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의 구강질환과 만성질환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oral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in Korean adult population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2 no.2, 2012년, pp.235 - 249  

천혜원 (호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유미선 (전남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최미혜 (전북과학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se data from the third year of the 4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o study relationship between oral disease and chronic disease that generally persist from 6 months to over a year, or more specifically, circulatory disease, di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서로의 질환 간의 관련성에 대해 보고되어 있으나19-21), 각 구강질환 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4기 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6개월에서 1년 이상 계속되는 만성질환 중 순환기계질환과 당뇨 및 골다공증과 각 구강질환 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의 만성질환과 구강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제4기 3차년도 자료 중 검진 및 건강 설문조사와 영양조사를 완료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 7,893명을 최종분석대상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의 만성질환과 구강질환 유병상태와의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구 사회경제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질환을 살펴보면 치주질환과 상실치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것은 연령, 성별, 결혼상태, 교육 수준, 지역, 소득수준, 직업이었으며, 치아우식증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것은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이 었고, 공통적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비생산직보다 생산직에서 비경제활동직보다 무직에서 치주질환과 상실치 유병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의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만성질환은 보통 6개 월에서 1년 이상 계속되는 질환으로 한번 발생하면 대체로 평생 고쳐지지 않기 때문에 질병의 진단과 치료보다는 예방과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그 예방을 위해서는 대부분 자신이 갖고 있는 행동이나 습관의 변화를 요구받게 된다5). 만성질환은 그 특성상 개인의 생활습관과 생활양식, 환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으로 만성질환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인의 생활습관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6).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는 관리대상 만성질환의 범주로 고혈압, 당뇨, 뇌혈관질환, 퇴행성관절염, 암 등을 만성질환으로 정하고 있고, 2002년 WHO에서는 대표적인 만성질환 으로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암, 만성폐쇄성 폐질환, 근골격계질환, 정신질환, 시력관련질환 등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단순한 알코올 중독이나 류마티스관절염 등의 경우도 만성으로 보고 있다7).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국내의 보건복지부에서는 무엇을 했는가? 만성질환은 그 특성상 개인의 생활습관과 생활양식, 환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으로 만성질환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인의 생활습관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6).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는 관리대상 만성질환의 범주로 고혈압, 당뇨, 뇌혈관질환, 퇴행성관절염, 암 등을 만성질환으로 정하고 있고, 2002년 WHO에서는 대표적인 만성질환 으로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암, 만성폐쇄성 폐질환, 근골격계질환, 정신질환, 시력관련질환 등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단순한 알코올 중독이나 류마티스관절염 등의 경우도 만성으로 보고 있다7). 최근 경제의 급속한 성장으로 우리나라 성인 절반 이상이 식생활이나 생활방식의 변화에 의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중 한 가지 이상의 질환을 가지고 있어8), 국민의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 하다.
국내 통계청에 따른 국민의 기대수명 추이는? 21세기 사회 전반적인 부분에서 특히 의료 및 보건 분야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간의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가 가속화 되어가고 있다1).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1970년 61.9세에 불과하던 국민의 기대수명이 1980년에는 65.7세, 2000년대에는 76.0세까지 증가하였고, 2020년에는 81.5세까지 증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2). 평균수명의 증가는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은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장윤정. 노인의 주관적 치주질환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09;9(4):836-848. 

  2.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대전:통계청;2006. 

  3. 이희경, 송근배, 이성국, 박지혜, 최연희. 일부 농촌 지역 노인에서 치아상실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4):498-499. 

  4. 곽성혜. 만성질환 환자와 환자 가족의 심리적 문제 및 갈등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대학원;2003. 

  5. 유태우. 인터넷을 이용한 진료관리의 발달 방향. 대한의사협회지 2002;45(1):41-45. 

  6. 이상영.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지속적 건강관리체계 구축. 보건복지포럼 2004;87:72-81. 

  7. Calvert MT, Freemantle N. Us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rescribing research. Part 1: why evaluat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 Clin Pharm Ther 2003;28:513-521. 

