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Reality Shock among New Graduate Nurse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45 - 52  

이연주 (울산병원) ,  여정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reality shock among new graduate nurse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111 new graduate nurse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간호학에서 보면 현실충격에 대한 연구는 흔치 않아 시작단계이며, 현실충격과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파악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현실충격을 완화하는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실충격이란 무엇인가? 이에 신규간호사는 간호 업무 수행이 미숙하여 심적으로 중압감을 경험하고[3], 어려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을 모색해 보지만 현실에 부딪히면서 정체성의 혼란이 초래되며[4], 간호대상자와 보호자들에게 시달리고 상처받고, 선배나 동료와의 갈등을 경험하면서 자존감이 감소한다[5]. 이와 같은 신규간호사의 어려움과 갈등에 대한 반응을 Kramer [6]는 현실충격(Reality Shock)이라 명명하였고, 현실충격을 한 개인이 익숙하고 친근한 문화권에서 낯설고 이해하기 어려운 기대와 요구로 가득 찬 새로운 문화권으로 옮길 때 오는 충격과 불균형이라 정의하였다. 현실충격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은 전문직 가치와 관료적 가치와의 역할 충돌이며, 이로 인해 신규간호사는 학교에서 배운 교육과정이 임상에 유용할 거라는 기대에 실망하며, 병원의 관료적인 체계에서 요구하는 생산성, 효율성, 성과지향 등의 목표 달성에 대해 힘겨워 한다[6].
임상경험이 1년이 되지 않은 신규간호사가 경력 간호사들보다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이 상황에서 졸업 후 임상 경험이 1년이 채 되지 않은 신규간호사는 경력 간호사들보다 더 힘들고 어렵게 된다. 왜냐하면 신규간호사는 입사 후 간호사의 역할적응,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임상 실무와의 차이, 과중한 업무량, 간호 역량에 대한 자신감 부족 등[2]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신규간호사는 간호 업무 수행이 미숙하여 심적으로 중압감을 경험하고[3], 어려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을 모색해 보지만 현실에 부딪히면서 정체성의 혼란이 초래되며[4], 간호대상자와 보호자들에게 시달리고 상처받고, 선배나 동료와의 갈등을 경험하면서 자존감이 감소한다[5].
신규간호사가 겪는 어려움으로 일어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왜냐하면 신규간호사는 입사 후 간호사의 역할적응,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임상 실무와의 차이, 과중한 업무량, 간호 역량에 대한 자신감 부족 등[2]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신규간호사는 간호 업무 수행이 미숙하여 심적으로 중압감을 경험하고[3], 어려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을 모색해 보지만 현실에 부딪히면서 정체성의 혼란이 초래되며[4], 간호대상자와 보호자들에게 시달리고 상처받고, 선배나 동료와의 갈등을 경험하면서 자존감이 감소한다[5]. 이와 같은 신규간호사의 어려움과 갈등에 대한 반응을 Kramer [6]는 현실충격(Reality Shock)이라 명명하였고, 현실충격을 한 개인이 익숙하고 친근한 문화권에서 낯설고 이해하기 어려운 기대와 요구로 가득 찬 새로운 문화권으로 옮길 때 오는 충격과 불균형이라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hin YW, Lee HJ, Lim YJ.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37-47. 

  2. Yun SH. A study on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8(1):55-72. 

  3. Suh YO, Lee KW. Lived experiences of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stration. 2013;19(2):227-238.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2.227 

  4. Chu MS. A phenomenological study: the lived experi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Nursing Science. 2000;12(2):17-25. 

  5. Dyess SM, Sherman RO. The first year of practice: new graduate nurses' transition and learning need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09;40(9):403-410. http://dx.doi.org/10.3928/00220124-20090824-03 

  6. Kramer M. Reality shock: why nurses leave nursing. Saint Louis: Mosby; 1974. 

  7. Lee SM.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factor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5;25(4):790-806. 

  8. Yun SH, Kim BS. New graduate nurses' stress, stress coping, adaptation to work, and job satisfaction: change comparison by person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3):491-500. 

  9. Park KO, Kim JK. A study on experience of transition from new clinical nurse to competent step.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4):594-605.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594 

  10. Kramer M, Brewer BB, Maguire P. Impact of healthy work environments on new graduate nurses' environmental reality shock.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3;35(3):348-383. http://dx.doi.org/10.1177/0193945911403939 

  11. Sin KM, Kwon JO, Kim EY.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292-30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92 

  12. Jo EA, Kang JY.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5;22(2):78-86. http://dx.doi.org/10.5953/JMJH.2015.22.2.78 

  13.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2):349-361. http://dx.doi.org/10.1037/0022-3514.70.2.349 

  14. Tusaie K, Dyer J.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2004;18(3):3-10. 

  15. Eo YS. Path analysis of empowerment,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5;17(3B):1683-1697. 

  16. Wangensteen S, Johansson I, Nordstrom G. The first year as a graduate nurse: an experience of growth and developmen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1877-1885.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229 

  17. Connor KM, Davidson JRT.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2003;18(2):76-82. http://dx.doi.org/10.1002/da.10113 

  18. Beak HS, Lee KU, Joo EJ, Choi K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 Journal of Korean Psychiatry Investigation. 2010;7:109-115. https://doi.org/10.4306/pi.2010.7.2.109 

  19.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1-127. 

  20. Kim KH.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burnout of insurance review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8. 1-62. 

  21. Park JH, Chung SK.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0):236-244.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0.236 

  22. Park YJ, Lee EJ. A study on ego-resilience, disaster 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1):67-79. 

  23. Kang JS, Lim JY.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2015;15(11):263-273. 

  24. Lee YJ, Lee MH.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22(2):77-87. 

  25. Oh YS, Yu HK, Kim, HK. The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using sociodrama to promote ego-resilience of upper graders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010;21(1):157-176. 

  26. Lee SY, Oh EJ, Sung KM. The experiences of turnover intention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3;19(2):168-176. http://dx.doi.org/10.14370/jewnr.2013.19.2.168 

  27. Shin MK, Kang HJ.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158-167.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158 

  28. Min EH. Work stress and coping type of nurse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and department. [master's thesis]. K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9. 1-66. 

  29. Kim CY, Son MS. The judicial precedent analysis about medical malpractice of medicine field.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Law. 2000;7(1):21-48. 

  30. Beak EK, Choi EJ. Terminal car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nurses in internal medical wards. Korean Journal of Hospice Palliative Care. 2015;18(4):267-275. https://doi.org/10.14475/kjhpc.2015.18.4.2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