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신임교수에게 주는 의미 탐색
Seeking the Meaning of Microteaching Experience to New Professors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4 no.5 = no.59, 2012년, pp.721 - 738  

조용형 (동부산대학교) ,  서영희 (동부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niversity authorities with substantial help in enforcing Microteaching to new professors based on qualitative study.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eleven new professors working for D college located in Busan and the study lasted for ten month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이크로티칭은 어떤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는가? 마이크로티칭은 1963년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에서 교사 양성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훈련의 한 대안으로 등장(Allen & Ryan, 1969)하였다. 처음에는 주로 예비 교사들이 수업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효과 적으로 전달하는 경험을 쌓기 위해 동료 학생들에게 수업을 해 보고 동료나 교수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형태(Nancy & Bell, 2007)이거나 교육실습생에게 요구되는 구체적인 수업 기술을 개발하고 개선시키기 위한 실습체계(유혜령, 1997) 형태였다. 그러나 동영상 녹화 장비가 발달하면서 모의 강의나 실제 강의를 촬영하여 분석하고 컨설팅 하는 보다 전문적인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마이크로티칭이 예비교사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현직 교사들에게까지 확대 시행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서는 마이크로티칭이 예비교사에게만국한되지 않고 현직 교사들에게까지 확대 실시되고 있다. 그 이유는 모의 수업장면이나 실제 수업장면을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한 후 강의 동영상을 보며 수업과정을 분석․평가하고 그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다시 수업 시연을 하고 그 결과를 재분석해보는 과정을 통하여 예비 교사나 현직교사들로 하여금 특수한 교수방법을 개발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조영남, 1993). 이러한 경향과 발맞추어 마이크로티칭에 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마이크로티칭은 무엇을 위하여 등장하였는가? 최근 교수능력을 신장시키고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각 대학은 마이크로티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마이크로티칭은 1963년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에서 교사 양성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훈련의 한 대안으로 등장(Allen & Ryan, 1969)하였다. 처음에는 주로 예비 교사들이 수업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효과 적으로 전달하는 경험을 쌓기 위해 동료 학생들에게 수업을 해 보고 동료나 교수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형태(Nancy & Bell, 2007)이거나 교육실습생에게 요구되는 구체적인 수업 기술을 개발하고 개선시키기 위한 실습체계(유혜령, 1997) 형태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동수(1989). 마이크로티칭 기법이 교생의 교수 기술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고수일.고은정(2004). 피드백 수용도의 결정 요인, 인적자원개발연구 6(2), 21-44. 

  3. 구정모(2004). 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원 원격 연수에 마이크로티칭 기법의 적용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권성호(1996). 마이크로티칭 시스템의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대학생활연구 14, 145-163. 

  5. 권성호(1996). 마이크로티칭 시스템의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대학생활연구 14, 145-163. 

  6. 김기범.김양하(2003). 자의식적 정서로서의 부끄러움의 사회문화적 기능분석, 한국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동계발표대회 및 심포지엄, 3-13. 

  7. 김남희(2009).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 생태유아교육연구 8(4), 85-114. 

  8. 김상수.백웅기(2010). '대학가 교수 강의평가 공개제도 잇달아 도입', 헤럴드 경제, 2010년 3월 29일자. 

  9. 김석우.윤미영(1996) 마이크로 티칭방식의 수업장학이 교사의 발문기술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 6(1), 31-49. 

  10. 김성재(2011).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261-284. 

  11. 김수영(2010). '지역전문대 생존경쟁 돌입', 대전일보 2010년 5월 28일자. 

  12.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문음사. 

  13. 김의웅(1990). 마이크로티칭 활동을 통한 수업기술 향상 가능성 탐색, 교육공무원교육훈련발전 연구대회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9-232. 

  14. 김현자(2008). 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논의의 접근방법과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197-221. 

  15. 박수경(1992). Microteaching방식의 수업장학이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에 미치는 효과-질문기술과 피이드백 기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수경.김상달.조주환(1992). 마이크로티칭 방식의 수업장학이 지구과하과 교육실습생의 수업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학회지 13, 269-282. 