  8.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심층 분석: 영양부문. 서울:보건복지부;2007:177-200. 

  9.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국민건강보험통계연보. 서울:국민건강보험공단;2009:351-604. 

  10. 보건복지부. 2009 OECD 보건지표. 서울:보건복지부;2010. 

  11. 홍순안. 직장근로자의 골다공증 관련요인연구[석사학위논문]. 광주: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2009. 

  12. 장윤균. 40, 50대 남성근로자의 골다공증 유병실 태와 위험요인[석사학위논문]. 서울:한성대 안전보건경영대학원;2006. 

  13.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36 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as a health measure: the predictive value of selfreported health Status on the use of physian Services and on mortality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7;50(5):517-28. 

  14. 김영숙, 전보혜. 의치장착노인과 임플란트 장착 노인의 저작능력 및 삶의 질 비교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2011;11(5):629-636. 

  15. Locker D.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and subjective indicators of oral health status in an older adults population. Gerodntology 1994;11(2):108-114. 

  16. 박혜순, 오상우, 강재헌, 외 6인. 한국인에서 대사 증후군의 유병률 및 관련 요인-1998년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바탕으로-. 대한비만학회지 2003; 12(1):1-14. 

  17. 이경동, 이희경. 당뇨병 환자에서 우식경혐영구치 지수, 치주질환지수 및 구강위생 상태. 영남의대학술지 2005;22(1):62-71. 

  18. Saito T, Shimazaki Y, Kiyohara Y, et al. Relationship between obeaity, glucose tolerance, and periodontal disease in japanese women: the Hisayama study. J Periodontal Res 2005;40(4):346-353. 

  19. 김현덕, 백도명, 고대호, 백대일. 심혈관계관련질환이 치주조직병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30(1):46-55. 

  20. 이수진, 홍윤미, 백종환, 남영신. 고혈압, 당뇨병을 제외한 대사증후군과 치주질환간의 연관성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9;33(3):451-460. 

  21. Han DH, Lim SY, Sun BC, Paek D, Kim HD. The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with periodontal disease is confounded by age and smoking in a Korean population: the Dhiwha- Banwol Environmental Health Study. J Clin Periodontol 2010 [Epub ahead of print]. 

  22. 박미경. 성인 치아우식증 관련요인을 공통위험요 인접근법에 기반한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2008. 

  23. Morita M, Kimura T, Kanegae M, Iahigawa A, Watanabe T. Reasons for Extraction of Permanent teeth in japa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4;22(5):303-306. 

  24. Takala L, Utrialousnessinen P, Alanen P. incidence of edentulousness, reasons for full clearance, and health status of teeth before extractions in Finland.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4;22(4):254-257. 

  25. Frisbee SJ, Chambers CB, Frisbee JC, et al. Association between dental hygien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systemic inflammation in rural adults. Journal of Dental Hygiene 2010;84(4):177-184. 

  26. 공득희, 마정수, 박하영, 외 4인. 최근 우리나라의 건강문제 동향:1985년 이후 문헌고찰을 통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연구논집 1993;25:419-448. 

  27. Sabbah W, Tsakos G, Chandola T, Sheiham A, Watt RG. Social Gradients in oral and general health. J Dent Res 2007;86(10):992-996 

  28. 송근배, 최연희, 홍석진, 김진범. 한국성인들의 사회경제적 요인 및 구강보건의식행태에 따른 치아우식증 실태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 27(2):319-327. 

  29. Locker D, Jokovic A, Pryne B. Life circumstances, lifestyles and oral health among older Canadian. Community Dent Health 1997;14:214-220. 

  30. 백혜진, 최연희, 이상구, 송근배, 권호장.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0;34(3):338-345. 

  31. 주온주. 한국 노인 본인이 인지한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관련요인[박사학위논문]. 광주:조선대학교 대학원;2009. 

  32. 성동경. 구강질환이 심혈관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대학원;2003. 

  33. 황문정.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과 치주질환 및 잔존치아개수와의 관계[석사학위논문]. 김해:인제대학교 대학원;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