort and childbirth satisfaction between primiparous women with and without having taken epidural analgesi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 235-244. 

  2. Alexander, J. M., Sharma, S. K., McIntire, D. D., & Leveno, K. J. (2002). Epidural analgesia lengthens the Friedman active phase of labor. Obstetrics and Gynecology, 1, 46-50. 

  3. Alipour, Z., Lamyian, M., & Hajizadeh, E. (2011). Anxiety and fear of childbirth as predictors of postnatal depression in nulliparous women. Women and Birth, September 27 . [Epub ahead of print]. Retrieved Feb 23, 2012, from http://www. ncbi.nih.gov/pubmed/21959041 

  4. Anim-Somuah, M., Smyth, R.,, Howell, C., & Editorial Group: Cochrane pregnancy and childbirth group(2009). Epidural versus non-epidural or no analgesia in labour. http://dx. doi.org/10.1002/14651858 

  5. Beijers, R., Jansen, J., Riksen-Walraven, M., & de Weerth, C. (2010). Maternal prenatal anxiety and stress predict infant illnesses and health complaints. Pediatrics, 126, e401-e409. 

  6. Chestnut, D. H. (1997). Epidural analgesia and the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Anesthesiology, 87, 472-476. 

  7. Diego, M., Jones, N., Field, T., Hernandez-Rief, M., Schanberg, S., Kuhn, C., et al. (2006). Maternal psychological distress, prenatal cortisol, and fetal weight. Psychosomatic Medicine, 68, 747-753. 

  8.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9. Han, D. W., Lee, C. H., & Tak, J. G. (1993). Standardization of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HaksaengJidoYeongu, 10, 214-222. 

  10. Hawkins, J. L. (2010). Epidural analgesia for labor and deliver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2, 1503-1510. 

  11. Kim, S. J., Choi, P. S., Jeon, H. S., Hong, H. J., & Chung, D. Y. (2001). A study of the effects of epidural analgesia on the course of labor and delivery mod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43, 1783-1789. 

  12. Kim, S. Y., Kim, J. H., Kang, Y. I., Kim, M. H., Bang, E. C., Lee, H. S., et al. (2000). Effect of obstetric epidural anesthesia on the progress of labor.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43, 2215-2219. 

  13.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 Obstetrics (4th ed). Seoul: Koonja. 

  14. Kukulu, K., & Demirok, H. (2008). Effects of epidural anesthesia on labor progress. Pain Management Nursing, 9, 10-16. 

  15. Lang, A. J., Sorrell, J. T., Rodgers, C. S., & Lebeck, N. M. (2006). Anxiety sensitivity as a predictor of labor pain. European Journal of Pain, 10, 263-270. 

  16. Lee, J. J. (2001). Effect of relaxation on pain and anxiety during insertion of a vaginal specul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7. Lee, S. W., Yang, J. H., Cho, H. J., Hong, D. S., Kim, M. Y., Ryu, H. M., et al. (2007). The effects of epidural analgesia on labor progress and perinatal outcome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50, 1330-1335. 

  18. Lowdermilk, D., & Perry, S. E. (2004). Maternity and women's health care (8th ed.). St. Louis: Mosby. 

  19. McLachlan, E. (1974). Recognizing pain. American Journal of Nursing, 74, 496-497. 

  20. National Collaboration Center for Women's and Children's Health. (2007). Intrapartum care: Care of healthy women and their babies during childbirth. NICE clinical guidelines, No. 55. London; RCOG Press. ISBN-13: 978-1-904752-36-3. Retrieved Nov 09, 2011, from http://www.nice.org.uk/ nicemedia/ pdf/CG55FullGuideline.pdf 

  21. Poole, J. H. (2003). Analgesia and anesthesia during labor and birth: Implications for mother and fetu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6 , 780-793. 

  22. Saito, M., Okutomi, T., Kanai, Y., Mochizuki, J., Tani, A., Amano, K., et al. (2001).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during labor using ropivacaine and fentanyl provides better maternal satisfaction with less local anesthetic requirement. Journal of Anesthesia, 19, 208-212. http://dx.doi.org/10.1007/ s00540-005-0316-2 

  23. Smith, C. A., Levett, K. M., Collins, C. T., & Crowther, C. A. (2011).Relaxation techniques for pain management in labor.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7, CD 009514. 

  24. Smith, C. A., Levett, K. M., Collins, C. T., & Jones, L. (2012). Massage, reflexology and other manual methods for pain management in labor.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15, CD009290. 

  25. Spielberger, C. D. (1975).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current trend in theory and research (Vol 1). New York: Academic Press. 

  26. Sun, W. H., Choi, H. M., & Kim, J. W. (2003). The influence of epidural anesthesia on the progress of labor and perinatal outcomes.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6, 1099- 1103. 

  27. Wong, C. A. (2010). Advances in labor analgesia.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Health, 1, 139-154. 

  28. Yoshioka, T., Yeo, S., & Fetters, M. D. (2012). Experiences with anesthesia of Japanese women who had childbirth in the United States. Retrieved Feb 23, 2012, from http://www. ncbi.nih.gov/pubmedhealt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