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10가지 식용식물 추출물의 가바, 글루탐산 함량,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및 라디컬 소거능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GABA, Glutamate Contents,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nd Antiradical Activity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10 Edible Plan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4, 2012년, pp.447 - 451  

정연섭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박성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김지은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양선아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개발및산업화연구센터) ,  박정현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개발및산업화연구센터) ,  김정현 (금오공과대학교 응용화학과) ,  지광환 (금오공과대학교 응용화학과)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인선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식용 가능한 10종 식물의 인지기능 개선 관련 효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AChE 억제활성과 DPPH,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을 비교하였으며, GABA글루탐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GABA 함량은 오미자 추출물에서 14.8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천궁하수오 추출물에서도 각각 3.1 mg/g과 5.4 mg/g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AChE 저해활성은 오미자, 헛개나무, 측백엽,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1 mg/mL에서 각각 33, 26.6, 20.7%, 그리고 17.8%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10종 추출물 중 높게 나타났다. 또한, DPPH 및 ABTS에 대한 라디컬 소거능은 헛개나무, 측백엽, 가시오가피, 오미자 추출물에서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글루타민산은 석창포 외의 9가지 추출물에서 고르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10종 추출물 중 특히 오미자는 뇌의 대사를 향상시켜 뇌기능을 촉진시키는 GABA의 함량이 높은 것과 함께 AChE 억제 활성도 가장 높았으며, 라디컬 소거효과도 비교적 높게 나타나 뇌기능 개선을 위한 뛰어난 소재로 나타났다. 또한, AChE 억제 활성과 라디컬 소거능이 높게 나타난 헛개나무, 가시오가피 및 측백엽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인지기능 개선 효능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지표 중 AChE 억제 활성과 식물 추출물의 라디컬 소거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GABA 및 체내에서 GABA로 전환되는 글루탐산 함량이 직접적인 AChE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icacies for cognitive function of edible plants, we measured the inhibitory effects of acetylcholinesterase(AChE) activity,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GABA and glutamate in the plant extracts. Among the plant extracts, Schizandra chinensis cont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치매치료제 개발과정에 있어서 전 세계적으로 acetylcholinesterase(AChE)가 가장 많이 약리작용점으로 채택되고 있는 연구 추세이며(16), GABA의 경우 배아미, 녹차 및 뽕잎 등에 다소 함유되어 있으나, 약리작용을 발휘하기에는 함량이 매우 낮다(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기능 향상을 위하여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는 10가지 생약 추출물(당귀: Angelica gigas, 원지: Polygala tenuifolia, 천궁: Cnidium officinale, 하수오: Polygonum multiflorum, 백복신: Poria cocos,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측백엽: Thuja orientalis, 가시오가피: Eleutherococcus senticosus, 석창포: Acorus gramineus, 헛개나무: Hovenia dulcis)을 대상으로 하여 AChE의 저해효과와 GABA 함량 및 항산화 효과 등의 생리 활성의 상관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민간에서 사용하는 생약 추출물의 효능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노인성 치매의 경우 신경세포의 사멸에 의한 것으로, 활성산소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하여 뇌조직에서 지질과산화의 증가, 단백질과 DNA 산화의 증가 및 신경세포 사멸 등에 의하여 유발된다고 보고 있다(30,31). 따라서 본 실험에서 10가지 식물 추출물의 라디컬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는 짙은 자색을 띄는 비교적 안정한 free radical로서 항산화제, 방향족 아민류 등에 의해 환원되어 색이 탈색되는데 이것은 다양한 천연소재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검색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32).
  • 본 연구에서 검토한 10종 추출물 중 특히 오미자는 뇌의 대사를 향상시켜 뇌기능을 촉진시키는 GABA의 함량이 높은 것과 함께 AChE 억제 활성도 가장 높았으며, 라디컬 소거효과도 비교적 높게 나타나 뇌기능 개선을 위한 뛰어난 소재로 나타났다. 또한, AChE 억제 활성과 라디컬 소거능이 높게 나타난 헛개나무, 가시오가피 및 측백엽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인지기능 개선 효능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지표 중 AChE 억제 활성과 식물 추출물의 라디컬 소거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GABA 및 체내에서 GABA로 전환되는 글루탐산 함량이 직접적인 AChE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이러한 현상은 노인인구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더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2,3). 치매에는 퇴행성 변화에 의한 Alzheimer’s disease(AD)와 뇌경색 등으로 유발되는 뇌혈관성 치매 그리고 중독성 치매 등이 있다. 65세 이상의 치매환자 중 AD가 50-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발병 빈도가 2-3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현재까지 개발된 기억력 개선 약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치매 등으로 인해 저하된 인지기능 및 학습기능을 개선시키고 향상시키는 다양한 치료전략을 수립하고 효과적인 물질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개발된 기억력 개선 약물들은 acetylcholine 합성전구체, 수용체 활성제,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등이 있으나 효과가 일시적이고 미약하며 심각한 부작용 및 독성 때문에 아직 사용에 논란의 여지가 많다(7-9).
동물에서 γ-aminobutyric acid의 기능은 무엇인가? 한편 γ-aminobutyric acid(GABA)는 자연계에 분포하는 비단백질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4개의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에 매우 잘 녹는 물질이다(10,11). GABA는 L-glutamic acid로부터 glutamate decarboxylase의 촉매작용에 의해 생성되며, 주로 동물의 경우, 중추신경계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서(12) 뇌의 혈류를 활발하게 하고 산소 공급량을 증가시켜 뇌세포의 대사기능을 촉진시키며(13) 혈압강하와 알코올 대사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또한, GABA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함량이 줄어들 때에는 발작이나 경련 등이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시, 간질이나 치매 등 신경에 관계된 신경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Oh SK. Neurotransmitters and Brain Disease. Shinil Books company. Seoul, Korea. pp. 160, 345-364 (2005) 

