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구간과속단속시스템 운영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효과
Traffic Accident Reduction Effects of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s(SSES) Operation in Freeway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2, 2014년, pp.119 - 129  

정용일 (도로교통공단 충북지부) ,  백태헌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윤환 (충청북도청 교통물류과) ,  박병호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고속도로 구간과속단속시스템(SSES) 운영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SES가 설치된 고속도로 9개 구간 전체를 대상으로 5년간(사전 2년과 사후 3년간) 교통사고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그룹방법을 활용하여 연차별 사전 사후 분석을 시행한다. 사고감소의 효과척도로는 전체 교통사고(TAs), 중상이상 교통사고(FSAs), 전체 사상자수(TIs) 및 중상이상 사상자수(FSIs)를 활용한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사상자수는 각각 32.0%, 17.1%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중상이상 심각사고 발생건수 및 사상자수는 각각 41.7%, 32.2%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어, 심각사고 감소에서 높은 감소효과가 나타난다. 셋째, SSES 도입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효과는 연차별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운영 후 3년차에서 사고감소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s of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 (SSES) operation in freeways.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collects the accident data for 5 years (2 years before operation and 3 years after operation) at all 9 sections where SSESs are operat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고속도로 구간과속단속시스템 설치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간과속단속시스템 설치된 고속도로 9개 구간 전체를 대상으로 도입 5년간(사전 2년, 사후 3년) 수집된 교통사고 자료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사전·사후 분석방법의 하나인 비교그룹방법을 통한 교통사고 감소효과를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캥거루 현상이란? 하지만 시스템의 높은 운영성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지점 무인과속단속시스템의 경우는 단속장비가 설치된 지점에서만 속도를 줄이는 ‘캥거루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인하여 터널, 교량 및 굴곡지점에서 사고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시스템의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KoROAD, 2008).
2012년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는? 2012년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3,550건으로 사망자는 총 371명, 부상자는 8,333명이었다. 특히 고속도로 교통사고 치사율(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은 10.
구간과속단속시스템이 개발된 원인은? 이는 기존 지점과속단속카메라의 앞에서만 감속했다가 카메라를 지나면 다시 가속하던 ‘캥거루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한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ouglas W., Karin M., Ingrid B., Darren J., Karea R., Emilia R., et al. (2003), Safety Effectiveness of Intersection Left and Right Turn Lanes, TRB 2003 Annual Meeting CD-ROM, 1840, 131-139. 

  2. Evertse M. W. (1998),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 for Travel-Time based Speed Enforcement Using Video-Technology, 5th ITS World Congress, 2088. 

  3. Han W. S., Kim M. B., Hyeon C. S. (2005), The Enforcement Scheme of the Over speeding vehicle by Travel Speed , J. Korean Soc. Transp, 23(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1-32. 

  4. Hauer E. (1997),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on Road Safety, Pergamon. 

  5. Joo D. H., Hyeon C. S., Han W. S., Lee C. G. (2009), Study on the Analysis for the Effects of the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Application, J.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8(6), The Korea Institute of Inteligent Transport Systems, 55-63. 

  6. Jung Y. I., Park B. H., Beak T. H. (2012), Traffic Accident Reduction Effects on the Operation of Point to Point Speed Enforcement Systems, The 66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03-308. 

  7. KICT(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Traffic Monitoring System, http://www.road.re.kr. 

  8. Kim T. Y., Park B. H. (2010), Accident Reduction Effects by Year After Installation of Red Light Cameras, J.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9(2), The Korea Institute of Inteligent Transport Systems, 23-32. 

  9. Kim Y. S., Cho Y. B. (2005), A Study on the Installation of the Automated Speed Enforcement Camera for the Effectiveness, J. Korean Soc. Transp, 23(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5-45. 

  10.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www.ex.co.kr. 

  11. KoROAD (2008), A Study of Developing Evaluation Model and Design Criteria for Point to Point Average Speed Based Enforcement, KoROAD. 

  12. KoROAD(Road Traffic Authority) (2007), A Study of Developing Point to Point Average Speed Based Enforcement, KoROAD. 

  13. KoROAD,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TAAS), http://taas.rota.or.kr. 

  14. Lee D. M., Kim D. H., Song G. S. (2011a), Analysis of Effects From Traffic Safety Improvement on Roadways Using C-G Methed, J. Korean Soc. Transp, 29(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1-40. 

  15. Lee H. W., Joo D. H., Hyeon C. S., Kim D. H. (2011b), Improving the Evaluation Method for Before and After Based on Point to Point Average Speed, J. traffic safety research, 30, KoROAD(Road Traffic Authority), 53-67. 

  16. Lee H. W., Kim D. H., Park B. H., Lee C. G., Ha D. I., Lee B. C. (2010), A Study on Driving Characteristics of Drivers at the Enforcement System Based on Speed Data, J.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9(6), The Korea Institute of Inteligent Transport Systems, 43-53. 

  17. Lee S. B., Jung D. Y., Kim D. K. (2008), The Effect of a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on Crash Reduction Regarding Land Use Characteristics, . Korean Soc. Transp, 26(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09-117. 

  18. Lee S. H., Lee Y. D., Do M. S. (2012), Safety Impacts of Red Light Enforcement on Signalized Intersections, J. Korean Soc. Transp, 30(6),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93-102. 

  19. Mun S. R., Lee Y. I., Lee S. B. (2012), Developing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for Freeways, J. Korean Soc. Transp, 30(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01-116. 

  20. Park B. H., Jung Y. I., Kim K. H. (2012), Traffic Accdient Reduction Effects of the All-Red Clearance Interval(ARCI) Operation, J. Korea Soc. Transp, 30(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1-27. 

  21. Park J. J., Lee Y. M., Park J. B., Gang J. G. (2008), The Effect of Point to Point Speed Enforcement Systems on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Transp, 26(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85-95. 

  22. Yoo S. J. (2009), Introduction of Point to Point Average Speed Enforcement System (무인구간단속 시스템 개요 설명),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6(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78-184. 

  23. Yun I. S., Park S. H., Oh B. S., Oh Y. T. (2011), Study of the Effect of Point to Point Speed Enforcement System Using a Comparison-Group Method, J. Korea Soc. Road Eng, 13(4), Korea Society of Road Engineers, 177-1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