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based on social-role theory, and purposes were to investigate (1) how depression and health determinants vary with married and employed women, and (2) what factors contribute to depression according to family cycle. Methods: A stratified convenience sample of 765 married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기혼 직장 여성의 직업과 가족주기를 중심으로 사회역할과 관련된 요인(직무 스트레스, 양육 스트레스, 가사부담)과 우울장애 위험요인(사회·인구학적 위협요인과 심리적 촉진요인)이 우울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다변량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1) 기혼 직장 여성의 직업별, 가족주기별 우울 발생률과 우울 결정요인(사회인구학적 요인, 심리적 촉진요인 및 사회역할 요인)을 비교하고, (2) 우울 결정요인과 우울간 관계를 파악하고, (3) 가족주기별 우울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수를 규명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6개 권역, 18개 표본 단위에서 층화 편의추출을 통해 선정한 기혼 직장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한 횡단적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혼 직장 여성의 사회역할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직무 스트레스, 양육 스트레스, 가사부담이 직업군과 가족주기라는 맥락에서 기존에 알려진 우울장애 위험요인 관계 내에서 여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직업별로는 사회인구학적 요인, 심리적 촉진요인, 사회역할 요인 모두에서 단순노무직 여성의 다중역할 부담이 높게 나타나 우울 발생률이 25%로 가장 높았다.
  • 본 연구는 기혼 직장 여성의 우울 발생률을 파악하고, 우울 증상 변이에 영향을 주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지역별 대표성을 고려해 6개 권역에서 직업을 층화 표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또한 우울 결정요인은 요인들의 복합성과 다차원적인 속성(Davidson et al.
  • 스트레스나 위기에 취약한 성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Park (2002)이 낮은 자존감, 낮은 자아강도, 부정적 자아상, 높은 내향성, 낮은 사회성, 높은 신경성 등 스트레스나 위기 발생에 취약한 성격 특성을 효율적으로 측정하고자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개발,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과민성, 불안정성, 열등감, 불편감, 자아강도, 내향성 및 비사회성 등의 문항으로 구성된 총 9문항 도구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4점)까지 4점 리커트형 척도로 측정한다.
  • 연구팀에서는 각 지역별 직종 선정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직업 분류군별 접근이 수월한 사례를 제공하였다. 즉 전문사무직은 의사, 교사, 연구직, 회사원, 행정 직원, 도서관 사서, 은행 직원, 간호사, 판매서비스직은 보험설계사, 운전기사, 미용사, 소개업, 점원, 방문판매 직원, 단순노무직은 식당 아주머니, 청소원, 생활용품 매장 계산원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 모델은 Davidson, Trudeau, Roosmalen, Stewart와 Kirkland (2006)의 건강 모델과 Aneshensel 등(1981)의 사회역할 이론에 기초하였다. 이 건강 모델은 건강상태를 평가할 때 건강 결정요인을 젠더 관점에서 수정 가능성에 따라 구분하여 제시한 것으로서, 건강 관리제공자가 중재를 통해 수정 가능한 요인을 변화시켜 건강상태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이 모델이 대상자의 건강증진을 위해 건강 결정요인을 중재하는 간호실무를 안내하는 지침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해당 모델을 적용하였다.
