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약공용 농·임산물의 유해중금속 분석 및 위해도 평가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Medicines used for Food and Drug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4, 2020년, pp.354 - 364  

조인순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수진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박애숙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진아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장정임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성득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유인실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신용승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약령시장과 서울경동시장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약공용 농·임산물 29품목 171건에 대하여 ICP-MS와 수은 분석기를 이용하여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함량을 분석하고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검출 범위는 각각 ND-4.719 mg/kg, ND-1.019 mg/kg, 0.002-8.696 mg/kg, ND-0.058 mg/kg로 나타났다. 171건의 검체 중 Artemisiae Capillaris Herba(인진호) 1건과 Actinidiae Ramulus et Fulium et Fructus Vermicultus(목천료) 1건에서 각각 카드뮴과 비소 항목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나머지는 모두 허용기준 이내였다. 위해도를 평가 했을 때 비발암위해도지수(HI)가 1을 초과한 품목은 없었고, 발암위해도가 납은 모든 품목에서 10-6 이하였으며 비소는 10-4-10-6 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PTWI는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모두 100이하로 나타났다. 유통중인 식약공용 농·임산물의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함량을 분석하고 비발암위해도지수(HI), 발암위해도, %PTWI를 평가한 결과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is paper we analyzed heavy metals including lead, cadmium, arsenic and mercury, and conducted risk assessment on 171 types of herbal medicines used as foods and drugs distributed in Seoul's Yangnyeongsi and Kyungdong (Gyeongdong) herbal medicine markets. The concentrations of the heavy meta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약령시장과 서울경동시장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약공용 농·임산물 29개 품목 171건을 대상으로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등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위해도를 평가하였으며 보건상의 위해 발생을 예방하고 국민보건 향상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비소의 발암잠재력(SF)은 미국 환경보호청(U.S. EPA)의 값(Table 4)을 적용하였고 본 연구에서 측정한 비소의 함량은 총 함량으로 시료로 인해 섭취하는 비소가 모두 무기비소라는 가정 하에 발암위해도를 산출하였고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비소에 대한 발암위해도가 10-4 수준 이상 나타난 품목은 Actinidiae Ramulus et Fulium et Fructus Vermicultus(목천료)와 Achyranthes Root(우슬)로 각각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약공용 농·임산물이란 무엇을 지칭하는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용작물은 규격품 한약재로 사용될 경우 약사법에 의한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 규격집에 따라 품질관리 되고 있으며, 식약공용 농·임산물은 식품위생법에 의한 식품공전에 따라 품질관리 되고 있다7). 식약공용 농·임산물이란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재되어 있는 601개 품목 중 식품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185개 품목의 한약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식품공전 중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설정된 115종(식품공전 별표 1 및 2)에 대한 납, 비소 등 개별 중금속 허용기준은 대한민국약전 또는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 규격집에 따르도록 명시하였다8-9).
식약공용 농·임산물이 자유롭게 구입하여 사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제시한 연구결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식약공용 농·임산물은 일반 소비자들이 생산자로부터 직접 구입하거나 시장, 대형마트, 홈쇼핑, 온라인 마켓, 식품판매업소 등에서 자유롭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Kweon9)은 한약 처방명 및 유사명칭을 사용하는 식약공용 농·임산물을 이용하여 제조, 가공된 식품의 범람으로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음을 지적하였고 또한 Song11)은 식약공용 품목이 식품용도로 쓰일 때와 한약재로 쓰일 때 관리 체계가 상이하여 유해물질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식약공용 농·임산물과 의약품용 한약재의 검사체계와 규격체계를 일치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약용작물이 규격품 한약재로 사용될 경우 무엇에 따라 품질관리되고 있는가? 과거에는 약용작물이 질병 치료 목적으로 이용되었다고 한다면 최근에는 건강 예방 및 체력 회복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5-6).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용작물은 규격품 한약재로 사용될 경우 약사법에 의한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 규격집에 따라 품질관리 되고 있으며, 식약공용 농·임산물은 식품위생법에 의한 식품공전에 따라 품질관리 되고 있다7). 식약공용 농·임산물이란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재되어 있는 601개 품목 중 식품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185개 품목의 한약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식품공전 중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설정된 115종(식품공전 별표 1 및 2)에 대한 납, 비소 등 개별 중금속 허용기준은 대한민국약전 또는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 규격집에 따르도록 명시하였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ohn, E.S., Kim, S.W., Kang, J.S., Lee, S.P., Domestic R&D trend analysis of functional food using medical plants. Appl. Chem., 8(2), 470-73 (2004). 

