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용성 키토산 첨가에 따른 스폰지 케이크의 저장 중 품질 특성
Effects of High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On Storag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Attributes of Sponge Cake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1 no.3, 2012년, pp.577 - 586  

이희태 (수원여자 대학교 식품 과학부 제과제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 첨가가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위하여 키토산을 세 가지 농도(1,000, 2,000, 3,000 ppm)로 첨가하여 제조한 스폰지 케이크를 $5^{\circ}C$, $15^{\circ}C$$25^{\circ}C$에 5일간 저장하여 저장 중 일어나는 품질변화, 노화도, 색도 변화 및 관능평가를 측정하여 품질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Hardness는 키토산 첨가한 시료가 대조구에 비해 조직이 부드러웠고, gumminess와 chewiness도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고, 키토산을 첨가한 시료들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키토산을 함유한 스폰지 케이크의 노화도는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값은 키토산의 첨가농도 및 저장조건에 관계없이 약 30% 이내로 작게 나타났다. 저장온도에 대한 노화 진행 정도를 속도론적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키토산을 함유한 시료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느리게 노화가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저장온도의 영향을 작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키토산을 함유한 시료군들의 명도(lightness, a value)는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으며, 2,000ppm과 3000 ppm 농도로 첨가한 시료군들의 명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대조구의 71.49에 비해 높은 74.23 및 73.57의 값을 나타내었다. 적색도(redness, a value)의 경우는 키토산을 첨가한 시료군들의 값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키토산을 1,000 ppm 수준으로 첨가한 시료가 가장 낮은 -4.88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황색도(yellowness, b value)는 키토산의 첨가농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키토산을 첨가한 시료군들과 대조구와의 색차(Total color difference, E)의 경우 키토산의 첨가농도에 따른 색차의 값은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선호도를 살펴보면, 키토산은 2,000 ppm의 농도까지 첨가하여 제조한 스폰지 케이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dditive chitosan on the storag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attributes of sponge cake. In addition to a control sample with no chitosan, sponge cake was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chitosan (1,000, 2,000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키토산을 농도별(1000, 2000, 3000ppm)로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에 대한 관능검사는 10명의 경희대 조리과 학생을 통해 부드러운 정도, 색,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각 평가원들은 각각의 항목에 대해 9점법(매우 싫어하는 경우, 매우 부드러운 경우는 1점; 매우 좋아하는 경우, 매우 단단한 경우는 9점)으로 평가하였으며, 평가전에 시료는 25℃의 항온기에 1시간 동안 방치하여 시료의 온도를 평형 시킨 후 사용하였다.
  • 한편, 시료의 호화도 (A')는 시료의 초기 흡광도 (A)를 기준으로 하여 저장하면서 구한 시료의 흡광도(B)와의 비를 통해 상대적으로 구하였다. 또한, 시료의 초기 흡광도를 호화도 100% (노화도 0%) 라하고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에 따라 노화에 의해 감소되는 호화도 감소분을 시료의 노화도로 표시하였다.
