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약제제 중 이산화황 잔류실태 시중 유통 생약제제 중 이산화황의 잔류실태 조사
Analysis of Sulfur Dioxide Residue in Commercial Medicine Prepared from Crude Drugs 원문보기

약학회지 = Yakhak hoeji, v.56 no.1, 2012년, pp.55 - 59  

이춘영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정숙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현경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박원희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정곤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정애희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residues in the medicine prepared from crue drugs. Total 29 pills that contains salvia miltiorrhiza root, anemarrhena rhizome, fritillaria bulb, glehnia root, asparagus tuber, lycium fruit, moutan root bark, cimicifuga rhizom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3) 그러나 개정된 고시에서는 265개 생약에 대해서만 잔류이산화황의 기준을 30 mg/kg 으로 정하고 있어 생약의 추출물 및 제제에 대하여는 기준을 적용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 유통 생약제제 중에 이산화황의 잔류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생약 뿐 아니라 안전한 생약제제 관리의 기초에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식환자들에게 아황산염의 안전 규제가 꼭 필요한 이유는? 최근 들어 식품에 함유된 이산화황에 의해 일부 사람들에게 과민 반응이 나타나고 있으며, FDA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산화황에 의해 사망을 비롯하여 기관지 수축, 두통, 복통, 구토, 현기증, 발진 등의 증상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천식 환자들의 경우에 이산화황에 대해 상당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하지만, 과민 반응을 보인 전체 환자들 가운데 약 25%는 천식환자가 아님에도 과민 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3) 아황산염의 안전 규제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식품위생법이 제정되면서 아황산염류의 사용에 대하여 규정하였으며, 현재 허용된 아황산염류로 무수아황산(sulfur dioxide), 산성아황산나트륨(sodium bisulfite),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 차아황산나트륨(sodium hydrosulfite), 메타중아황산나트륨(sodium metabisulfite), 메타중아황산칼륨(potassium metabisulfite)의 6종을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공전에서 이산화황의 잔류량으로 규제하고 있다.
이산화황의 특징은? 이산화황(Sulfur dioxide, SO2)은 무색의 자극성 있는 불연성 가스로 기체 상태를 아황산 가스라고도 하며 황산화물(SOx)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식품의 갈변에 관여하는 폴리페놀 옥시다제의 작용을 강하게 저지하고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므로 갈변방지, 방부와 발효억제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한약재의 경우 박피, 세단, 분쇄 및 건조 등의 가공처리 과정에서 효소 등에 의한 갈변을 방지하거나 색택을 좋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건조 시 드는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연탄건조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아황산계 화합물에 노출되었다.
생약제제와 환제의 이산화황 검출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6%). 환제 29건의 평균 검출량은 25.36 mg/kg이었고 이중 "i2" 환제는 132.46 mg/kg으로 생약 등의 잔류이산화황 기준인 30 mg/kg을 4배 이상 초과하여 검출되어 이산화황이 주로 많이 검출되는 생약을 원료로 사용한 환제는 제제 중에서도 이산화황이 많이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한약재 206개 품목에 대한 이산화황의 허용기준을 제정하여 2005년 8월 1일부터 시행하다가,12) 2009년 6월 16일 생약 등의 잔류·오염물질 기준 및 시험방법 제정 고시를 통하여 한약과 한약재를 포함하는 생약 및 그 추출물(엑스제, 유동엑스제, 틴크제를 포함) 과 제제에 대하여 생약 등의 중금속, 잔류농약, 잔류이산화황 및 곰팡이 독소의 기준 및 시험방법을 정하였는데,13) 잔류이산화황의 경우에는 적용대상을 늘려 265개 생약으로 정하였으나 그 수가 한정되어 있고 생약의 추출물 및 제제에 대하여는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생약제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품질관리를 통하여 이에 대한 이산화황의 기준의 제정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생약제제의 제조공정별 차이에 따른 이산화황의 잔류량에 대한 실험이 추가로 이루어져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생약제제의 제법이 확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병희 : 이화학사전. 성문각, pp. 976 (1983). 

  2. FAO/WHO, "Guide to the Safe Use of Food Additives", 2nd series (1979). 

  3. Sullivian, D. M. and Smith, R. L. : Determination of sulfite in foods by ion chromatography. Food Technol. July, 45 (1985). 

  4. 食衛誌 83, 82 (1992). 

  5. Kim, H. Y., Lee, Y. J., Hong, K. H., Kwon, Y. K., Ko, H. S., Lee, Y. K. and Lee, C. W. : Studies on the contents of naturally occuring of sulfite i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 32, 544 (2000). 

  6. Kim, H. J., Kim, Y. K. and Smith, M. : Sulfite analysis by ion exclusion chromatography: Application to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ies. Food Techno. 11, 113 (1988). 

  7. Holak, W. and Patel, B. :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ic determination of sulfites in foods. J. Assoc. Off Anal. Chem. 70, 572 (1987). 

  8. Lawrence, J. F. and Chadha, R. K. : Determination of sulfite in foods by headspace liquid chromatography. J. Assoc. Off Anal. Chem. 71, 930 (1988). 

  9. Perfetti, G. A., Joe, F. L. and Diachenko, G. W. :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sulfite in grapes and selected grape products. J. Assoc. Off Anal. Chem. 72, 903 (1989). 

  10. Holak, W. and Specchio, J. : Determination of sulfites in foods by simultaneous nitrogen purging and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y. J. Assoc. Off Anal. Chem. 72, 476 (1989). 

  11. Sullivan, J. J., Hollingworth, T. A., Wekell, M. M., Newton, R. T. and Larose, J. E. : Determination of sulfite in food by flow injection analysis. J. Assoc. Off Anal. Chem. 69, 542 (1986). 

  12.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 2005-44호, 생약의 잔류이산화황검사 기준 및 시험방법. 

  13.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9-35호, 생약 등의 잔류.오염물질 기준 및 시험방법. 

  14. Seo, C.-S., Huang, D.-S., Lee, J.-K., Ha, H.-K., Chun, J.-M., Um, Y.-R., Jang, S. and Shin, H.-K. :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residual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of before/after a detection - in prescription of digestive system. Kor. J. Herbology 24, 11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