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논문에서는 2011년부터 사용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에 대한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가지 분석요소인 본문, 자료, 활동, 평가를 사용하여 6권의 교과서에 Romey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탐구적 경향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들이 학생의 참여가 부족한 형태로 구성되어 탐구적 경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서들에서 탐구적 경향이 가장 높게 나타난 분석요소는 활동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 결과를 근거로 '정보' 교과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inquisitive tendency was analyzed within the 'problem solving method and process' section in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which were adopted starting from 2011. Romey analysis was applied to each four section - text, data, activity, evaluation - in six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xtbooks displayed a low level of inquisitive tendency since they were written without much of participation from students. Out of the sections that were analyzed, the section 'activity'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inquisitive tendency. Also,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we proposed ways to improve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영역에서 다루는 내용은 무엇인가요? |
문제 해결 전략, 구조적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과서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에서 다루는 내용은 문제 해결 전략, 구조적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영역의 목표는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구조화하고 해결 전략을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Romey[4]의 분석법 | Romey[4]의 분석법은 무엇을 판단하나요? |
교과서의 탐구성을 측정하여 이를 근거로 교과서가 권위적인지 탐구적인지를 판단한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 교과에서 문제 해결 능력 함양을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로 설정하였다. 교과서 분석방법 중에서 Romey[4]의 분석법은 교과서의 탐구성을 측정하여 이를 근거로 교과서가 권위적인지 탐구적인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정보 교과서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은 다양한 분석방법 중에서 Romey 분석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구조화하고 해결 전략을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적 프로그래밍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교과서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에서 다루는 내용은 문제 해결 전략, 구조적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영역의 목표는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구조화하고 해결 전략을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적 프로그래밍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2]. 따라서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키고 학습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탐구적 경향과 능동적 학습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과서가 구성되어야 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