  2. Lee, J.M., Lee, S.H., Kim, H.M., Use of oriental herbs as medical food. Food Ind. and Nutr., 5(1), 50-56 (2000). 

  3. Kwon, Y.H., A Study on Efficient distribution structure study of medicinal plants. MD thesis, Hoseo University, Asan, Korea (2014). 

  4. Li, S.M., Fang, Y., Nimg, H.M., Wu, Y.X., Heavy metals in Chinese therapeutic foods and herbs. J. Chem. Soc. Paksitan, 34(5), 1091-1095 (2012). 

  5. Kim, J.Y.,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of functional bioactive material from the medicinal plant. Food Ind. and Nutr., 18(2), 1-6 (2013). 

  6. Kim, H.S., Kim, K.R., Hong, C.O., Go, W.R., Jeong, S.H., Yoo, J.H., Cho, N.J., Hong, J.H., Kim, W.I., Monitoring of Cd, Hg, Pb, and As and risk assessment for commercial medicinal plants. Korean J. Environ. Agric., 34(4), 282-287 (2015). 

  7. Seo, M.Y., Kim, M.G., Kim, J.K., Jang, M.K., Lee, Y.N., Ku, E.J., Park, K.H., Yoon, M.H., Investigation of unintentionally hazardous substance in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ne. J. Food Hyg. Saf., 33(6), 453-459 (2018). 

  8. Kim, S.D., Kim, A.K., Lee, H.K., Lee, S.R., Lee, H.J., Ryu, H.J., Lee, J.M., Yu, I.S., Jung, K., A Monitoring of aflatoxins in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J. Food Hyg. Saf., 32(4), 267-274 (2017). 

  9. Kweon, K.T., A Reasearch on management system of herbal medicine in common use for food and medicine. Kor. J. Herbology., 27(2), 25-29 (2012). 

  10. Choung, Y.K., Systematic review about side effects of herbal medicines used as both food medicine : Focus on polyonum multiflorum and artemisia capillaris. Ph.D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014). 

  11. Song, V.K., Control system of herbal medicine in shared use for food and medicine purpose. The report of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6). 

  12. Lee, S.D., Lee, Y.K., Kim, M.S., Park, S.K., Kim, Y.S., Chae, Y.Z.,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J. Food Hyg. Saf., 27(4), 375-387 (2012). 

  13. Jung, S.J., Kang, S.T., Han, C.H., Kim, S. J., Ko, S.k., Kim, Y.H., Survey of heavy metal contents and intake rates after decoction in herbal medicines classified by parts. J. Food Hyg. Saf., 25(4), 402-409 (2010). 

  14. Reilly, C., 1980. Metal contamination of food, Appiled Science Publisher Ltd. London, England, pp. 119-122. 

  15. Reilly, C., 1991. Metal contamination of food. 2nd edition, Elsevier Science Publisher Ltd. London, England, pp. 95-98.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7. Lead (Environmetal Health Criteria., WHO, pp. 44-54. 

  17. Yim, O.K., Han, E.J., Chung, J.Y., Park, K.S., Kang, I.H., Kang, S.J., Kim, Y.J., The monitoring of some heavy metals in oriental herbal medicines and their intake rates. Anal. Sci. & Technol., 22(2), 128-135 (2009). 

  18. The Korean Pharmacopoeia, Eleventh edition (KP XI)., 2014. General tests, processes and apparatus. Test for Herbal Drugs, pp. 2153-2154. 

  19.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tion, 2007. Guidance for risk assessment. Cheongju, Korea. 