  • , 2006)을 고려하여 사회인구학적 위협요인, 심리적 촉진요인 및 사회 역할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기혼 직장 여성의 직업과 같은 경제적 결정요인과 가족주기라는 생애주기 요인과 더불어 우울 결정요인이 우울 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기혼 직장 여성의 직업과 가족주기를 중심으로 사회역할과 관련된 요인(직무 스트레스, 양육 스트레스, 가사부담)과 우울장애 위험요인(사회·인구학적 위협요인과 심리적 촉진요인)이 우울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다변량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다중역할 부담은 직장, 특히 전일제 직업과 의존적인 자녀에 대한 역할 긴장이 여성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것이다. 이 가설은 역할갈등 이론에 근거하는데 다중역할로 인한 요구와 책임이 경쟁적 관계에 놓이게 됨으로써 역할갈등과 역할부담을 초래하고 여성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그에 비해 다중역할 애착에서는 다중역할이 지역사회 애착과 유대감을 강화해서 여성건강이 향상된다고 주장한다.
  • 즉 기혼 직장 여성이 갖고 있는 사회·인구학적 위협요인, 심리적 촉진요인과 사회역할 요인들이 여성의 우울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서 여성이 상대적으로 유병률이 높을 때는 언제인가? 2%와 비교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혼이나 사별, 낮은 교육수준, 주부 또는 무직, 낮은 소득수준에서 상대적으로 유병률이 높다(Ministry of Health &Welfare, 2006). 여성 우울장애는 서양에서도 남성보다 유병률이 2배 이상 높고, 미국의 기존 연구와 역학조사 결과에서도 여성은 13-15세 전후 청소년기에 우울이 처음 나타나 중년기까지 위험이 지속되며 가임기 기혼 여성에서 우울 유병률이 가장 높았다(Dietch &Bunney, 2002; Noble, 2005; Paykel, 1991).
미국의 기존 연구와 역학조사 결과에서 여성은 몇세 전후 청소년기에 우울이 처음 나타나는가? 특히 여성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혼이나 사별, 낮은 교육수준, 주부 또는 무직, 낮은 소득수준에서 상대적으로 유병률이 높다(Ministry of Health &Welfare, 2006). 여성 우울장애는 서양에서도 남성보다 유병률이 2배 이상 높고, 미국의 기존 연구와 역학조사 결과에서도 여성은 13-15세 전후 청소년기에 우울이 처음 나타나 중년기까지 위험이 지속되며 가임기 기혼 여성에서 우울 유병률이 가장 높았다(Dietch &Bunney, 2002; Noble, 2005; Paykel, 1991).
기혼 직장 여성의 우울 유병률이 높은 원인은 무엇인가? 기혼 직장 여성의 우울 유병률이 높은 원인으로는 시기적으로 호르몬 활동이 활발한 생리적 특성, 스트레스와 관련된 사회적 요인, 그리고 직장인, 어머니, 아내라는 다중역할 속에서 요구되는 균형감과 책임감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다(Brommelhoff, Conway, Merikangas,&Levy, 2004; Dietch&Bunney, 2002). 따라서 기혼여성의 가임기는이후중년기,노년기여성의정신건강을결정짓는중요한시기이기때문에이들여성을대상으로우울에대한다양한위험요인을탐색하고조기발견과간호중재를위한노력은중요한의의를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bidin, R. (1995). Parenting stress index (3r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2. Ahn, S. H. (2004). Physical health and depression in women by employment status and rol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 23-31. 

