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 및 가공품 중 difenoconazole의 잔류특성 및 가공계수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Factors of Difenoconazole in Fresh Ginseng and Processed Ginseng Product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6 no.1, 2012년, pp.35 - 42  

노현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이광헌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이재윤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이은영 ((주)동부한농) ,  박영순 ((재)금산국제약초연구소) ,  박효경 (호서대학교 안전성평가 센터) ,  오재호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임무혁 (식품의약품안전청) ,  이용재 ((주)한국인삼공사) ,  백인호 ((주)한국인삼공사) ,  경기성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삼을 건삼, 홍삼 및 농축액으로 제조하는 과정 중 difenoconazole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고 가공계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약제 살포는 2009년(4년근)과 2010년(5년근) 2년에 걸쳐 안전사용기준에 준하여 약제를 살포하였으며, 수확한 인삼은 (주)한국인삼공사의 공인된 방법으로 건삼과 홍삼으로 제조한 후 각각의 물과 알코올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수삼 중 시험농약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0.001과 0.003 mg/kg이었으며, 가공품의 경우 0.002와 0.007 mg/kg이었다. 4년근 수삼 및 가공품의 잔류량은 0.006-0.017 mg/kg이었으며, 5년근 수삼 및 가공품의 잔류량은 0.042-0.196 mg/kg으로 5년근 수삼 및 가공품 잔류량이 4년근 수삼 및 가공품 잔류량 보다 증가하였다. 수삼과 가공품의 잔류량 비로 산출한 가공계수는 4년근 건삼의 경우 1.71-2.17, 홍삼 1.62-2.03, 농축액 1.76-2.98이었으며, 5년근의 경우 건삼 2.89-3.07, 홍삼 1.89-2.20, 농축액 2.36-4.67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calculate processing factors of difenoconazole in ginseng and its processed products, such as dried ginseng, red ginseng and their water and alcohol extracts. The pesticide was sprayed onto the ginseng according to its pre-ha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 점무늬병에 사용되는 살균제 difenoconazole의 가공에 따른 잔류 농약 특성을 구명하고 가공품의 MRL 설정에 필요한 가공계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은 어느 나라에서 재배되는가? 인삼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미국, 중국, 일본 및 러시아 등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대표적인 품종은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인삼의 주요 성분은 무엇인가? 미국의 화기삼(panax quinquefolium)은 위스컨신과 미네소타주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죽절삼(panax japonicum)이 재배되고 있다(이, 1996; 신 등, 2006). 이러한 인삼의 주요 성분은 사포닌(3-6%), 비타민(0.05%), 탄수화물(60-70%) 및 회분(4-6%) 등이며, 간을 보호 및 해독하고,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면역 증진 및 항암 등의 약리 작용을 지니고 있어 한의약에서는 중요한 약초로 활용되고 있다(박, 1996; 박 등, 2007). 이러한 기능들이 알려지면서 인삼 제품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생산량 또한 증가하게 되었고, 홍삼 및 농축액류 등도 가공품의 생산량이 급증하게 되었다.
인삼 제품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생산량 또한 증가하였는데 인삼의 효능은? 이러한 인삼의 주요 성분은 사포닌(3-6%), 비타민(0.05%), 탄수화물(60-70%) 및 회분(4-6%) 등이며, 간을 보호 및 해독하고,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면역 증진 및 항암 등의 약리 작용을 지니고 있어 한의약에서는 중요한 약초로 활용되고 있다(박, 1996; 박 등, 2007). 이러한 기능들이 알려지면서 인삼 제품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생산량 또한 증가하게 되었고, 홍삼 및 농축액류 등도 가공품의 생산량이 급증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ong F. (2012) The pesticide residue changes during food processing and storage, Institute of Plant Protection Chinese Acamedy of Agricultural Sciences p.28. 

  2. Manikandan N., S. Seenivasan, M. N. K. Ganapathy, N. N. Muraleedharan and R. Selvasundaram (2009) Leaching of residues of certain pesticides from black tea to brew, Food Chemistry 113:522-525. 

  3. FAO/WHO Joint Meeting on Pesticide Residues (2007) Evaluation Report 2007, pp.382-383. 

  4. 강미영 (2002) 현대인의 식생활과 건강, 경북대학교 출판부. 

  5. 김종걸 (2009) 인삼의 재배 및 가공단계 별 azoxystrobin, difenoconazole 잔류성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종걸, 박홍열, 양규완, 김성수, 권찬혁, 정연호, 허장현 (2011) 국내산 인삼 가공과정 중 difenoconazole의 가공 및 감소계수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43(3):263-270. 

  7. 김효근, 이규승 (2002) 인삼재배를 위한 차광조건이 인삼의 생육과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21(1):24-30. 

  8. 농림수산식품부 (2010) 2009 인삼통계자료집 pp.38-44. 

  9. 농촌진흥청 (2010) 농약관리법령 및 고시 훈령집 p.336. 

  10. 박종대 (1996) 고려인삼의 화학성분에 관한 고찰, 고려인삼학회지 20(4):389-415. 

  11. 박채규, 곽이성, 황미선, 김석창, 도재호 (2007) 건강기능식품에서 인삼제품 현황, 식품과학과 산업 6:30-45. 

  12.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인삼 가공중 농약 감소율 산출 연구 보고서. 

  13. 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가공식품 중 농약잔류기준 설정 연구-인삼 및 건조농산물에 대하여- 연구보고서. 

  14. 신영민, 이선화, 손영욱, 정지윤, 정성욱, 발홍재, 김성훈, 원영준, 이창희, 김우성, 홍무기, 채갑용 (2006) 인삼농축에서 GC를 이용한 잔류농약 동시다성분 분석법의 개발, 한국환경과학회지 15(1):85-94. 

  15. 신정희 (2011) 가공식품에 대한 주부의 인식과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재열 (1996) 인삼과 건강, 한림출판사. 

  17. 임무혁, 권광일, 박건상, 이경진, 장문익, 윤원갑, 최우종, 유광수, 홍무기 (2007) 홍삼 가공중 azoxystrobin, fenhexamid 및 cyprodinil농약의 감소율, 한국식품과학회지 39(5):575-579. 

  18. 임무혁, 권광일, 박건상, 최동미, 장문익, 정지윤, 이경진, 윤원갑, 홍무기, 우건조 (2006) 인삼 가공 중 잔류농약의 감소계수 연구(I), 농약과학회지 10(1):22-27. 

  19. 한국작물보호협회 (2009) 농약사용지침서 p.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