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설에 따른 고속도로 주행속도 변화연구 - 서해안고속도로를 중심으로 -
Effects of Snowfall Intensity on Freeway Travel Speed (Focused on Seohaean Freeway)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4 no.4 = no.54, 2012년, pp.93 - 101  

홍성민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양충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전우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 Adverse weather conditions such as heavy rain, heavy snowfall, and thick fog and so on have highly affect on the change in traffic conditions on the road. In particular, heavy snowfall causes capacity reduction as well as crash occurr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nowfall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교통류의 영향정도는 분석구간 및 기상특성에 따라 매우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량의 경우, 기상에 대하여 운전자들의 수단전환 및 통행포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목표인 강설량에 따른 교통성능의 변화로 판단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조건이 악화됨에 따른 교통성능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강설량과 기온, 주행속도의 관계를 계량화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강설량 수준 4그룹(맑음, 하, 중, 상)에 따라 평균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그룹이 교통의 특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귀무가설(H0)을「모든 강설량 수준별 집단의 평균은 같다」로 설정한 후, 분석방법은 2개 이상의 집단 간의 평균값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인 ANOVA-test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서해안고속도로(고창IC~선운산IC)를 대상으로 강설량수준에 따른 주행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Exponential Decay Function을 이용하여 기상조건에 따른 교통성능의 변화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함수식으로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설량에 따른 주행속도의 변화를 계량화하는 추정함수 도출을 위해, 영향권을 설정하였다. 주행속도는 강설뿐만 아니라 교통지체 및 정체, 교통사고와 같은 이벤트 등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순수하게 강설만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분석대상 자료의 범위를 결정하는 영향권 설정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조건에 따른 교통변화에 관한 국내₩외 연구내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 정립을 위해 기존의 미시적 강설량과 교통조건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조건에 따른 교통변화에 관한 국내₩외 연구내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 정립을 위해 기존의 미시적 강설량과 교통조건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거시적 관점에서 강설량과 통행특성의 관계를 통해 운전자들의 통행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기상자료와 차량의 검지기자료를 활용하여 강설량 및 기온의 변화에 따른 교통조건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기상조건이 악화됨에 따라 교통성능 (자유속도)이 감소하는 정도를 계량화하는 교통성능함수를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제설작업과 관련하여「도로 제설업무 수행요령」(건설교통부, 2002)를 통하여 강설량에 대한 제설제 및 제설차의 능력에 따른 제설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또한 교통량의 경우, 기상에 대하여 운전자들의 수단전환 및 통행포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목표인 강설량에 따른 교통성능의 변화로 판단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조건이 악화됨에 따른 교통성능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강설량과 기온, 주행속도의 관계를 계량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량들의 주행속도를 고려한 동절기 제설작업 우선순위설정과 같은 도로관리 전략 계획 수립 및 우회로 확보와 같은 다양한 교통운영전략 시행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동절기 강설량 및 폭설 빈도의 증가는 무엇 때문인가? 최근 국내 동절기 강설량 및 폭설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겪고 있는 이상기후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3년간의 국내 대설주의보 발령횟수(2007년~2009년)는 233회에서 173회로 약 35% 감소하였으나 2010년 3월까지의 대설경보 발령횟수는 약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토해양부, 2010).
강설 및 강우는 운전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최근 3년간의 국내 대설주의보 발령횟수(2007년~2009년)는 233회에서 173회로 약 35% 감소하였으나 2010년 3월까지의 대설경보 발령횟수는 약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토해양부, 2010). 이와 같은 강설 및 강우는 운전자의 운전능력 중 운전자의 시인성 및 노면 마찰력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강설 후 도로적설은 운전자의 안전뿐만 아니라교통 소통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odsky, Veinoglou and Bernard Hakkert, 1988, The Effect of weath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Occupancy on free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194, pp55-63. 

  2. Chang Su Park, Jin Hwan Jang, 2004, A Study on Developing Weather Adjustment Factor Due to Snowfall in Estimating AADT, Seoul Studies, Vol. 5, No. 2, pp.68-79. 

  3. Hanbail R.M. and D.A Kuemmel, 1993, Traffic Volume Reductions Due to Winter Storm Condi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387, pp.159-164. 

  4. Hassan Y.A. and Barker J.J., 1999, The impact of unseasonable or extreme weather on traffic activity within Lothian region, Scotland,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7, Issue 3, pp.209-213. 

  5. Keay K. and Simmonds I., 2005, The association of rainfall and other weather variables with road traffic volume in Melbourne, Australi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37, pp.109-124. 

  6. Khattak, Asad J., Schofer, Joseph L., Koppelman, Frank S., 1993, Commuters' enroute diversion and return decisions: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27, Issue 2, pp.101-111. 

  7. Knapp K.K. and Smithson L.D., 2000, Winter Storm Event Volume Impact Analysis Using Multiple-Source Archived Monitoring Data,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1700, pp.10-16. 

  8. L. Shi, Y. Cheng, J. Jin, B. Ran, and X. Chen, 2011, Effects of Rainfal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on Urban Freeway,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nnual Meeting 2011, Paper #11-3345 

  9. Manish Agarwal, Thomas H. Maze, Reginald Souleyrette, 2005, Impact of weather on urban freeway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capacity, Iowa state university 

  10. Road Traffic Authority, 2011, Traffic Accident Report 2010. www.road.re.kr. Accessed June 16. 

  11. Road Traffic Authority.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http://taas.koroad.or.kr/ 

  12. Sandeep Datla, Satish Sharma, 2007, Highway Traffic Volume Variations with Cold and Snow Interactions, 2007 Annual Conference and Exhibition of the Transportation Association of Canada: Transportation - An Economic Enabler (Les Transports: Un Levier Economique), pp.21. 

  13. Seung-Kirl Baek, So-Young Jeong, Tea-Kyung Lee, Jai-Mu Won, 2010, Analysis of Snowing Impacts on Freeway Trip Characteristics Using TCS Dat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9, No. 4, pp. 68-79. 

  14. The Ministry of Land, Transort, and Maritime Affairs, 2002, A Guideline for Roadway Snow Removal in South Korea. Publication MLTM, Korea. 

  15. The Ministry of Land, Transort, and Maritime Affairs, 2001, KHCM 

  16. The Ministry of Land, Trans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R&D Project Planning of Development of Multipurpose Snow Removal Vehicle-Final Report. (국토해양부, 2010, 다목적 제설장비 개발 기획연구(최종보고서) 

  17. Thomas H. Maze, Manish Agarwal, Garrett Burchett, 2005, Weather Matters to Traffic Demand, Traffic Safety, and Traffic Flow, Iowa stat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