  2. Selkoe DJ. Physiological production of the beta-amyloid protein and the mechanism of Alzheimer's disease. Trends Neurosci. 16: 403-409 (1993) 

  3. Hendrie HC. Epidomiology of Alzheimer's disease. Geriatrics 52(suppl 2): S4-S8 (1997) 

  4. Evans DA, Funkenstein HH, Albert MS, Scherr PA, Cook NR, Chown MJ, Hebert LE, Hennekens CH, Taylor JO. Prevalence of Alzheimer's diseas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Higher than previously reported. J. Am. Med. Assoc. 262: 2551-2556 (1989) 

  5. Shudo K, Kagechika H, Yamazaki N, Igarashi M, Tateda C. A synthetic retinoid Am80 (tamibarotene) rescues the memory deficit caused by scopolamine in a passive avoidance paradigm. Biol. Pharm. Bull. 27:1887-1899 ( 2004) 

  6. Tanabe F, Miyasaka N, Kubita T, Aso T. Estrogen and progesterone improve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of spatial memory. J. Med. Dent. Sci. 51: 89-98 (2004) 

  7. Amentaa F, Parnettib L, Gallaib V, Wallinc A. Treatment of cognitive dysfunction associated with Alzheimer's disease with cholinergic precursors. Ineffective treatments or inappropriate approaches?. Mech. Ageing Dev. 122: 2025-2040 (2001) 

  8. Fayuk D, Yakel JL. Regulation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channel function by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in rat hippocampal CA1 interneurions. Mol. Pharmacol. 66: 658-666 (2004) 

  9. Liu Q, Zhao B. Nicotine attenuates $\beta$ -amyloid peptide-induced neurotoxicity, free radical and calcium accumulation in hippocampal neuronal cultures. Brit. J. Pharmacol. 141: 746-754 (2004) 

  10. Oh SH, Kim SH, Moon YJ, Choi WG. Changes in the levels of $\gamma$ -aminobutyric acid and some amino acids by application of a glutamic acid solution for the germination of brown rice.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49-53 (2002) 

