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해수를 이용한 들깻잎 중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의 저감화 효과 분석
Evaluation of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Electrolyzed Water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on Perilla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4, 2012년, pp.467 - 471  

김세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류경열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평가관리과) ,  이명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정찬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윤요한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과) ,  심현보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주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병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유순영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김두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윤종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정덕화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본 연구는 들깻잎에 존재하는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전해수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전해수로의 유기물의 유입과 들깻잎과 전해수의 비율이 전해수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들깻잎에 S. Typhimurium과 S. aureus을 7.0 $log_{10}CFU/g$ 정도로 접종 한 후 25, 50, 75, 100 ppm에서 1, 3, 5분 동안 각각 처리하여 시간과 농도에 따른 전해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기물이 전해수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전해수에 첨가한 유기물 농도는 150, 300, 450, 600 ${\mu}g/L$ 수준이었고, 들깻잎과 전해수의 처리비율은 1:10, 1:25, 1:50이었다. 그 결과, S. Typhimurium과 S. aureus 모두 유효 염소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생물 저감효과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두 균주 모두 100 ppm 처리에서 25 ppm 처리에서 보다 전해수의 저감효과가 약 0.7 $log_{10}CFU/g$ 정도 높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처리 시간에 따른 효과는 없었다(p>0.05). 또한 전해수 중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S. Typhimurium과 S. aureus의 제어효과는 감소하였다(p<0.05). 유기물 600 ${\mu}g/L$ 첨가시 유기물 첨가를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S. Typhimurium은 1.10 $log_{10}CFU/g$, S. aureus는 0.8 $log_{10}CFU/g$의 전해수 효과가 감소하였다. 들깻잎과 전해수의 처리비율은 1:10으로 처리하였을 때 미생물 저감효과는 S. Typhimurium 0.57 $log_{10}CFU/g$, S. aureus 0.79 $log_{10}CFU/g$로 전해수에 의한 미생물저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들깻잎에서 S. Typhimurium과 S. aureus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서는 전해수 처리전에 물 세척을 통하여 흙과 먼지를 제거하고 전해수 농도 100 ppm에서 1분 이상 처리해야한다. 또한 들깻잎과 전해수 비율은 1:25 이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weakly alkalic electrolyzed water (WEW)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on perilla leaves. The influences of organic matter, inform of bovine serum, and the ratio of WEW to perilla leaves on bactericidal a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euchat 등(20)의 연구에서 양상추와 세척 수의 비율에 따른 유효염소량을 측정한 바 있으며 그 결과 세척수가 양상추의 무게의 10배보다 적을 경우 유효염소량이 급감하여 세척의 효과가 떨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들깻잎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저감화를 위해서 최적의 들깻잎과 전해수의 비율을 결정하고자 연구하였다. 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엽채류 중 국내 일일 평균 섭취량이 많은 들깻잎을 대상(21)으로 전해수의 식중독균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기물의 존재 및 전해수와 농산물의 비율이 전해수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확 후 처리시설이나 단체급식소 등에 들깻잎 세척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들깻잎에 존재하는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전해수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전해수로의 유기물의 유입과 들깻잎과 전해수의 비율이 전해수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들깻잎에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산물에 산성전해수를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신선농산물의 미생물 저감화를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는 대부분 산성전해수가 사용되는데 산성전해수를 사용할 경우 금속성 장비에 부식을 유발하고 농산물에 적용할 시 변색을 유발할 수 있어 최근의 농산물에 전해수를 적용한 연구는 산성 전해수에서 약알카리 혹은 미산성전해수로 전환되고 있다(14). 그중 약알카리전해수는 비격막식 전해수 생성장치에서 제조되는데 산성전해수와 같이 소금과 물을 첨가하여 전기분해 한 뒤 양극에서 생성된 물질을 음극으로 보내면 pH 8.
웰빙의 영향으로 신선채소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난 부작용은? 특히 웰빙(well-being)의 영향으로 샐러드바, 새싹비빔밥 등의 신선채소류의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2). 조리하지 않고 바로 섭취하는 농산물의 소비가 대폭 증가하면서 신선농산물이 원인이 된 식중독발생보고 건수가 증가하고 있어 농산물의 안전성에 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3). 미국의 경우 1996년부터 2008년까지 농산물과 관련된 식중독이 82건 발생하였으며 그 중 엽채소와 관련된 사고는 28건 이었다(4-6).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살균소독제는 무엇인가? 식중독세균은 단순 물 세척만으로는 충분히 미생물 위해인자를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비가열 조리 신선농산물의 살균소독제 처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9-12).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살균소독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NaOCl), 이산화염소(ClO2) 등이 있으며 이들 소독제는 독성 때문에 문제가 된다(12). 너무 높은 농도나 장시간 사용 시 이미, 이취에 의한 관능적 품질의 저하, 과채류의 손상 및 잔류염소에 의한 2차적 위해요소의 큰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어 반드시 여러번의 헹굼과정을 거쳐 염소농도를 식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낮추어야하는 등의 불편을 겪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ennedy E, Meyers L, Layden W. The 1995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 An Overview. J. Am. Diet. Assoc. 96: 234-237 (1996) 

