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CR-DGGE를 이용한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발효 과정과 저장 기간 중 효모와 세균 균총의 변화
Changes in Yeast and Bacterial Flora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using PCR-DGGE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0 no.2, 2012년, pp.111 - 116  

민진홍 (배재대학교 생명유전공학과) ,  남윤규 (충남 농업기술원 청양 구기자 시험장) ,  주정일 (충남 농업기술원 청양 구기자 시험장) ,  정재홍 (청양대학 청양그린웰니스 RIS사업단) ,  이종수 (배재대학교 생명유전공학과) ,  김하근 (배재대학교 생명유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미생물 분포와 최적 저장 기간을 확립하기 위하여 먼저 구기자-맥문동 막걸리를 제조한 후 $4^{\circ}C$$20^{\circ}C$에 저장하면서 효모, 총 세균 그리고 젖산균의 생균 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가 완료되어 $4^{\circ}C$에서 15일간 저장하는 동안 효모 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30일간 저장한 후에는 약 62%가 감소되었다. $20^{\circ}C$에서 수행한 저장 실험에서는 15일간 저장한 후 초기 효모균수의 87%가 감소하였으며 30일간 저장한 후에는 약 95.2%가 감소되었다.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DGGE 분석에 의해 S. cerevisiae와 미동정의 Saccharomyces sp.가 동정되었는데 $2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Saccharomyces sp.가 더 빨리 사멸하였다. 저장 기간 중 총 세균 수와 젖산균의 변화 양상은 유사하였다. $4^{\circ}C$에서 저장 하였을 때 저장 15일 시점에서 총 세균 수는 약 64%가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 저장 30일까지 총 세균수의 변화는 크게 없었다. $20^{\circ}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에는 초기 세균 수가 저장 15일 시점에서 총 세균수의 약 95%가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 저장 30일 시점까지 총 세균수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DGGE분석을 통해 발효 개시 시점에서는 W. cibaria가 우점균이었다가 점차 L. fermentum과 P. acidilactici가 증가하여 저장 기간 동안 이들이 우점균으로 존재 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icrobial flora changes in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periods. We brewed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for a week through twostage fermentations and stored the fermentation broth for a month at $4^{\circ}C$ or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구기자와 맥문동의 생리 기능성이 우수하다는 보고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이용한 건강 주류 개발 그리고 이들에 대한 저장성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져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기호성과 생리기능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구기자-맥문동 막걸리를 개발하고자 전보[13]에서 전통 구기자-맥문동 전통주(약주) 제조에 적합한 알코올 발효 효모로서 Saccharomyces cerevisiae C-2를 선발하였고, 이들의 최적 발효 조건과 선발된 효모를 이용한 저장 중 품질 특성과 생리기능성의 변화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S.
  • 따라서 기호성과 생리기능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구기자-맥문동 막걸리를 개발하고자 전보[13]에서 전통 구기자-맥문동 전통주(약주) 제조에 적합한 알코올 발효 효모로서 Saccharomyces cerevisiae C-2를 선발하였고, 이들의 최적 발효 조건과 선발된 효모를 이용한 저장 중 품질 특성과 생리기능성의 변화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S. cerevisiae C-2 를 사용하여 제조한 전통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최적 저장기간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발효기간과 발효를 마친 후 저장 기간 동안 효모와 세균 특히 젖산균의 변화를 평판배지를 이용한 생균수 측정과 동시에 DGGE를 사용하여 전기영동에 의해 분리된 rRNA 유전자 DNA밴드들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시료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기자의 대표적인 자양강장 효능 이외 다른 효능은? 구기자는 carotenoid, zeaxanthin, betaine, β-sitosterol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자양강장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또한 구기자는 항고혈압 활성 등의 우수한 생리 기능성을 가지고 있어서[4, 9], 구기자 엑기스를 첨가하여 제조한 전통 구기자 탁주에 높은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저해 활성이 있다고 보고 된 바 있다[12]. 맥문동도 역시 β-sitosterol 등의 생리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면역증강, 혈당강화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본 논문에서 구기자-맥문동 막걸리 제조 후 효모, 총 세균 그리고 젖산균의 생균 수를 조사한 이유는? 구기자-맥문동 막걸리의 미생물 분포와 최적 저장 기간을 확립하기 위하여 먼저 구기자-맥문동 막걸리를 제조한 후 $4^{\circ}C$와 $20^{\circ}C$에 저장하면서 효모, 총 세균 그리고 젖산균의 생균 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가 완료되어 $4^{\circ}C$에서 15일간 저장하는 동안 효모 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구기자-맥문동 막걸리 발효 과정에서 주로 어떤 미생물이 동정 되었나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상업용 막걸리의 PCR-DGGE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data not shown), 구기자-맥문동 막걸리 발효 과정 중 존재하는 세균 균총으로부터 유래된 16S rDNA 밴드들의 양상은 시판용 막걸리들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게 나타났다. 구기자-맥문동 막걸리 시료에서는 Weissella cibaria, Lactobacillus fermentum 그리고 Pedi°C°Ccus acidilactici가 주요 박테리아로 동정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숙주세포에 유용한 역할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으로 알려져 있다[2, 6, 10]. 흥미 있는 것은 발효가 개시되는 시점(-7 days)에서 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ek, S. Y., Y. G. Nam, J. I. Ju, and J. S. Lee. 2011.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 during storage of Gugija-Liriope tuber Makgeolli mad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2. Kor. J. Mycol. 39: 122-125. 

