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식보조술을 받은 산모와 자연임신한 산모에서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on Pregnancy Outcome in Women with a Singleton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Spontaneously Conceived Pregnancy: A Case-Control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4, 2012년, pp.517 - 524  

김주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신혜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박보경 (제일병원 초음파실) ,  양광문 (제일병원 불임생식내분비과) ,  이영호 (제일병원 영상의학과) ,  류현미 (제일병원 산부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compare and confirm the impact of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on pregnancy outcome in women with a singleton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spontaneously conceived pregnancy. Methods: A sample of 165 and 247 pregnant women with and withou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생식보조술을 받은 임부 및 산모들의 과체중 및 비만관리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실태 및 기초조사 연구로서, 생식보조술을 받은 산모와 자연임신 한 산모의 일반적 및 산과적 특성, 임신 결과를 비교하고,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두 그룹의 임신 결과에 어떠한 결과를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생식 보조술 임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불임간호에 대한 요구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생식보조술을 받은 임부에 대한 기초연구가 없어서 이 그룹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식보조술을 받은 임부를 대상으로 비만 및 과체중과 임신 결과에 관한 실태 및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이 그룹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 연구의 논의는 생식보조술을 받은 임부에서 체질량 지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본 선행 연구는 없었기에 자연임부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비교 논의하였다.
  • 본 연구는 생식보조술을 받은 산모와 자연임신 한 산모의 일반적, 산과적 특성 및 임신 결과를 비교하고, 임신 전 체질량 지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그룹간에 산모연령, 남편연령, 결혼기간,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력, 자연유산경험, 조산유무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체질량 지수 25 이상의 과체중 및 비만은 생식보조술을 받은 그룹에서 산모의 합병증과 신생아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생식보조술을 받은 산모와 자연임신한 산모의 일반적 및 산과적 특성, 임신 결과를 비교하고, 임신 전 체질량 지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성 비교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생식보조술을 받은 임부를 대상으로 비만 및 과체중과 임신 결과에 관한 실태 및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이 그룹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 연구의 논의는 생식보조술을 받은 임부에서 체질량 지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본 선행 연구는 없었기에 자연임부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비교 논의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보조술을 받은 산모와 자연임신 한 산모의 일반적 및 산과적 특성, 임신 결과를 비교한 후,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산부의 과체중 및 비만은 어떤 위험성을 지니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임산부의 과체중 및 비만은 유산, 자간증,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제왕절개, 조산 등의 임신 합병증과 거대아, 기형 등의 신생아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Barau et al., 2006; Leung et al.
우리나라에서 생식보조술의 시행에 대한 상황은 어떠한가? 미국에서는 출생아의 약 1%정도가 생식보조술을 통해 태어났으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덴마크에서는 생식보조술을 통해 태아난 출생아가 약 4%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enningsen, Pinborg, Lidegaard, Vestergaard, & Andersen, 2011). 한국은 2006년부터 정부의 불임부부를 위한 경제적 지원사업이 시작되었고, 2010년에는 그 대상층이 인공수정층까지 확대되면서 생식보조 술을 받는 부부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nyang University, 2008).
생식보조술이란 무엇인가? , 2008). 생식보조술이란 임신을 위해 정자와 난자를 인위적으로 실험처치하는 불임 치료 방법으로(Tepperet al., 2012), 최근 불임부부 중 생식보조술을 시행하는 불임부부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au, G., Robillard, P., Hulsey, T. C., Dedecker, F., Laffite, A., Gerardin, P., et al. (2006). Linear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risk of caesarean section in term deliveries. British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173-1177. http://dx.doi.org/10.1111/j.1471-0528.2006.01038.x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surveillance-United States, 2006. MMWR Surveillance Summery, 58, 1-25. 

  3. Chen, Z., Du, J., Shao, L., Zheng, L., Wu, M., Ai, M., et al. (2010).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gestational weight gain, and pregnancy outcomes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109, 41-44. http://dx.doi.org/10.1016/j.ijgo.2009.10.015 

  4. Catalano, P. M., & Ehrenberg, H. M. (2006). The short- and long- term implications of maternal obesity on the mother and her offspring. British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13, 1126-1133. http://dx.doi.org/10.1111/j.1471-0528.2006.00989.x 

  5. Dokras, A., Baredziak, L., Blaine, J., Syrop, C., VanVoorhis, B. J., & Sparks, A. (2006). Obstetric outcome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in obese and morbidly obese women. Obstetrics and Gynecology, 108(1), 61-69. http://dx.doi.org/10.1097/01.AOG.0000219768.08249.b6 

  6. Fedorcsak, P., Dale, P. O., Storeng, R., Ertzeid, G., Bjercke, S., Oldereid, N., et al. (2004). Impact of overweight and underweight on assisted reproduction treatment. Human Reproduction, 19, 2523-2528. http://dx.doi.org/10.1093/humrep/deh485 

  7. Helmerhorst, F. M., Perquin, D. A. M., Donker, D., & Keirse, M. J. N. C. (2004). Perinatal outcome of singletons and twins after assisted conception: A systematic review of controlled studies. British Medical Journal, 328, 261. http://dx.doi.org/10.1136/bmj.37957.560278.EE 

