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음처리에 따른 고려엉겅퀴와 누룩치의 생리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Cirsium setidens and Pleurospermum camtschaticum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21 no.2, 2012년, pp.153 - 161  

이경철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자원조성학과) ,  노희선 (강원도 농업기술원 특화작물시험장) ,  김종환 (강원도 농업기술원 특화작물시험장) ,  한상섭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자원조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음처리에 의한 고려엉겅퀴와 누룩치의 광합성 및 생장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차광막을 이용하여 전광처리구(0%), 약피음처리구(45~55%), 중간피음처리구(65~75%), 강피음처리구(88~92%) 설치하고 엽록소함량, 엽록소 형광반응, 광합성 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고려엉겅퀴와 누룩치 모두 피음처리 수준에 따라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반응, 순양자효율 등이 증가하여 빛의 흡수와 광합성 반응에 대한 효율을 높이는 내음성 적응 반응을 나타냈으며, 엽면적 SLA 역시 증가하여 부족한 광환경에서 수광량을 늘리기 위해 엽면적은 늘어나고, 엽두께는 얇아지는 형태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전광처리구에서 총 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반응, 순양자효율, 기공전도도 및 기공증산속도가 비교적 낮았으며, 이는 강한 광으로 광저해 현상이 일어나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려엉겅퀴의 강피음 처리구는 엽록소 함량도 높으며, 엽면적이 늘어나고 엽두께는 얇아져 광을 수집하기 위한 형태적인 변화도 나타나고 있으나 광선요구도보다 적은 광 환경에서 계속 생장함으로서 엽육내 $CO_2$를 효율적으로 소비하지 못하고, 수분이용효율 역시 감소되어 광합성 능력을 점점 상실해 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려엉겅퀴는 약광처리구(전광의 45~55%)에서최대광합성속도와 순양자효율이 가장 높고, 기공개폐 반응과 광화학반응 효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누룩치는 처리구간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중간피음처리구에서 최대광합성속도, 순양자수율, 기공개폐반응 및광화학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절한 피음처리를 통해 건전한 생육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고려엉겅퀴의 경우 전광을 약 45~55% 차단하고, 누룩치는 약 65~75% 차단시킨 광환경이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lorophyll contents,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Cirsium setidens and Pleurospermum camtschaticum by shading treatment. Two species were grown under non-treated (full sunlight) and three different shading condition (88~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누룩치는 생육기에 매우 낮은 광조건에서 생장하고, 이식재배시 성묘율이 낮아 재배면적 확대가 어려운 산채로 알려져 있으며(Hong, 1997), 고려엉겅퀴는 30% 차광시 생장에 유리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Suh 등, 1996). 그러나 누룩치와 고려엉겅퀴의 환경인자에 따른 생리반응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결과는 미흡한 실정으로 이 연구는 누룩치와 고려엉겅퀴의 피음처리에 따른 광합성 특성과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룩치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산채의 일종인 누룩치(Pleurospermum camtschaticum)와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는 흔히 누리대와 곤드레로 알려져 있으며, 누룩치는 α-amylase의 활성 증가, 단백질 분해능 촉진, 항산화작용 및 항돌연변이원 효과가 확인되어 소화촉진 및 항암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고(Chung와 Lee, 1998; Cho 등, 2004), 고려엉겅퀴는 강원도 고산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이화학적 성상과 항산화 활성, 간보호활성 등의 연구가 보고된바 있어(Jung 등, 2008; Lee, 2006) 생리활성 효과가 뛰어난 유망 산채들이다.
피음처리에 의한 고려엉겅퀴와 누룩치의 건전한 생율을 유도하기 위해 효과적인 광환경은? 또한 고려엉겅퀴는 약광처리구(전광의 45~55%)에서 최대광합성속도와 순양자효율이 가장 높고, 기공개폐 반응과 광화학반응 효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누룩치는 처리구간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중간피음처리구에서 최대광합성속도, 순양자수율, 기공개폐반응 및 광화학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절한 피음처리를 통해 건전한 생육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고려엉겅퀴의 경우 전광을 약 45~55% 차단하고, 누룩치는 약 65~75% 차단시킨 광환경이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고려엉겅퀴의 생장에 유리한 차광 비율은? 산림내에서 자생하는 누룩치, 고려엉겅퀴는 임지내 환경에 따라 분포하는 곳이 다르며, 이에 따라 경작지나 임내에서 직접 재배 할 경우 적합한 광과 수분조건을 제공하는 것이 생장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Han 등, 2010). 누룩치는 생육기에 매우 낮은 광조건에서 생장하고, 이식재배시 성묘율이 낮아 재배면적확대가 어려운 산채로 알려져 있으며(Hong, 1997), 고려엉겅퀴는 30% 차광시 생장에 유리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Suh 등, 1996). 그러나 누룩치와 고려엉겅퀴의 환경인자에 따른 생리반응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결과는 미흡한 실정으로 이 연구는 누룩치와 고려엉겅퀴의 피음처리에 따른 광합성 특성과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drew, J.J. and J.D. William. 1998. The coupled response of stomatal conductance to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J. Exp. Bot. 49:399-406. 

