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4, 2012년, pp.549 - 558
안양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의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함옥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수현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순옥 (의료급여사례관리사업지원단) , 송명경 (의료급여사례관리사업지원단)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Needs Assessment Tool for Case Management (NATCM) for use with Korean medical aid beneficiaries. Methods: Psychometric testing was performed with a sample of 645 Korean medical aid beneficiaries, which included 41 beneficiaries who were select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의료급여제도가 지향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 우리나라 의료급여제도는 1979년 의료보호제도로 시작하여 2001년 의료급여법에 의하여 개명된 것으로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국민의 질병, 부상, 출산 등에 대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부조제도로서 건강보험과 함께 국민의료안전망을 이루고 있다(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MHW], 2011). 의료급여제도가 지향하는 목적은 일차적으로 생활유지능력이 없거나 저소득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질병 발생에 따른 비용부담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이차적으로 질병치료와 재활, 예방 및 건강 관리를 통하여 건강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지속적으로 제고하는 데에 있다(Shin, 2010). 하지만 최근 들어 적용대상과 급여범위를 확대하면서 의료급여 비용의 지속적인 증가로 제도의 유지 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 |
우리나라 의료급여제도는 언제 무엇으로 시작하였는가? | 우리나라 의료급여제도는 1979년 의료보호제도로 시작하여 2001년 의료급여법에 의하여 개명된 것으로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국민의 질병, 부상, 출산 등에 대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부조제도로서 건강보험과 함께 국민의료안전망을 이루고 있다(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MHW], 2011). 의료급여제도가 지향하는 목적은 일차적으로 생활유지능력이 없거나 저소득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질병 발생에 따른 비용부담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이차적으로 질병치료와 재활, 예방 및 건강 관리를 통하여 건강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지속적으로 제고하는 데에 있다(Shin, 2010). | |
최근 의료급여제도의 유지 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의료급여제도가 지향하는 목적은 일차적으로 생활유지능력이 없거나 저소득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질병 발생에 따른 비용부담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이차적으로 질병치료와 재활, 예방 및 건강 관리를 통하여 건강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지속적으로 제고하는 데에 있다(Shin, 2010). 하지만 최근 들어 적용대상과 급여범위를 확대하면서 의료급여 비용의 지속적인 증가로 제도의 유지 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2008년 전국 의료급여 수급자 수는 1,841,339명으로 2005년도의 1,791,565명에 비하여 4. |
Ahn, Y. H., Kim, E. S., Jang, S. J., Ham, O. K., Kim, S. H., Kim, S. O., et al. (2010, May). Validation of needs assessment tool for case management among recipients in Korean medicaid.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erson, K. L., & Rokosky, J. S. (2001). Evaluation of a home health patient classification instrument.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3(1), 56-71. http://dx.doi.org/10.1177/01939450122044952
Allen, C. E., Easley, C. E., & Storfjell, J. I. (1986). Cost management through caseload/workload analysis. In F. A. Shaffer (Ed.), Patients and purse strings: Patient classifcation and cost management (pp. 331-346). New York: National League for Nursing.
Byrne, G., Brady, A. M., Griffith, C., Macgregor, C., Horan, P., & Begley, C. J. (2006). The Community Client Need Classification System - a dependency system for community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4(6), 437-446. http://dx.doi.org/10.1111/j.1365-2934.2006.00672.x
Center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 (2009). Case management regulation. Retrieved April 20, 2009, from http://www.cms.hhs.gov/
Fleiss, J. L., & Cohen, J. (1973). The equivalence of weighted kappa and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as measures of reliabilit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s, 33, 613-619. http://dx.doi.org/10.1177/001316447303300309
Kim, E. S., Ahn, Y. H., Ko, I. S., Lee, K. O., & Ko, J. S. (2008). Planning and development of guide for medical aid case management services.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Institute of Nursing Policy.
Lee, E. O., Im, N. Y., & Park, H. A. (1998). Statistical analysis and nursing medical research. Seoul: Soomoons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Guide for medical aid program in 2009. Seoul: Author.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2011). Guide for medical aid program in 2011. Seoul: Author.
Nunally.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Y: McGraw-Hill.
Polit, D. F., & Beck, C. T. (2008).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8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a Wolters Kluwer Business.
Shin, Y. S., Shin, H. W., & Hwang, D. K. (2007). Case management and its the effectiveness in Korean Medicaid.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hin, Y. S. (2010). Direction to go for medical aid.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67, 28-3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