  2. Daeschel, M. A., and T. R. Klaenhaemmer. 1985. Association of a 13.6-megadalton plasmid in Pediococcus pentosaceus with bacteriocin activity. Appl. Environ. Microbiol. 50: 1538S-1541S 

  3. Haruta, S., S. Ueno, I. Egawa, K. Hashiguchi, A. Fujii, M. Nagano, M. Ishii, and Y. Igarashi. 2006. Succession of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during a traditional pot fermentation of rice vinegar assessed by PCR-mediated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09: 79-87. 

  4. Lee, J. S., Y. C. Park, S. W. Paik, S. S. Lee, Y. K. Ahn, and J. S. Lee. 2008.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Gugija products and an in vivo examination on anti-hypertension effe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115-120. 

  5. Lee, M. Y., S. Y. Sung, H. K, Kang, H. S. Byun, S. M. Jung, J. H. Song, and J. S. Lee.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rice wines in Chungnam province of Korean.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177-182. 

  6. Lee, K. W., J. Y. Park, H. R. Jeong, H. J. Heo, N. S. Han, and J. H. Kim. 2012. Probiotic properties of Weissella strains isolated from human faeces. Anaerobe. 18: 96-102. 

  7. Min, J. H., S. Y. Baek, J. S. Lee, and H. K. Kim. 2011. Changes of yeasts and bacterial flora during the storage of Korean traditional Makgeolli. Kor. J. Mycol. 39: 151-153. 

  8. Muyzer, G., E. C. de Waal, and A. G. Uitterlinden. 1993. Profiling of complex microbial populations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amplified genes coding for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ol. 59: 695-700. 

  9. Park, W. J., B. C. Lee, J. C. Lee, E. N. Lee, J. E. Song, D. H. Lee, and J. S. Lee. 2007. Cardiovascular biofunctional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ugija (Lycium chinensis Miller) species its hybrids. Kor. J. Medicinal. 15: 391-397. 

  10. Reque, E. de F., A. Pandey, S. G. Franco, and C. R. Soccol. 2000.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physiological study of Lactobacillus fermentum LPB for use as probiotic in chickens. Brazilian J. Microbiol. 31: 303-307. 

  11. Rhee, I. J., and J. Y. An. 2003. Hepatoprotectives effects of water extract of Liriopis tuber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Kor. J. Pharmacon. 34: 166-171. 

  12. Song, J. H., J. H. Jang, H. K. Kim, and J. S. Lee. 2009. Manufa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big blue Lily-turf Takju. J. Natural Sciences. Paichai University, Korea. 20: 22-29. 

  13. Song, J. H., S. Y. Baek, D. H. Lee, J. H. Jung, H. K. Kim, and J. S. Lee. 2011. Screening of fungal Nuruk and yeast for brewing of Gugija-Liriope tuber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Kor. J. Mycol. 39: 78-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