  2. Arnon, D.I. 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a vulgaris. J. Plant Physiol. 24:1-15. 

  3. Caemmerer, S. and G.D. Farquhar. 1981.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biochemistry of photosynthesis and the gas exchange of leaves. Planta. 153:376-387. 

  4. Cho, M.S., K.W. Kwon, G.N. Kim, and S.Y. Woo. 2008. Chlorophyll contents and growth performances of the five deciduous hardwood species growing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s. Kor. J. Agr. For. Meteorol. 10:149-157 (in Korean). 

  5. Cho, S.D., D.H. Choi, and K.H. Kim. 2004.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leurospermum kamtschaticum as a functional food resource. J. Kor. Soc. Food Sci. Nut. 33:1212-1217 (in Korean). 

  6. Choi, Y.B. and J.H. Kim. 1995. Change in needle chlorophyll fluorescence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treated with artificial acid rain. J. Kor. For. Soc. 84:97-102 (in Korean). 

  7. Chung, M.S. and M.S. Lee. 1998.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 of Pleurospermum kamtschaticum. Kor. J. Food Cook. Sci. 14:541-547 (in Korean). 

  8. Demmig, B. and O. Bjorkman. 1987. Comparison of the effect of excessive light on chlorophyll fluorescence (77 K) and photon yield of $O_2$ evolution in leaves of higher plants. Planta. 171:171-184. 

  9. Evans, J.R. 1987. The dependence of quantum yield on wavelength and growth irradiance. Aust. J. Plant Physiol. 14:69-79. 

  10. Han, S.S., K.C. Lee, and S.R. Jeon. 2010. Studies on the agroforestry methods of wild edible greens(IV)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hree Ligularia species leaves obtained from P-V curves. J. Kor. For. Soc. 99:131-135 (in Korean). 

  11. Hansen, U., B. Fiedler, and B. Rank. 2002. Variation of pigment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systems along the canopy light gradient in a mixed beech/oak forest: a comparative study on deciduous tree species differing in shade tolerance. Trees. 16:354-364. 

  12. Hernandez, J.A., E. Olmos, F.J. Corpas, F. Sevilla, and L.A. del Rio. 1995. Salt-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loroplasts of pea plant. Plant Sci. 105:151-167. 

  13. Hiscox, J.D. and G.F. Israelstam, 1979. A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chlorophyll from leaf tissue without maceration. Can. J. Bot. 57:1332-1334. 

  14. Hong, D.K. 1997. Studies on the cultivation of Pleurospermum kamtschaticum Hoff. to high land area. M. Sc. thesis. Univ. Kangwon. Chun-Cheon. Korea. p. 51 (in Korean). 

  15. Je, S.M., S.G. Son, S.Y. Woo, K.O. Byun, and C.S. Kim. 2006.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Chloranthus glaber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Kor. J. Agr. For. Meteorol. 8:54-60 (in Korean). 

  16. Jeong, H.H. and K.S. Kim. 1999. Effects of shading on the growth of Hedera rhombea bean and Pachysandra terminalis Sieb. et Zucc. Kor. J. Hort. Sci. Technol. 17:29-32 (in Korean). 

  17. Jung, M.J., S.I. Heo, and M.H. Wang. 2008. Rat lens aldose reductase inhibitory of Taraxacum mongolicum and two Crisium species. J. Kor. Soc. App. Bio. Chem. 51:302-306 (in Korean). 

  18. Kim, G.N., M.S. Cho, and S.W. Lee. 2010.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hree deciduous hardwood seedlings growing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 regimes. J. Bio-Env. Con. 19:36-48 (in Korean). 

  19. Kim, K.D., E.H. Lee, W.B. Kim, J.G. Lee, D.L. Yoo, Y.S. Kwon, J.N. Lee, S.W. Jang, and S.C. Hong. 2010. Year-round production of fresh leaves of narrowhead goldenray 'Ligularia stenocephala' by using stored rootstocks in sequential highland-lowland cultivation. J. Bio-Env. Con. 19:324-332 (in Korean). 

  20. Kim, S.H., J.H. Saung, Y.K. Kim, and P.G. Kim. 2008. Photosynthetic responses of four oak species to changes in light environment. Kor. J. Agr. For. Meteorol. 10: 141-148 (in Korean). 

