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우울과 극복력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Focusing on Depression and Resilience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2, 2017년, pp.117 - 125  

정유정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불임클리닉)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on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focusing on depression and resilience. Methods: With correlational survey design, 125 infertile women who were receiving inpatient and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조생식술을 받은 125명의 여성이 참여하였고, 우울과 극복력을 중심으로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우울, 시술비용에 대한 부담감, 배우자와의 관계 순으로 난임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48%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우울과 극복력을 중심으로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들을 난임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난임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우울, 극복력, 난임 관련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우울과 극복력, 우울과 난임 관련 삶의 질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극복력과 난임 관련 삶의 질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보조생식술을 받는 여성들에게서 가장 흔한 심리적 반응으로 나타나는 우울[15-17,19]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제인 극복력[18]에 초점을 두고 이들 난임을 경험하는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찾아보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설계는 우울과 극복력을 중심으로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는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난임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난임 관련 강좌나 자조모임을 통해 올바른 정보와 인식을 갖도록 하고, 대중매체를 통해 난임을 이겨내 임신을 성공하고 출산까지의 여성의 노력과 긴 여정을 담긴 내용의 프로그램 방영이나 사례소개 등으로 난임여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길 바란다. 이 연구를 통해 보조생식술을 받는 여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공감과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고, 난임여성을 옹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난임전문간호사 양성과 난임여성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되어 임상에서 적용 될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임 여성이 증가하는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나? 난임 여성이 증가하는 요인으로는 여성의 사회적 활동 증가로 인한 초혼 연령의 상승,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 혼인 후 경제적 안정을 우선으로 하여 임신을 미루는 경향, 잦은 유산, 장기간의 피임사용, 스트레스 및 환경오염 등이 있다[7]. 연령 증가에 따라 여성의 생식기능은 수직적으로 쇠퇴되는데 20~24세의 여성 난임률은 6%이지만, 40세 이상의 여성 난임률은 64%로 증가하는 등 임신을 시도하는 연령이 고령일수록 임신 확률은 급격하게 저하된다[8].
난임 여성에게 심리 ․ 정서적인 중재는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난임 치료를 받고 있는 여성들의 간호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난임 여성에게 심리 ․ 정서적인 중재는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난임 치료를 받고 있는 여성들의 간호중재는 더욱 필요하다. 그 이유는 난임 치료를 받는 여성은 난임 진단을 받은 후 겪었던 기존의 심리적 고통에 더해서 치료에 따르는 복잡한 감정들을 경험하기 때문이다[8]. 국외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체외수정시 술 후 겪는 여성들의 정신적 어려움, 일반여성과 난임 여성의 삶의 질 비교, 난임 상담법, 정서 상태에 따른 임신 성공률 등 난임 여성에 대한 간호학적 접근의 연구가 이뤄지고 있지만 [1,11,15-17], 국내에서는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난임이란 무엇인가? 난임이란 피임을 시행하지 않은 부부가 정상적인 부부관계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하지 못하는 경우로 정의한다[1]. 세계보건기구의 통계에 따르면 전체 부부 중 약 12~15%가 난임 부부로 추정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oivin J, Takefman J, Braverman A. The fertility quality of life (FertiQoL) tool: Development and general psychometric properties. Fertility and Sterility. 2011;96(2):409-415. 

  2. World Health Statistics. Global health indicators: total fertility rate [Internet]. New-York: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cited 2017 April 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gho/publications/world_health_statis tics/EN_WHS2015_Part2.pdf?ua1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fertility women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cited 2016 August 13].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3031 

  4. Kim SG, Kim YK, Kim HR, Park JS, Son CG, Choi YJ, et al. (The) 201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Seoul: Family Health & Welfare; 2012. 986 p. 

  5. Lee JH. The constitutional understanding of the low birthrate problem and approaches for its resolution. Korea Law Review. 2015;79:85-128. 

  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onsultation with specialist about chillines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cited 2016 August 2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23858&page1 

  7. Hwang NM.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3):161-187. 

  8. Lee JH. An analytical study on psychosocial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the effective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for reducing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being in infertility treatment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3. 131 p. 

  9. Kim KR. The evaluation and prospect of infertile couple support policy: Focused on women's rights to child-birth and rights to health.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012;20(2): 181-200. 

  10. Park CS. A study on the mental anguish of subfertility women.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3. 69 p. 

  11. Holka-Pokorska J, Jarema M, Wichniak A. Clinical determinants of mental disorders occurring during the infertility treatment. Psychiatria Polska. 2015;49(5):965-982. 

  12. Kang EY. The study of psychosocial character of infertility women.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2014;12:1-16. 

  13. Park MN, Choi SY. The effects of infertility stress and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infertile coupl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2;14(4):1987-2000. 

  14. Min SW, Kim YH, Cho YR. Stress, depr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8;11(3):19-32. 

  15. Bahrami N, Sattarzadeh N, Koochaksariie FR, Ghojazadeh M. Comparing depression and sexual satisfaction in fertile and infertile couples. Journal of Reproduction & Infertility. 2007;8(1):52-59. 

  16. Boivin J, Takefman JE. Stress level across stages of in vitro fertilization in subsequently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Fertility and Sterility. 1995;64(4):802-810. 

  17. Cho YK, Hur K, Kim SH, Cha SH, Cho JH, Kim JY, et al. Obstetric outcome of unexplained infertility patients follow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04;47(6):1179-1183. 

  18. Richardson GE. The metatheory of resilience and resilienc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2;58(3):307-321. 

  19. Im SB, O HY, Park YI, Lee EH, Lee S. Analytical review of resilience for preventive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2;11(3):304-315. 

  20. Koo YH, Na YJ. The infertility treatment related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10; 53(10):869-880. 

  21. Steer RA, Cavalieri TA, Leonard DM, Beck AT. Use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for primary care to screen for major depression disorder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1999;21(2):106-111. 

  22. Wagnild GM, Young H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Th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3;1(2):165-178. 

  23. Mick P.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1995;41(10):1403-1409. 

  24. Kim MS, Lee IS, Lee CS. The validation study I of Korean BDIII: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mp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7;26(4):997-1014. 

  25. Song YS.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04. 53 p. 

  26. Kim MO, Nam HA, Youn MS. Infertility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women with infertility treatm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6;30(1):93-104. 

  27. Kim JH, Shin HS.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312-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