  11. Xinga SG, Jun YB, Hau ZW, Liang LY. Higher accumul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induced by salt stress through stimulating the activity of diamine oxidases in Glycine max (L.) Merr. Roots. Plant Physiol. Bioch. 45: 560-566 (2007) 

  12. Chung HJ, Jang SH, Cho HY, Lim ST. Effects of steeping and anaerobic treatment on GABA (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in germination waxy hull-less barely. LWT-Food Sci. Technol. 42: 1712-1716 (2009) 

  13. Narayan VS, Nair PM. Metabolism, enzymology, and possible roles of 4-aminobutyrate in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39: 367-375 (1990) 

  14. Omri MT, Tano J, Okamoto T, Tshsjida T, Higuchi MM. Effect of anaerobically treated tea (Gabaron tea) on blood pressur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Nippon Nigeikagaku Kaishi 61: 1449-1451 (1987) 

  15. Shelp BJ, Bown AW, McLean MD. Metabolism and functions of gamma-aminobutyric acid. Trends Plant Sci. 4: 446-452 (1999) 

  16. Kim JS, Kim YS, Kim SK, Heor JH, Lee BH, Choi BW, Ryu GS, Park EK, Zee OP, Ryu SY. Inhibitory effects of some herbal extracts on the Acetylcholinesterase (AChE) in vitro. Korean J. Pharmacogn. 33: 211-218 (2002) 

  17. Lim SD, Kim KS. Effects and utilization of GABA. Korean J. Dairy Sci. Technol. 27: 45-51 (2009) 

  18. Zhang D, Bown AW. The rapid determin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Phytochemistry 44: 1007-1009 (1996) 

  19. Marfey P. Determination of D-amino acids. II. Use of a bifunctional reagent, 1,5-difluoro-2,4-dinitrobenzene. Carlsberg Res. Commun. 19: 591-596 (1984) 

  20. Ellman GL, Courtney KD, Andres Vjr, Featherstone RM.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4: 88-95 (1961) 

  21. Jason F. Sandahl, Jeffrey J, Jenkins. Pacific steelhead (Oncorhynchus mykiss) exposed to chlorpyrifos: Benchmark concentration estimates for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Environ. Toxicol. Chem. 21: 2452-2458 (2002) 

  22.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8-1200 (1958) 

  23.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24. Bown AW, Shelp BS. The metabolism and func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Plant Physiol. 115: 1-5 (1997) 

  25. Difiglia M, Aronin N. Synaptic interactions between GABAergic neurons and trieminothalamic cell in the rat trigeminal Nucleus Caudalis. Synapse 6: 358-363 (1990) 

  26. Ryu BH, Jeon JH. Continous produc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by immobiliz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J. Life Sci. 14: 167-173 (2004) 

  27. Kum JS, Choi BK, Lee HY, Park J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erv. 11: 182-188 (2004) 

  28. Han JT, Ahn EM, Park JK, Cho SW, Heon SG, Jang JS, Kim CK, Choi SY, Baek NI. Isolation of anticonvulsant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i. Agric. Chem. Biotechnol. 43: 72-77 (2000) 

  29. Vincenzo NT. Acetylcholinesterase in Alzheimer's disease. Mech. Ageing Dev. 122: 1961-1969 (2001) 

  30. Montine TJ, Diana NM, Quinn JF, Beal MF, Markesbery WR, Roberts LJ, Morrow JD. Lipid peroxidation in aging brain and Alzhemier's disease. Free Radical Bio. Med. 33: 620-626 (2002) 

  31. Floyd RA, Hensley K. Oxidative stress in brain aging:Implications for therapeutic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Neurobiol. Aging 23: 795-807 (2002) 

  32.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 Korean J. Food Sci. 27: 80-86 (1995) 

  33.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vegetable produced in Ullung Island. J. Korean Food Sci. 37: 233-240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