  17. 서윤경(2009).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와 운영 전략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271-297. 

  18. 석은조(2006).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손연아.신종란.민병비(2007). 생물 예비교사의 수업 시연에서 나타난 과학 수업 모형의 적용 과정 분석 마이크로 티칭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3), 495-507. 

  20. 신장미(2008).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유신영(2005).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수업분석 모형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유혜령(1997). 마이크로티칭, 서울: 문음사 

  23. 윤여각(1997). 태극대학교 대학원생의 학문적 수월성 유지 기제에 관한 문화 기술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윤택림(2004).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아르케. 

  25. 이기준(2011). '공교육을 바로 세워야', 예천신문, 2011년 3월 21일자. 

  26. 정태희(2004).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발표수업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정연구 22(4), 189-208. 

  27. 조 벽(2012). 조벽교수의 수업 컨설팅, 서울: 해냄. 

  28. 조영남(1993). 마이크로티칭과 교사교육 교수행동 개선을 위한 체계적 접근, 교육학연구 31(5), 147-161 

  29. 조용환(2000).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30. 최성욱(2010). '강의 인센티브 '1천만원 시대'... 숨가쁜 대학교육', 교수신문, 2010년 3월 8일자. 

  31. Allen, D. W., & Ryan. K. A.(1969). Microteaching, Massachusetts: Addison-Wesley Reading. 

  32. Amobi, F. A.(2005).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ity on the sequence and consequences of teaching actions in a microteaching experience, Teacher Education Quarterly, 52(1), 115-30. 

  33. Benton-Kupper, J.(2001). The microteaching experience: Student perspectives, Education, 12J(4), 830-835. 

  34. Bogdan, R. C., & Biklen, S. K.(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35. Borg, W., Kallenbach, W., Morris, M. and Friebel, A.(1969). Videotape feedback and microteaching in a teacher training model,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37, 9-16. 

  36. Brent, R., & Thomson, W. S.(1996). Videotaped micro teaching: Bridging the gap from the university to the classroom, The Teacher Educator, 31, 238-247. 

  37. Greswell 저, 조홍식 외 역(2005).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38. Davis, O. & Smoot, B.(1970). Effects on verbal teaching behaviors of beginning secondary teacher candidates' participation in a program of laboratory teaching: Laboratory observation schedule and record. Educational Leadership, 28, 165-169. 

  39. Gess-Newsome, J., & Lederman, N. G.(1990). The preservice microteaching course and science. 

  40. Gibson, S., & Dembo, M. H.(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59-582. 

  41. Hawkey, K.(1995). Learning from peers: The experience of student teachers in school-base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al 46, 175-183. 

  42. I' Anson, J., Rodrigues, S., & Wilson, G.(2003). Mirrors, reflections and refraction: The contribution of microteaching to reflective practice,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6(2), 189-199. 

  43. Jerich, K.(1989). Using a clinical supervision model for microteaching, experiences, Action in Teacher Education, 11, 24-32. 

  44. Klinzing, H. G.(2002). Wie effektiv ist microteaching? Ein uberblick uber funfundreifsig jahre forschung (How effective is microteaching? A survey of fifty-three years of research), Zeitschrift fur Padagogik, 48(2), 194-214. 

  45. Kpanja, E.(2001). A study of effect of video tape recording in microteaching train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2(A), 483-486. 

  46. Lincoln, Y. S., & Guba, E. G.(1985). Natu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47. Mathison, S.(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er, 17, 13-17. 

  48. McDonald, F. and Allen. D.(1967). Training effects on feedback and modeling procedures on teacher performance,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49. Morse. K. and Davis. O.(1970). Effectiveness of teaching laboratory instruction on the questioning behaviors of beginning teacher candidates, University of Texas: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50. Nancy D. Bell(2007) Microteaching: What is it that is going on here? Linguistics and Education, 18, 24-40. 

  51. Wilkinson, G. A.(1996). Enhancing microteaching through additional feedback from preservice administrato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2), 211-2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