  21. Kim, P.G. and E.J. Lee. 2001a.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1: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intercellular $CO_2$ pressure on photosynthesis. Kor. J. Agr. For. Meteorol. 3:126-133 (in Korean). 

  22. Kim, P.G. and E.J. Lee. 2001b.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2: adaptation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to changing environment. Kor. J. Agr. For. Meteorol. 3:171-176 (in Korean). 

  23. Kitao, M., H. Utsugi, S. Kuramoto, R. Tabuchi, K. Fujimoto, and S. Lihpai. 2003. Light-dependent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indicated by chlorophyll fluorescence in five mangrove species native to Pohnpei Island, Micronesia. Physiologia Plantarum 117:376-382. 

  24. Kok, B. 1948. A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quantum yield of chlorella photosynthesis. Enzymologia Hague. 13:1-56. 

  25. Kume, A. and Y. Ino. 1993. Comparison of ecolphysiological response to heavy snow in two varieties of Acuba japonica with different areas of distribution. Ecol. Res. 8:111-121. 

  26. Kyparissis, A., P. Drilias, and Y. Manetas. 2000. Seasonal fluctuations in photoprotective (xanthophylls cycle) and photoselective (chlorophylls) capacity in eight Mediterranean plant species belonging to two different growth forms. Aust. J. Plant Physiol. 27:265-272. 

  27. Kwon, K.W., G.N. Kim, and M.S. Cho, 2009. Physiology responses of the three wild vegetable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 J. Kor. For. Soc. 98:106-114 (in Korean). 

  28. Kwon, Y.M., S.C. Ko, J.C. Kim, B.Y. Moon, M.C. Park, H.B. Park, I.H. Park, Y.S. Lee, I.H. Lee, J.S. Lee, J.B. Lee, C.H. Lee, B.U. Jeon, S.H. Jo, and J.B. Hong. 2003. Plant Physiology. Academybook. Seoul. Korea. p. 429. (in Korean). 

  29. Lavorel, J. and A.L. Etienne, 1977. In vivo chlorophyll fluorescence, pp. 203-268. In: J. Barber (ed.). Primary processes of photosynthesis. Elsevier Scientific. New York. USA. 

  30. Lee, S.H., Y.S. Jin, S.I. Heo, T.H. Shin, J.H. Sa, D.S. Choi, and M.H. Wang. 2006.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 J. Food Sci. Tech. 38:571- 576 (in Korean). 

  31. Lim, J.H., S.Y. Woo, M.J. Kwon, J.H. Chun, and J.H. Shin. 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y and declining korean Fir in Mt. Halla. J. Kor. For. Soc. 95:705-710 (in Korean). 

  32. Nam, Y.K. and J.A. Baik. 2005. Status of research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about endemic wild vegetables in korea.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 and Environment. 8:1-10 (in Korean). 

  33. Rascher, U., M. Liebig, and U. Lttge. 2000. Evaluation of instant light-response curve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obtained with a portable chlorophyll fluorometer on site in the field. Plant Cell and Environment. 23:1397-1405. 

  34. Sharp, R.E., M.A. Matthews, and J.S. Boyer. 1984. Kok effect and the quantum yield of photosynthesis. J. Plant Physiol. 75:95-101. 

  35. Sim, J.S. and S.S. Han. 2003.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ciduous oak species(III) photosynthetic responses of leaves to change of light intensity. J. Kor. For. Soc. 92:208-214 (in Korean). 

  36. Suh, J.T., S.Y. Ryu, W.B. Kim, K.S. Choi, and B.H. Kim. 1996. Improvement of germination rate by low temperature and development of effective shading cultivation of Cirsium setidens under rain shelter in highland. Kor. J. Plant Res. 9:151-156 (in Korean). 

  37. Sung, J.H., M.J. Sun, S.H. Kim, and Y.K. Kim. 2009. Effect of calcium chloride $(CaCl_2)$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apparatus, stomatal conductance, and fluorescence image of the leaves of Cornus kousa. Kor. J. Agr. For. Meteorol. 11:143-150 (in Korean). 

  38. Takemura, T., N. Hangata, K. Sugihara, S. Baba, I. Karube, and Z. Dubinsky. 2000.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to salt stress in the mangrove, Bruguiera gymnorrhiza. Aquatic Botany. 68:15-28. 

  39. Valladares, F., J.M. Chico, I. Aranda, L. Balaguer, P. Dizengremel, E. Manrique, and E. Dreyer. 2002. The greater seedling high-light tolerance of Quercus robur over Fagus sylvatica is linkes to a greater physiological plasticity. Trees. 16:395-4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