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고구마를 이용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akgeolli Manufacture Using Several Sweet Potato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1, 2013년, pp.29 - 34  

천지은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및 식품생명공학과) ,  백무열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및 식품생명공학과) ,  최성원 (오산대학교 호텔조리계열) ,  김창남 (혜전대학교 호텔제과제빵과) ,  김병용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및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고구마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고구마 막걸리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고구마 막걸리 제조 방법 선정과 믹스쳐 디자인을 이용한 고구마 막걸리의 최적 배합비를 산출하였다. 엿기름 첨가 유무에 따른 혼합당화, 분리당화발효법을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한 결과, 동시당화발효를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최적의 고구마 막걸리 배합비를 구하기 위하여 쌀, 고구마, 물 세 가지 재료 요인으로 mixture design을 이용하여 다양한 배합비를 결정한 후,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고구마 막걸리의 선호도,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통계적 모델링과 분석을 하였고, trace plotcontour plot을 이용하여 각 재료의 함량이 반응값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의해 예측된 고구마 막걸리의 최적 배합비는 15.11(쌀) : 44.89(고구마) : 40(물)이었으며, 이 배합비에 따른 반응값의 예상치는 선호도 6.17, 총 폴리페놀 함량이 414.95 mg GAE/${\ell}$,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8.02%로 예측되었다. 최적배합비를 바탕으로 일반고구마, 호박고구마, 자색고구마를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한 결과, 호박고구마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이 5.8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자색고구마 막걸리>호박고구마 막걸리>일반고구마 막걸리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anufacture three kinds of domestic sweet potato Makgeolli using a mixture design and an optimization technique. The effects of four different manufacture methods, such as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SSF) with or without malt and separate hyd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동시당화발효법, 분리당화발효법, 엿기름의 첨가 유무에 따른 고구마 막걸리의 최적 제조법을 선정하고, 고구마 막걸리의 선호도,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mixture design을 통해 최적 배합비를 구하고자 하였고, 여러 고구마들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구마 막걸리의 취약점과 개선 방향을 모색하여 고품질의 고구마 막걸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구마는 식용으로서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가? 또한, 고구마에는 다양한 페놀성 물질로 인한 항 산화, 항미생물, 항암성, 항돌연변이 등의 생리활성과 독특한 풍미와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다(Lee 등 2012; Woo 등 2012). 고구마는 식용, 전분과 주정 생산 원료로 이용하고 있으나, 식용으로서는 대부분 찌거나 군고구마, 튀김 등으로만 소비되고 있으며, 가공식품 원료로의 소비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밤고구마, 호박고구마, 자색 고구마를 최적화된 고구마 막걸리 배합비를 이용하여 고구마 막걸리를 제조하고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당도는 어떤 순서로 높았는가? 53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당도는 자색고구마 막걸리, 일반고구마 막걸리, 호박고구마 막걸리의 순서로 높았다. Kim 등(2010)은 자색고구마, 호박고구마, 일반고구마의 분말을 제조하여 분석한 결과, 호박고구마의 starch 함량이 46.
막걸리는 어떤 술인가? 막걸리는 일반적으로 자연상태의 곰팡이, 효모 및 세균을 이용하여 제조한 누룩을 발효에 필요한 효소 및 미생물 원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전분질의 원료를 병행복 발효 양식으로 알코올 발효시킨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2∼8%의 알코올 함량을 갖는 우리나라의 전통주이다(Kim 등 2008). 알코올 발효가 진행하는 동안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물질들이 막걸리 내로 함유되어 원료에 따라 다양한 풍미를 갖는 막걸리 제조가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orzo O, Gomez ER. 2004. Optimization of osmotic dehydration of cantaloupe using desired function methodology. J Food Eng 64:213-219 

  2. Jang JS, Chung HJ.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mond dasik with added purple sweet potato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4:756-761 

  3.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444-449 

  4. Kim HR, Jo SJ, Lee SJ, Ahn BH.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551-557 

  5. Kim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a with mulberry fruit. Korean J Culinary Research 18:206-215 

  6. Kim KE, Kim SS, Lee YS.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ur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476-1480 

  7. Kim SY, Kim EK, Yoon SJ, Jo NJ, Jung SK, Kwon SH, Chang YH, Jeong YH. 2011.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ucumbe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23-228 

  8. Lee JS, Seong YB, Jeong BY, Yoon SJ, Lee IS, Jeong Y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black garlic powder add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222-1228 

  9. Lee YM, Bae JH, Kim JB, Kim SY, Chung MN, Park MY, Ko JS, Song J, Kim JH. 2012.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ur sweet potato varieties by cooking condition. Korean J Nutr 45:12-19 

  10. Oh HE,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fresh sweet potato. Korean J Food Cookery Sci 24:501-510 

  11. Oh ST, Park JE. 2012.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steamed cake with mugwort pow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67-76 

  12. Son HS, Park BD, Ko BK, Lee C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oduced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wa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453-457 

  13. Song J, Chung MN, Kim JT, Chi HY, Son J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n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Korean J Crop Sci 50:141-146 

  14. Woo KS, Seo HI, Lee YH, Kim HY, Ko JY, Song SB, Lee JS, Jung KY, Nam MH, Oh IS. 2012.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weet potatoes with cultivated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519-5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