  • 반죽에 가루 류인 밀가루 와 베이킹 파우더를 투입하고 1단으로 1분 동안 작동하고 3단으로 1분 동안 작동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키토산을 증류수에 세 가지 다른 농도(1,000 ppm, 2,000 ppm, 3,000 ppm)로 각각 첨가한 후 2단으로 1분, 3단으로 30초 동안 작동시켜 반죽을 완료하였다. 완성된 반죽을 일정량씩 성형 틀(지름 20cm 높이 5cm)에 넣은 후 오븐(대영 공업사) (180℃)에서 35분 동안 구운 후 냉각하고, 시험용 크기(가로, 세로 1cm)로 절단한 후 저장 중수분의 손실이 없도록 적층필름(OPP/PE)에 넣어 밀봉하여 세 가지 다른 온도(5, 15, 25℃)에 저장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 여기에 계란을 투입하고 다시 2단으로 30초 동안 작동한 후 3단으로 3분 동안 작동하고 다시 2단으로 3분을 작동하였다. 반죽에 가루 류인 밀가루 와 베이킹 파우더를 투입하고 1단으로 1분 동안 작동하고 3단으로 1분 동안 작동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키토산을 증류수에 세 가지 다른 농도(1,000 ppm, 2,000 ppm, 3,000 ppm)로 각각 첨가한 후 2단으로 1분, 3단으로 30초 동안 작동시켜 반죽을 완료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첨가제로서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키토산을 농도별(1000, 2000, 3000ppm)로 첨가하여 제조한 케이크를 온도별(5, 15, 25℃)로 저장하여 노화도 및 품질특성을 실험하여 저장성의 향상을 조사하고, 색도 측정 및 관능적인 평가를 실시하여 키토산 첨가에 따른 선호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 첨가가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위하여 키토산을 세 가지 농도(1,000, 2,000, 3,000 ppm)로 첨가하여 제조한 스폰지 케이크를 5℃, 15℃ 및 25℃에 5일간 저장하여 저장 중 일어나는 품질변화, 노화도, 색도 변화 및 관능평가를 측정하여 품질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세 가지 다른 농도의 키토산을 함유한 스폰지 케이크의 저장 중의 조직감 변화는 각각의 저장온도(5℃, 15℃ 및 25℃)에 저장된 케이크를 일정 기간별로 꺼내어 25℃의 항온기에서 1시간 동안 정치시켜 온도 평형을 유지한 후, texture analyzer (TA-XT2 Stable Micro Systems, UK)로 10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케이크를1㎝의 두께로 절단하여 50% 변형이 일어나도록 두 번 압착시험을 실시하여 견고성(hardness), 씹히는 성질(chewiness), 뭉치는 성질(gumminess)을 측정하였다.
  • 마지막 단계로 키토산을 증류수에 세 가지 다른 농도(1,000 ppm, 2,000 ppm, 3,000 ppm)로 각각 첨가한 후 2단으로 1분, 3단으로 30초 동안 작동시켜 반죽을 완료하였다. 완성된 반죽을 일정량씩 성형 틀(지름 20cm 높이 5cm)에 넣은 후 오븐(대영 공업사) (180℃)에서 35분 동안 구운 후 냉각하고, 시험용 크기(가로, 세로 1cm)로 절단한 후 저장 중수분의 손실이 없도록 적층필름(OPP/PE)에 넣어 밀봉하여 세 가지 다른 온도(5, 15, 25℃)에 저장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 세 가지 다른 농도의 키토산을 함유한 스폰지 케이크의 저장 중의 조직감 변화는 각각의 저장온도(5℃, 15℃ 및 25℃)에 저장된 케이크를 일정 기간별로 꺼내어 25℃의 항온기에서 1시간 동안 정치시켜 온도 평형을 유지한 후, texture analyzer (TA-XT2 Stable Micro Systems, UK)로 10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케이크를1㎝의 두께로 절단하여 50% 변형이 일어나도록 두 번 압착시험을 실시하여 견고성(hardness), 씹히는 성질(chewiness), 뭉치는 성질(gumminess)을 측정하였다. 이 때 사용된 탐침은 직경 25.
  • 키토산을 농도별(1000, 2000, 3000ppm)로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에 대한 관능검사는 10명의 경희대 조리과 학생을 통해 부드러운 정도, 색,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각 평가원들은 각각의 항목에 대해 9점법(매우 싫어하는 경우, 매우 부드러운 경우는 1점; 매우 좋아하는 경우, 매우 단단한 경우는 9점)으로 평가하였으며, 평가전에 시료는 25℃의 항온기에 1시간 동안 방치하여 시료의 온도를 평형 시킨 후 사용하였다.
  • 한편, 시료의 호화도 (A')는 시료의 초기 흡광도 (A)를 기준으로 하여 저장하면서 구한 시료의 흡광도(B)와의 비를 통해 상대적으로 구하였다.
  • 1976 )의 방법을 혼합하여 측정하였다. 호화도 측정용 시료는 세가지 온도(5℃, 15℃ 및 25℃)에 저장된 스폰지 케이크를 일정기간별로 꺼내어 동결건조기((주)일신, 작동조건; cold trap -50℃, pressure 10 mmHg)에서 2일간 건조한 후 막자 사발에서 분쇄하여 180 ㎛(80 mesh)의 입자크기로 제조하여 각각의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먼저 50 mL centrifuge tube에 20 mg의 분말시료를 넣고 증류수 5 mL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각각 tube에 glucoamylase solution(20.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한 수용성 고분자 키토산(high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은 ㈜자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 분석용으로 사용한 시약은 일급 또는 특급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스폰지 케이크의 제조에 관련된 재료는 버터(서울우유), 계란(풀무원), 유화제(지원테크닉), 설탕(제일제당), 소금(남양), 박력밀가루(대한제분 박력무표백), 베이킹파우더(가림산업), 탈지분유(서울우유)를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수용성 고분자 키토산(high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은 ㈜자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 분석용으로 사용한 시약은 일급 또는 특급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스폰지 케이크의 제조에 관련된 재료는 버터(서울우유), 계란(풀무원), 유화제(지원테크닉), 설탕(제일제당), 소금(남양), 박력밀가루(대한제분 박력무표백), 베이킹파우더(가림산업), 탈지분유(서울우유)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키토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스폰지 케이크의 특성, 색도 및 관능검사를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통계 package(SAS Institute.1988)를 사용하여 분산분석 Duncan 다범위 검증(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한 키토산 함유 스폰지 케이크의 호화도는 일정크기로 분말화 한 시료를 Tsuge등(Tsuge, H. 1990)과 Dubois(Dubois, M. 1956) 및 Chiang등(Chang , B. Y. & Johnson, J. A. 1976 )의 방법을 혼합하여 측정하였다.
  • 5) 25 mL를 넣고 4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시료에 25% TCA(trichloroacetic acid) 2 mL를 넣어 효소 분해반응을 정지시키고, 원심분리(3,000 rpm, 20 min)하여 취한 상등액을 5% phenol 1 mL을 가하여 혼합하는phenol-sulfuric acid method을 이용하여 하였다(Dubois, M. et al 1956). 여기에 5 mL의 진한 황산(conc.
  • 세 가지 다른 농도로 첨가된 키토산의 노화에 미치는 직접적 지표를 제시하기 위하여 Avrami(30-32)식을 이용하여 속도상수를 구하여 이를 분석용 지표로 이용하였다. 키토산 함유 스폰지 케이크의 저장 중의 노화도를 Avrami 식에 의하여 분석하고 이로부터 노화 속도 상수를 산출하였다.
  • 세 가지 다른 농도로 첨가된 키토산의 노화에 미치는 직접적 지표를 제시하기 위하여 Avrami(30-32)식을 이용하여 속도상수를 구하여 이를 분석용 지표로 이용하였다. 키토산 함유 스폰지 케이크의 저장 중의 노화도를 Avrami 식에 의하여 분석하고 이로부터 노화 속도 상수를 산출하였다.
  • 키토산을 함유한 스폰지 케이크의 노화속도에 대한 온도 의존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Avrami식을 이용하여 구한 노화속도상수를 다음의 Arrhenius 관계식에 적용하여 온도에 따른 반응속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케이크의 구성 성분 중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제과, 제빵에 있어 복합분을 이용한 연구는 과거 수십 년간 여러 나라에서 많은 관심사가 되어왔다. 이러한 복합분의 이용에 대한 연구는 기능적 특성의 부여 및 저장 중 일어나는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에 따른 유통기한의 감소를 줄이기 위한 측면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Farvili, N et al 1997, Rogers D E et al 1988)전분은 케이크의 구성 성분 중에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케이크의 이화학적 성질 변화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케이크를 저장하는 동안 케이크의 팽창을 돕는 글루텐으로부터 전분으로 물의 이동이 일어나 글루텐 및 전분의 구조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Giovanelli, G.
케이크의 팽창을 돕는 성분은 무엇인가요? 이러한 복합분의 이용에 대한 연구는 기능적 특성의 부여 및 저장 중 일어나는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에 따른 유통기한의 감소를 줄이기 위한 측면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Farvili, N et al 1997, Rogers D E et al 1988)전분은 케이크의 구성 성분 중에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케이크의 이화학적 성질 변화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케이크를 저장하는 동안 케이크의 팽창을 돕는 글루텐으로부터 전분으로 물의 이동이 일어나 글루텐 및 전분의 구조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Giovanelli, G., Peri, C.
전분의 구조변화로 인한 전분의 노화란 무엇에 의해 생긴 현상인가? 1997)이러한 변화 중 전분의 구조변화로 인한 전분의 노화는 전분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분의 노화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케이크 반죽의 굽는 과정 중에 일어나는 전분의 호화과정 중 용출된 아밀로오스의 재결정화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전분의 기원, 아밀로오스 함량, 저장온도, 수분함량, 구성성분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성질로 알려져 있다(Stauffer, C.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rmero, E. and Collar, C. (1998) Crumb firming kinetics of wheat breads with anti-staling additives. J. Cereal Sci 28, 165-174 . 