  8. Henningsen, A. A., Pinborg, A., Lidegaard, Q., Ves tergaard, C., Forman, J. L., & Andersen, A. N. (2011). Perinatal outcome of singleton siblings born afte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spontaneous conception: Danish national sibling-cohort study. Fertility and Sterility, 95(3), 959-963. http://dx.doi.org/10.1016/j.fertnstert.2010.07.1075 

  9. Jackson, R. A., Gibdon, K. A., Wu, Y. W., & Croughan, M. S. (2004). Perinatal outcomes in singleton following in vitro fertilization: A meta-analysis. Obstetrics and Gynecology, 103, 551-563. 

  10. Koh, K. S. (1998). Gestational weight gain and perinatal outcomes by maternal body mass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2), 171-180. 

  11. Koh, K. S., & Park, C. H.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body mass index, gestational weight gain patterns and preterm birth.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0(10), 2168-2177. 

  12. Leung, T. Y., Leung, T. N., Sahota, D. S., Chan, O. K., Chan, L. W., Fung, T. Y., et al. (2008). Trends in maternal obesity and associated risks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a population of Chinese women. British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15, 1529-1537. http://dx.doi.org/10.1111/j.1471-0528.2008.01931.x 

  13. Luke, B. (2011). The role of obesity in reproduction. Biennial Review of Infertility, 2, 35-42. http://dx.doi.org/10.1007/978-1-4419-8456-2_4 

  14. Maheshwari, A., Stofberg, L., & Bhattacharya, S. (2007). Effect of overweight and obesity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A systematic review. Human Reproduction Update, 13(5), 433-444. http://dx.doi.org/10.1093/humupd/dmm017 

  15. McDonald, S. D., Han, Z., Mulla, S., & Beyene, J. (2010). Overweight and obesity in mothers and risk of preterm birth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Systemic review and meta analyses. British Medical Journal, 341, 1-20. http://dx.doi.org/10.1136/bmj.c3428 

  16. Metwally, M., Ong, K. I., Ledger, W. L., & Li, T. C. (2008). Does high body mass index increase the risk of miscarriage after spontaneous and assisted conception? A meta-analysis of the evidence. Fertility and Sterility, 90, 714-726. http://dx.doi.org/10.1016/j.fertnstert.2007.07.1290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anyang University. (2008). The study for social causative factors of infertility. Seoul: Author. 

  18. Mutsaerts, M. A. Q., Groen, H., Bogt, N. C. W., Bolster, J. H. T., Land, J. A., Bemelmans, W. J. E., et al. (2010). The lifestyle study: Costs and effects of a structured lifestyle program in overweight and obese subfertile women to reduce the need for fertility treatment and improve reproductive outc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Council, Women's Health, 10(22), 1-9. http://dx.doi.org/10.1186/1472-6874-10-22 

  19. Reddy, U. M., Wapner, R. J., Rebar, R. W., & Tasca, R. J. (2007). Infertilit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Obstetrics Gynecology, 109, 967-977. http://dx.doi.org/10.1097/01.AOG.0000259316.04136.30 

  20. Romundstad, L. B., Romundstad, P., Sunde, A., During, V., Skjarven, R., Gunnel, D., et al. (2008). Effects of technology or maternal factors on perinatal outcome after assisted fertilization: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Lancet, 372, 737-743. http://dx.doi.org/10.1016/S0140-6736(08)61041-7 

  21. Stothard, K. J., Tennant, P. W., Bell, R., & Rankin, J. (2009). Maternal overweight and obesity and the risk of congenital anomal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1(6), 636-650. http://dx.doi.org/10.1001/jama.2009.113 

  22. Tepper, N. K., Farr, S. L., Cohen, B. B., Nannini, A., Zhang, Z., Anderson, J. E., et al. (2012). Singleton preterm birth: Risk factors and association wit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Maternal Child Health Journal, 16(4), 807-813. http://dx.doi.org/10.1007/s10995-011-0787-8 

  23. Veleva, Z., Tiitinen, A., Vilska, S., Hyden-Granskog, C., Tomas, C., Martikainen, H., et al. (2008). High and low BMI increase the risk of miscarriage after IVF/ICSI and FET. Human Reproduction, 23(4), 878-884. http://dx.doi.org/10.1093/humrep/den017 

  24. Weiss, J. L., Malone, F. D., Emig, D., Ball, R. H., Nyberg, D. A., Comtock, C. H., et al. (2004). Obesity, obstetric complications and cesarean delivery rate- a population based screening stud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0, 1091-1097. http://dx.doi.org/10.1016/j.ajog.2003.09.058 

  25. Wisborg, K., Ingerslev, H. J., & Henriksen, T. B. (2010). In vitro fertilization and preterm delivery, low birth weight, and admission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prospective follow-up study. Fertility and Sterility, 94, 2102-2106. http://dx.doi.org/10.1016/j.fertnstert.2010.01.014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4. Geneva, Switzerland: Auth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