  2. Kim YG, Kim TW, Ding T, Oh DH.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citric acid on quality enhancement and microbial inhibition in head lett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78-586 (2009) 

  3.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KS, Ha SD.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Korean J. Fd. Hyg. Safety 20: 43-47 (2005) 

  4.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uidance for Industry: 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of Leafy Greens; Draf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od/Guidance- ComplianceRegulatoryInformation/GuidanceDocuments/ProduceandPlanProducts/ ucm174200.html. Accessed Jan. 15, 2010.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pdate on Multi-State Outbreak of E. coli O157:H7 Infections From Fresh Spinach, October 6, 2006. Available from: http://www.cdc.gov/ecoli/2006/september/updates/100606.html. Accessed Feb. 20, 2010. 

  6. Patel J, Sharma M. Differences in attachment of Salmonella enteric serovars to cabbage and lettuce leaves. Int. J. Food Microbiol. 139: 41-47 (2010) 

  7. Kim SH, Kim JS, Choi JP, Park JH.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94-598 (2006) 

  8. Kim JS, Bang OK, Chang HC.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J. Fd. Hyg. Safety 19: 60-65 (2004) 

  9. Kim C, Hung YC, Brachett RE.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 EO) and chemically modified water on different types of food-borne pathogens. Int. J. Food Microbiol. 61: 199-207 (2000) 

  10. Zhou B, Feng H, Luo Y. Ultrasound enhanced sanitizer efficacy in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population on spinach leaves. J. Food Sci. 74: 308-313 (2009) 

  11. Oomori T, Oka T, Inuta T, Arata Y. The efficiency of disinfection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in the 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Anal. Sci. 16: 365-369 (2000) 

  12. Sekiya S, Ohmori K, Harii K, Treatment of infectious skin defects or ulcers with electrolyzed strong acid aqueous solution. Artif. Organs 21: 32-38 (1997) 

  13. Jeong JW, Kim JH, Kim BS, Jeong SW. Characteristics of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from various electrolytic diaphragm and electolyte. Korean J. Food Preserv. 10: 99-105 (2003) 

  14. Abadias M, Usall J, Oliveira M, Alegre I, Vinas I. Efficacy of neutral electrolyzed water (NEW) for reducing microbial contamination on minimally-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123: 151-158 (2008) 

  15. Ayebath B, Hung YC. Electrolyzed water and its corrosiveness on various surface materials commonly found in food processing facilities. J. Food Process Eng. 28: 247-264 (2005) 

  16. Huang YR, Hung YC, Hsu SY, Huang YW, Hwang DF. Application of electrolyzed water in the food industry. Food Control 19: 329-345 (2008) 

  17. McPherson LL. Understanding ORPs in the disinfection process. Water Eng. Manag. 140: 29-31 (1993) 

  18. Marriott NG, Gravani RB. Principles of Food Sanitation. 5th ed. Springer, New York, NY, USA. pp. 149-151 (2006) 

  19. Park EJ, Alexander E, Taylor GA, Costa R, Kang DH. The decontaminative effects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for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green onions and tomatoes with different organic demands. Food Microbiol. 26: 386-390 (2009) 

  20. Beuchat LR, Farbar JM, Garrett EH, Harris LJ, Parish ME, Suslow TV, Busta FF. Standardization of a metho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sanitizers in inactivating human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raw fruits and vegetables. J. Food Protect. 64: 1079-1084 (2001)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of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Accessed Dec. 20, 2011. 

  22. Guentzel JL, Lam KL, Callan MA, Emmons SA, Dunham VL. Reduction of bacteria on spinach, lettuce, and surfaces in food service areas using neutral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Food Microbiol. 25: 36-41 (2008) 

  23. Koseki S, Yoshida K, Kamitani Y, Itoh K. Efficacy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for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cucumbers and strawberries. J. Food Protect. 61: 1247-1251 (2004) 

  24. MEST. Food Safety Guideline for School Food Servic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p. 35 (2004) 

  25. Szabo EA, Simons L, Coventry MJ, Cole MB. Assessment of control measures to achieve a food safety objective of less than 100 CFU of Listeria monocytogenes per gram at point of consumption for fresh precut iceberg lettuce. J. Food Protect. 66: 256-264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