  2. Akers, A. A. and Hoseney, R. C.(1998) Water-soluble dextrins from $\alpha$ -amylase treated bread and their relationship to bread-firming. Cereal Chem. 71, 223-226 . 

  3. Baker, L.A. and Rayas-Duarte, P.(1998) Retrogradation of amaranth starch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and the effects of salt and sugars. Cereal Chem. 75, 308-314 . 

  4. Bhaskara Reddy, M. V., Arul, J., Angers, P. and Couture, L. (1998) Chitosan treatment of wheat seeds induces resistance to Fusarium graminearum and improves seed quality. J. Agric Food chem. 47, 1208-1216 . 

  5. Chang , B. Y. and Johnson, J. A.(1998) Meserment of total and gelatinized starch by glucoamylase and o-toluidine regent. Cereal Chem, 54, 429-435 . 

  6. Chang, S. and Liu, L.(1998) Retrogradation of rice starches studi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influence of sugars, NaCl and lipids. J. Food Sci 56, 564-566, 570 . 

  7. Chang, Y. H., Lin, C. C., Wang, I. C. and Lii, C. Y.(1998) Kinetic study of the retrogradation rate of rice starch. Food Sci. Agric. Chem 3, 203-209 . 

  8. Chun SS.(1998) Development of functional sponge cakes with onio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32, 62-66 

  9. Corsetti, A., Gobbetti, M., De Marco, B., Balestrieri, F., Paoletti, F., Russi, L. and Rossi, J.(1998) Combined effect of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and additives on bread firmness and staling. J. Agric Food chem. 48, 3044-3051 . 

  10.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and Smith, F.(1998)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 

  11. Fan, J. and Marks, B.P.(1998) Retrogradation kinetics of rice flours as influenced by cultivar. Cereal Chem. 75, 153-155 . 

  12. Farvili, N., Walker, C. E. and Qarooni, J.(1998) The effects of protein content of flour and emulsifiers on tanoor bread quality. J.Cereal Sci. 26, 137-143 . 

  13. Fearn, T. and Russell, P.L.(1998) A kinetic study of bread staling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effect of loaf specific volume. J. Sci Food Agric 33, 537-548 . 

  14. Germani, R., Ciacco, C. F. and Rodriguez-Amaya, D. B.(1998) Effect of sugars, lipids and type of starch on the mode and kinetics of retrogradation of concentrated corn starch gels. Starch 35, 377-381 . 

  15. Gerrard, J. A., Every, D., Sutton, K. H. and Gilpin, M. J.(1998) The role of maltodextrins in the staling of bread. J. Cereal Sci 26, 201-209 . 

  16. Giovanelli, G., Peri, C. and Borri, V.(1998) Effects of baking temperature on crumb-staling kinetics. Cereal Chem. 74, 710-714 . 

  17. Han, X. and Shahidi, F.(1998) Extraction of harp seal gastric proteases and their immobilization on chitin. Food Chem. 52, 71-76 . 