  20.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9, June 27).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http://www.epa.gov/risk/health-risk.htm 

  21.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tion, (2019, July 9).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tion, http://www.nifds.go.kr/brd/m_15/view.do?seq12441&srchFr&srchTo&srchWord%ED%95%9C%EC%95%BD%26%2340%EC%83%9D%EC%95%BD%26%2341%EC%9D%98&srchTp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 

  22. KOSIS, (2019, July 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3. Lee, J.H., Kim, W.I., Jeong, E.J., Yoo, J.H., Kim, J.Y., Paik, M.K., Park, B.J., Im, G.J., Hong, M.K., Asenic contamination of polished rice produced in abandoned mine areas and its potential human risk assessment using probabilistic techniques. Kor. J. Environ. Agric., 30(1), 43-51 (2011). 

  24. WHO/JECFA, (2019, August 16). Evaluations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http://apps.who.int/food-additives-contaminants-jecfa-database/search.aspx. 

  25. Juberg, D.R., Kleiman, C.F., Kwon, S.C., Position paper of the american council on science and health : lead and human health. Ecotoxicol. Environ. Saf., 38(3), 162-180 (1997). 

  26. Prozialeck, W.C., Edwards, J.R., Nebert, D.W., Wood, J.M., Barchowsky, A., Atchison, W.D., The vascular system as a target of metal toxicity. Toxicol. Sci., 102(2), 207-218 (2008). 

  27. Wu, W.T., Tsai, P.J., Yang, Y.H., Yang, C.Y., Cheng, K.F., Wu, T.N., Health impacts associa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petrol-lead phase-out program (PLPOP): Evidence from Taiwan between 1981 and 2007. Sci. Total Environ., 409(5), 863-867 (2011). 

  28. Godt, J., Scheidig, F., Grosse-Siestup, C., Esche, V., Brandenberg, P., Reich, A., Groneberg, D.A., The Toxicity of cadmium and resulting hazards for human health. J. Occup. med. and toxicol., 1, 22 (2006). 

  29.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2020, January 14). Toxicological profile for cadmium (2012), https://www.atsdr.cdc.gov/toxprofiles/tp.asp?id48&tid15. 

  30.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U.S.EPA), (2019, August 6).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Arsenic, inorganic. (CASRN 7440-38-2), http://www.epa.gov/iris/subst/0278.htm. 

  31. Bjornberg, K.A., Vahter, M. Berglund, B. Niklasson, B. Blennow, M., Sandborgh-Englund, G. Transport of methylmercury to the fetus and breast-fed infant, Environ. Health Perspect., 113(10), 1381-1385 (2005). 

  32. Lee, M.K., Park, J.S., Lim, H.C., Na, H.S., Determin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medicinal herb. Korean J. Food Preserv,, 15(2), 253-260 (2008). 

  33. Cha, Y.Y., Heo, S.K., Kim, D.G., Baik, T.H., Seo, H.S., Park, H.S.,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and residual pesticies in oriental medical material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1(1), 226-230 (2007). 

  34. WHO/JECFA, (2019, August 16). Evaluations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JECFA), http://apps.who.int/food-additives-contaminants-jecfa-database/search.aspx. 

  35.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Soil pollution risk assessment guidelines. Appendix paragraph 6. Sejong, Korea. 

  36. OEHHA, (2019, August 17). California EPA Chemical DB. Lead and Lead compound, https://oehha.ca.gov/chemicals/lead-and-lead-compounds. 

  37. Rosemary, C.R., Tracey, J., Woodruff, T.J., Assessment of potential risk levels assossiated with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ference values. Environ. Health Perspect, 111(10), 1318-1325 (2003). 

  38. Na, E.S., Lee, Y.J., Ko, K.Y., Chung, D.Y., Lee, K.S., Risk, assessment for heavy metals in soil, ground water, rice grain nearby abandoned mine areas. Korean J Environ Agric., 32(4), 245-251 (2013). 

  39. JECFA, (2019, August 19). Short information documents for decision makers, https://www.who.int/ipcs/assessment/public_health/arsenic/en/. 

  40. NIFDS, (2019, July 9).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tion, http://www.nifds.go.kr/brd/m_21/view.do?seq2896&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