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졸중 환자의 건강신념과 운동기능 재활 이행 및 일상생활동작 행능력과의 상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s health beliefs and the implementation of functional movement rehabilitation and ability to perform ADL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7, 2012년, pp.3057 - 3064  

문병무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이연섭 (청암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병훈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건강신념과 환자의 운동기능 재활 이행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뇌졸중 환자의 성공적인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재활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하고 있는 D병원에 뇌졸중으로 진단 받고 입원 치료중인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환자에게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한 후 132부를 회수하였고 그 중 자료가 불충분한 11부를 제외한 총 121부를 자료 분석하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ver.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상자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건강신념과 운동기능 재활 이행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변량 상관분석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심각성이 높아질수록 운동기능 재활 이행이 높았으며, 지각된 장애성 낮을수록 운동기능 재활 이행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s health belief and the implementation of functional movement rehabilitation and ability to perform ADL in stroke patient, and have done this study to use this as evidence in treating stroke patients in clinical trials by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건강신념과 환자의 운동기능 재활 이행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뇌졸중 환자의 성공적인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재활 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신념, 재활 이행률,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뇌졸중 환자의 건강신념과 재활치료 이행률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될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신념, 재활 이행률,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첫째, 건강신념 중 지각된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운동기능 재활 이행률은 높았다. 둘째, 건강신념 중 지각된 장애성은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 셋째, 운동기능 재활 이행이 높을수록 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은 증가하였다. 넷째, 환자가 운동기능 재활에 대해 이익성, 민감성, 심각성이 높을수록 운동기능 재활 이행률이 높았으며 결과적으로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변화는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65세이상 뇌졸중 발생률은?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매년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자료에 따르면 암이 첫 번째 사망원인으로 되어 있으나(10만 명당 약 130명), 이는 모든 암을 합한 경우이고, 단일 장기 질환으로 분류하면 뇌졸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사망률 (10만 명당 약 60명)을 보인다[1]. 우리나라의 뇌졸중 발생률은 65세 이상에서 10만 명당 약 1,000~2,000명에 달하였으며, 이는 영국, 프랑스 등 서구에 비해 약 두 배 가량 높은 수치이다. 현재처럼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가 지속된다면 우리나라의 뇌졸중 환자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2000년대 초반 연간 약 10만 명 발생, 40만 명 정도의 뇌졸중 유병률을 보이다가 2030년경에는 연간 뇌졸중 발생 건수만 약 35만 명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2,3].
우리나라에서 단일질환 중 가장 높은 사망원인 질병은?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매년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자료에 따르면 암이 첫 번째 사망원인으로 되어 있으나(10만 명당 약 130명), 이는 모든 암을 합한 경우이고, 단일 장기 질환으로 분류하면 뇌졸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사망률 (10만 명당 약 60명)을 보인다[1]. 우리나라의 뇌졸중 발생률은 65세 이상에서 10만 명당 약 1,000~2,000명에 달하였으며, 이는 영국, 프랑스 등 서구에 비해 약 두 배 가량 높은 수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Statistics of mortality 2009. 

  2. J. H. Rha, "Stroke Epidemiology 2007 Update," Korean Journal of Stroke, Vol.10, No.1, pp. 1-4, 2008. 

  3. H. J. Bae, "Epidemiology of Stroke: 2006 Update", Korean Journal of Stroke, Vol.9, No.1, pp. 5-10, 2007. 

  4.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Morbidity and mortality: 2009 chart book on cardiovascular", lung, and blood diseases, Retrieved May 15, from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vailable at : http://www.nhlbi.nih.gov/ resources/docs/2009_Chart Book.pdf, 2010. 

  5.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Major chronic diseases management business guide", 2008. 

  6. H. C. Dijkerman, M. Ietswaart, M. Johnston, R. S. Macwalter, "Does motor imagery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Clin Rehabil. Vol.18, No.5, pp. 538-549. 2004. 

  7. C. A. Trombly, M. V. Radomski, C. Trexel, S. E. Burnet-Smith, "Occupational therapy and achievement of self-identified goals by adul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phase II", Am J Occup Ther. Vol.56, No.5, pp. 489-498, 2002. 

