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택적 복강경하 자궁근종절제술 환자의 예방적 항생제 투여기간이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uration of Prophylactic Antibiotics Therapy on Uncertainty of Recovery in Elective Laparoscopic Uterine Myomectomy Pati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5 no.4, 2018년, pp.240 - 249  

정미영 (좋은문화병원) ,  박경연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explore whether the duration of perioperative prophylactic antibiotics therapy influenced uncertainty of recovery in patients with elective laparoscopic uterine myomectomy.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electrical med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예방적 항생제 투여기간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치료처방을 받는 일개 병원의 포괄수가제 적용을 받는 자궁 근종절제술 환자를 대상으로, 예방적 항생제 투여기간이 수술 후 환자들이 지각하는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은 어떠한 군이 가장 높았나? 본 연구는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1회만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한 단회투여군, 수술 전을 포함한 24시간 내 3회 투여한 단기투여군, 그 이상의 투여를 한 장기투여군으로 구분하여 예방적 항생제 투여기간이 환자의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연구결과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은 예방적 항생제 장기투여군이 가장 높았으며 단기투여군, 단회투여군이 그 뒤를 이어, 더 오랜 기간 투약치료를 받는 집단에서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 높았으며,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 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의료진 고유의 업무로 알려져 있는 투약에서도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근거한 수술 전 투약정보 제공 등의 실무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자궁근종수술의 2016년 다빈도 수술 질환별 순위는 어떠한가? 자궁근종은 20대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꾸준한 증가를 보이는 질환이다[1]. 또한 자궁근종수술은 2016년 다빈도 수술 질환별 순위에서 제왕절개술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2]. 하지만 높은 유병율과 수술에 비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암, 심혈관 질환 등 중증도가 높은 만성질환들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들의 간호요구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항생제 투여 시점은 어떨 때 수술 부위 감염 발생의 위험도가 낮은가? 예방적 항생제 사용빈도 및 기간과 관련된 연구로, 예방적 항생제의 단기 투여는 장기투여 및 병합 투여와 비교할 때 감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11] 예방적 항생제 투여기간이 길다고 해서 수술 부위감염률이 감소되지는 않았다[13]. 한편 항생제 투여 시점과 관련하여, 수술 부위 절개 전 1시간 이내에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수술 부위 절개 전 1시간 이전부터 사용하는 것보다 수술 부위 감염 발생의 위험도가 낮아[13] 고전적으로 투여하던 수술 후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량이나 기간보다 더 짧은 기간 동안의 투여나 시점에서도 수술 후 감염이 발생하지 않음을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2015 January 26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Press releases [internet] 2015 

  2. Annual statistical yearbook of major surgeries in 2016. [internet] 2016 

  3. Kim 161 2016 

  4. Kim, Baek-Nam. Overview of Antibiotic Use in Korea. Infection & chemotherapy, vol.44, no.4, 250-.

  5. Hsu, Chentong, Cheng, Shou-Hsia. Practice guideline adherence and health care outcomes – use of prophylactic antibiotics during surgery in Taiwan.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vol.15, no.6, 1091-1096.

  6. Bratzler, Dale W., Dellinger, E. Patchen, Olsen, Keith M., Perl, Trish M., Auwaerter, Paul G., Bolon, Maureen K., Fish, Douglas N., Napolitano, Lena M., Sawyer, Robert G., Slain, Douglas, Steinberg, James P., Weinstein, Robert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antimicrobial prophylaxis in surgery.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 AJHP, vol.70, no.3, 195-283.

  7. Efficacy of 24 hour-administration of antibiotic prophylaxis after elective colorectal surgery Jo 129 2008 

  8. Prophylaxis in elective colorectal surgery: the cost of ignoring the evidence Wasey 279 2003 

  9. Relationship between beta-lactam antimicrobial us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lebsiella pneumoniae clinical Isolates at 5 tertiary hospitals in Korea Jung 189 2007 

  10. Prophylactic antibiotics for electiv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Smith 576 2018 

  11. Prophylactic antibiotics in elective cesarean section Min 1511 2002 

  12. 정미영, 박경연. 자궁적출술 후 예방적 항생제 사용 여부별 수술 후 합병증, 재원기간 및 치료비 비교.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23, no.1, 42-51.

  13. 사공필용, 이진석, 이은정, 고광필, 김철환, 김윤, 김용익. 예방적 항생제 사용 양상과 수술부위감염률의 관련성.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ol.42, no.1, 12-20.

  14. MISHEL, MERLE H..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in Illness :. Nursing research, vol.30, no.5, 258???263-.

  15. 차경숙, 김경희. 암환자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이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sian Oncology Nursing, vol.12, no.2, 139-146.

  16. Gustafson, Annika. Reducing Patient Uncertainty: Implementation of a Shared Decision-Making Process Enhances Treatment Quality and Provider Communication.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vol.21, no.1, 113-115.

  17. Kang YH. Correlation of uncertainty, coping,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following gastrectomy Lee 223 2015 

  18. MISHEL, MERLE H., SORENSON, DIANNA S.. Uncertainty in Gynecological Cancer : A Test of the Mediating Functions of Mastery and Coping. Nursing research, vol.40, no.3, 167-171.

  19. Kim 1 2018 

  20. Diagnosisrelated group [internet] 2016 

  21. Nam, Eun Young, Kim, Hong Bin, Bae, Hyunok, Moon, Soyoung, Na, Sun Hee, Kim, Se Yong, Yoon, Doran, Lee, Ha Youn, Kim, Joohae, Kim, Chung-Jong, Song, Kyoung-Ho, Kim, Eu Suk, Kim, Nam Joong. Appropriateness of Surgical Antibiotic Prophylaxis in a Tertiary Hospital. 병원감염관리 =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vol.19, no.2, 64-.

  22. So 39 1995 

  23. 조윤희, 전나미. 수술 전 구조화된 정보제공이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여성의 수술대기 중 불안과 불확실성에 미치는 효과.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21, no.4, 321-331.

  24. 장형숙, 이창숙, 양영희. 혈액투석 환자의 불확실성과 불확실성 평가가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ol.45, no.2, 271-279.

  25. Koo 30 2012 

  26. 이윤정, 함은미, 김금순. 일개지역 암환자의 불확실성과 대처 및 우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1, no.2, 244-256.

  27. The influence of disease activity and uncertainty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Lim 61 2017 

  28. Uncertainty in post operation female brain tumor patients Hur 37 2017 

  29. Factors influencing of uncertainty on patients with arthroscopic surgery Jung 311 2018 

  30. Third period of acute care hospital accreditation [internet]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