  3. Aneshensel, C. S., Frerichs, R. R., & Clark, V. A. (1981). Family roles and sex differences in depress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 379-393. 

  4. Arber, S. (1991). Class, paid employment and family roles: Making sense of structural disadvantage, gender and health status. Social Science & Medicine, 32, 425-436. 

  5. Barnett, R., & Baruch. G. (1987). Social roles, gender,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R. Barnett, L. Biener, & G. Baruch (Eds.), Gender and stress. New York: Free Press. 

  6. Beck, A. T., Steer, R. A., Ball, R., & Ranieri, W. F. (1996). Comparis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ies-IA and-II in psychiatric outpati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7, 588-597. 

  7. Bipolar disorder, worse than depression. (2011, May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Retrieved June 1, 2011, from http://www.hira.or.kr/cms/rc/rce_news/1205271_ 10816.html 

  8. Brommelhoff, J. A., Conway, K., Merikangas, K., & Levy, B. R. (2004). Higher rates of depression in women: Role of gender bias within the family. Journal of Women's Health, 13, 69-76. 

  9. Brown, G. W., Andrews, B., Harris, T., Adler, Z., & Bridge, L. (1986).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Medicine, 16, 813-831. 

  10. Chang, S. J., Koh, S. B., Kang, M. G., Cha, B. S., Park, J. K., Hyun, S. J., et al. (2005). Epidemiology of psychosocial distress in Korean employe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8, 25-37. 

  11. Cho, I. S., & Park, Y. S. (2004). Transition model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515-524. 

  12. Cho, S. J., Jang, S. N., & Cho, S. I. (2008).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Korean wome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41, 355-363. http://dx.doi.org/10.3961/jpmph. 2008.41.5.355 

  13. Chung, K. M., Lee, K. S., & Park, J. A. (2008).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Expert guide. Seoul: Hakjisa. 

  14. Davidson, K. W., Trudeau, K. J., Roosmalen, E., Stewart, M., & Kirkland, S. (2006). Gender as a health determinant and implications for health education. Health Education & Behavior, 33, 731-743. http://dx.doi.org/10.1177/1090198106288043 

  15. Dietch, K. V., & Bunney, B. (2002). The "silent" disease. Diagnosing and treating depression in women. AWHONN Lifelines, 6, 140-145. http://dx.doi.org/10.1111/j.1552-6356.2002.tb00053.x 

  16. Duvall, E. M. (1988). Family development's first forty years. Family Relations, 37, 127-134. http://dx.doi.org/10.2307/584309 

  17. Glass, J., & Fujimoto, T. (1994). Housework, paid work, and depression among husbands and wiv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5, 179-191. 

  18. Karasek, R., & Theorell, T. (1990). Health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New York: Basic Books, Inc. 

  19. Katz, H. M. (2006). Study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A practical guide for clinicia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 ty Press. 

  20. Kim, I. H., & Chun, H. (2009). Employment and married women's health in Korea: Beneficial or harmful?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5, 323-330. 

  21. Kim, M. S., Lee, I. S., & Lee, C. S. (2007). The validation study 1 of Korean BDI-2: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mp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6, 997-1014.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4th (2008) results report: 2008 National health statistics.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23. Korean Statistical Office. (2010). Korean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October 1, 2010, from http://www.index.go.kr/ 

  24. Kwon, S. S.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independent contractors in Korea.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9, 119-156. 

  25. Lahelma, E., Arber, S., Kivela, K., & Roos, E. (2002).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British and Finnish women: Theinfluence of socioeconomic circumstances. Social Science & Medicine, 54, 727-740. http://dx.doi.org/10.1016/S0277-9536(01)00105-8 

  26. Laursen, B., Coy, K. C., & Collins, W. A. (1998). Reconsidering changes in parent-child conflict across adolescence: A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69, 817-832. http://dx.doi.org/ 10.1111/j.1467-8624. 1998.tb06245.x 

  27. Lee, J. H., & Lee, E. H. (2000).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upon multiple role conflicts and depression within dual employed couple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 287-303. 

  28. Luecken, L. J., Suarez, E. C., Kuhn, C. M., Barefoot, J. C., Blumenthal, J. A., Siegler, I. C., et al. (1997). Stress in employed women: Impact of marital status and children at home on neurohormone output and homestrain. Psychosomatic Medicine, 59, 352-359. 

  2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psychiatric illnesses in Korea. Seoul: Author. 

  30. Moorhead, S., Johnson, M., Maas, L. M., & Wanson, E. (2008).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 Fourth edition. St. Louis: Mosby Elsevier. 

  31. Noble, R. E. (2005). Depression in women. Metabolism, 54(5 Suppl 1), 49-52. http://dx.doi.org/10.1016/j.metabol.2005.01.014 

  32. Park, Y. S. (2002). A crisis model for the early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3. Paykel, E. S. (1991). Depression in women.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8(Suppl 10), 22-29. 

  34. Sung, H. M., Kim, J. B., Park, Y. N., Bai, D. S., Lee, S. H., & Ahn, H. N. (2008).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BDI-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14, 201-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