  8. I. M. Rosenstock,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in Becker, M.H.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New Jersey: charles B. Slack, Inc., pp. 1-8, 1974. 

  9. S. N. Walker, K. R. Secrist, N. J. Pende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36, pp. 76-81, 1987. 

  10. M. Y. Han, C. W. Chung,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s in Working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Vol.12, No.4, pp. 363-370, 2006. 

  11. B. Y. Chun, S. Kam, Y. J. Lee , S. W. Lee, K. E. Lee, Y. S. Lee, B. K. Kim, "Therapeutic compliance for calcium supplements and Its related factors in rural osteoporotic Women", Kor. J. Rural. Med., Vol.26, pp.111-132, 2001. 

  12. J. Nexoe, J. Kragstrup, J. & Sogaard, "Decision on influenza vaccination among the elderly: A Questionnaire study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he Multidimensional Locus of Control theory", Scandinavian Journal of Primary Health Care, Vol.17, pp. 105-110, 1999. 

  13. Y. W. Lee, H. S. Kim, E. Y.Cho,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2, No.1, pp. 40-49, 2002. 

  14. Y. H. Byun, K. S. Choi, "A Study On Health Beliefs And Range Of Motion Exercise Of Impaired Physical Mobility Patients In Lower Extremity",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Vol.6, pp. 55-60, 2002. 

  15. S. S. Park, J. H. Sun,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of Prevention Program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office Worker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15, No.1, pp. 50-57, 2006. 

  16. J. H. Park, Y. C. Kwon,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28, pp. 587-603, 1989. 

  17. M. F. Folstein, S. E. Folstein, P. R. McHugh, "Mini 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12, pp. 189-198, 1975. 

  18. S. Shah, V. Frank, C. Betty,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Vol.42, pp. 703-709, 1989. 

  19. J. S. Park, C. J. Park, Y. S. Kwon,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on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6, pp. 359-371, 1996. 

  20. D. U. Jette, R. L. Warren, C. Wirtalla, "Rehabilitation on skilled using facilities: Effect of nursing staff level and therapy intensity on outcome", Am J Phys Med rehabil, Vol.83, pp. 704-712, 2004. 

  21. C. C. Chen, A. W. Heineman, C. V. Granger, "Function gain and therapy intensity during subacute rehabilitation: A Study of 20 Facilities", Arch Phys Med Rehabil, Vol.83, pp. 1514-1523, 2002. 

  22. M. V. Johnston, K. D. Wood, R. Fiedler,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and efficient rehabilitation programs", Arch Phys Med Rehabil, Vol.84, pp. 410-418, 2003. 

  23. G. Kwakkel, R. Van Peppen, R. C. Wagenaar, S. W. Dauphinee, C. Richards, A. Ashburn, K. Miller, N. Lincoln, C. Partridge, I. Wellwood, "Effects of augmented exercise therapy time after stroke. A meta-analysis", Stroke, Vol.35, pp. 2529-2536, 2004. 

  24. L. A. Vearrier, J. Langan, A. Shumway-Cook, M. Woollacott, "An intensive massed practice approach to retraining balance post-stroke", Gait posture, Vol.22, pp. 154-163, 2005. 

  25. J. G. Choi, Y. J. Kim, M. S. Jin, Y. J. Lee, J. H. Kim, E. H. Lee, J. G. Jung,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ambulation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Exercise scienc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Vol.17, pp. 259-268, 2008. 

  26. A. Pollock, G. Baer, P. Langhorne, V. Pomeroy, "Physiotherapy treatment approaches for the recovery of postural control and lower limb function following stroke: a systematic review", Clin Rehabil, Vol.21, pp. 395-410, 2007. 

  27. E. N. Lee, "The effect of the health belief and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on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 in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5, pp. 174-190, 1998. 

  28. S. O. Kim, "The Effect of Specialized Education on compliance with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 for preventive of Viral Hepatitis" A collection of learned papers College of Nursing, Suncheon, Vol.14, pp. 37-67,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