  18. Hirano, S. Itakura, C., Seino, H., Akiyama, Y., Nonaka, I., Kanbara, N. and Kawakami, T.(1998) Chitosan as an ingredient for domestic animal feeds. J.Agric Food Chem 38, 1214-1217. 

  19. Hoagland, P. D. and Parris, N.(1998) Chitosan/pectin laminated films. J. Agric Food Chem. 44, 1915-1919 

  20. Oh SC, Nam HY, Cho JS.(1998) Quality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as affected by additions of Dioscorea japonica flour. J. Soc Food Cookery Sci. 18, 185-192 

  21. Jankowski, T. and Rha, C. K.(1998) Retrogradation of starch in cooked wheat. Starch 38, 6-9 . 

  22. Kim, S.K., Hahn, T.R., Kwon, T.W. and D'Appolonia, B.L.(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uckwheat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 9, 138-143 . 

  23. Knorr, D.(1998) Use of chitinous polymers in food- A challenge for food research and development. Food Tech. 38, 87-97 . 

  24. Lee, S.W., Bae, S.K. and Rhee, C.(1998)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ine nut's gruel during storage. Korean J.Food Sci. Tech. 32, 140-146 . 

  25. Longton, J. and LeGrys, G.A.(1998)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tudies of the crystallinity of aging wheat starch gels. Starch 33, 410-414 . 

  26. Maleki, M., Hoseney, R. C. and Mattern, P. J.(1998) Effects of loaf volume, moisture content, and protein quality on the softness and staling rate of bread. Cereal Chem. 57, 138-140 . 

  27. Matsuhashi, S. and Kume, T.(1998) Enhanc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 by irradiation. J. Sci Food Agric 73, 237-241 . 

  28. Muzzarelli, R. A. A.(1998) Chitosan-based dietary foods. Carbohydrate Polymers 29, 309-316 . 

  29. No, H. K. and Meyers, S. P.(1998) Crawfish chitosan as a coagulant in recovery of organic compounds from seafood processing streams. J. Agric Food Chem 37, 580-583 

  30. Richards, G. N. and VanDenBurg, J.Y.(1998) Fructose-grafted amylose and amylopectin. Carbohydrate Reaearch 268, 201-207 . 

  31. Rogers, D. E., Zeleznak, K. J., Lai, C. S. and Hoseney, R. C.(1998) Effect of native lipids, shortening, and bread moisture on bread firming. Cereal Chem. 65, 398-401 . 

  32. SAS Institute.(1998) SAS/STAT User Guide, release 6.30 edition . 

  33. Seog-Won L, Chang-Su K.(1998) Effects of high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on quality attributes of sponge cake. J. Food & Nutr. 4, 309-315 

  34. Song, J.Y, S.K Lee and Shin, M.S.(1998) Effects of RS-3 type resistant starches on breadmaking and quality of white pan bread. Korean J. Soc. Food Sci. 6, 188-194 

  35. Soto-Perlata, N. V., Muller, H. and Knorr, D.(1998) Effect of chitosan treatments on the clarity and color of apple juice. J. Food Sci. 54, 495-496. 

  36. Spanna, G. Pifferi, P. G., Rangoni, C., Mattivi, F., Nicolini, G. and Palmonari, R.(1998) The stabilization of white wines by adsorption of phenolic compounds on chitin and chitosan. Food Research Intl. 29, 241-248 . 

  37. Stauffer, C.E.(1998) Emulsifiers as antistaling agents. Cereal Food World 45, 106-110 . 

  38. Tsuge, H., Hishida, M. Iwaski, H., Watanabe, S. and Goshima, G.(1998) Enzymatic evaluation for the degree of starch retrogradation in foods and foodstuffs. Starch 42, 213-216 . 

  39. Toufeili, I. Habbal, Y., Shadarevian, S. and Olabi, A.(1998) Substitution of wheat starch with non wheat starches and cross linked waxy barley starch affects sensory properties and staling of arabic bread. J. Sci. Food agric. 79, 1855-186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