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 방지를 통한 탄소배출감축 프로그램 이행의 기저선 접근법 연구
A Study of Baseline Approach for Implementing Program of Reduced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4, 2012년, pp.484 - 497  

박홍철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산림분야를 통해 탄소배출량을 줄이고자하는 노력으로 신규 및 재조림이 주를 이루던 산림정책 패러다임이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방지를 통한 탄소배출감축(REDD) 활동에 대한 관심으로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REDD 이행 성과 가시화를 위한 단계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16개 시도단위별 산림환경여건을 분류하고, 국제적으로 주요하게 사용되는 6가지 기저선 접근법을 적용하여 국가단위 REDD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최적 기저선 접근법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으로 HFLD에 대한 탄소배출권 획득량이 낮았으며, 이에 반해 LFMD, LFHD에 대한 획득량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HFLD 지역은 산지전용을 통한 개발이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REDD 이행 기제에 대한 참여 유인이 부족하게 된다. 모든 유형의 산림여건에서 REDD에 대한 참여를 높이기 위한 유인성과 적은 노력으로 많은 양의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실제성이 모두 적절하게 만족스러운 기저선 접근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실제성과 유인성 평가시 Corridor Approach 접근법 선택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적용시 발생하는 이익분배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형 Corridor Approach 접근법을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the primary concern of the forest policy paradigm, which has been mostly focusing on reducing emissions by the effort of af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is moving to the REDD activities that are operated by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In response, the phased studies is going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림전용율과 산림율을 바탕으로 국내 시도단위별 산림환경여건을 유형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적으로 주요하게 사용되는 6가지 기저선 접근법을 적용하여 유형 및 접근법별 탄소배출권 발행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적용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접근법을 선별한 후 국내 실정에 적합하게 산정식을 변형해 한국형 최적 기저선 접근법을 개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본 연구는 산림전용율과 산림율을 바탕으로 국내 시도단위별 산림환경여건을 유형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적으로 주요하게 사용되는 6가지 기저선 접근법을 적용하여 유형 및 접근법별 탄소배출권 발행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적용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접근법을 선별한 후 국내 실정에 적합하게 산정식을 변형해 한국형 최적 기저선 접근법을 개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가설 설정

  • 단, 국내 지역별 탄소고정량을 산정하기 위해 사용된 자료는 임상별 현황으로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위에서 열거한 줄기밀도, 바이오매스확장계수, 뿌리-지상부 비율, 탄소전환계수는 임상별 값이 아닌 주요 수종별 값으로 개발되어 이를 임상별로 적용하기 곤란한 부분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작성한 국가 온실가스 보고서의 산림탄소산정에 사용된 방법(KFRI, 2011)에 준하여 Table 3과 같이 침엽수 8종, 활엽수 4종의 평균한 값을 적용하였으며, 혼효림의 경우 침엽수와 활엽수를 반분한다는 가정 하에 평균한 값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Table 3의 값을 기준으로 산정한 탄소고정량은 각각의 접근법별 비교를 위해 기준 값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정확성에 대한 불확도가 존재하며, 일관성 있는 전국단위의 주요 수종별 현황자료가 부재하여 발생하는 연구의 한계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토의정서가 채택된 연도는? 1997년 UNFCCC COP(Conference of the Parties) 3에서 교토의정서가 채택되면서 국제사회에서 산림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후 2007년 UNFCCC COP13에서 발리행동계획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REDD 즉,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 방지로부터의 탄소배출감축(Reduced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이 포스트-교토 체제의 기후변화협약 의제로 결정된다.
REDD+파트너십 장관급 회의의 개최는 무엇을 방증하고 있는가?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 개발도상국의 REDD를 위한 국제적 관심을 촉진하기 위해 REDD+파트너십 장관급 회의가 열렸다. 이는 REDD 활동을 통해 배출량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으로 신규·재조림이 주를 이루던 산림정책 패러다임이 변해가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개발을 위한 산림전용 및 황폐화로 인해 수많은 산림이 파괴되고 있으며, 2010년 총 23,072건으로 11,851ha의 산림이 파괴되고 있는 상황(Korea Forest Service, 2011)이므로 REDD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REDD 이행 기제는 무엇이 중요한가? REDD 이행 기제는 배출감축량 측정을 위한 구체적 기준 설정이 중요하며, 측정방법에 대한 객관적 정의가 있어야 한다. 이때 기저선(Baseline)과 적용 규모가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이 중 기저선에 대한 접근법 설정이 REDD 이행 기제에 의한 배출감축량을 결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attaneo, A.(2008) A stock­flow mechanism to reduce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Workshop on policy approaches and positive incentives on issues relating to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September, pp. 2-7. 

  2. Bae, J.S. and K.K. Bae(2009) Assessment of the Potential Carbon Credits from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Enhancement of Forest Carbon Stock Activ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Jour. Korean For. Soc. 98(3): 263-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limate Protection Programme(2006)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 potential policy approaches and positive incentives. pp. 16-20. 

  4. da Fonseca, G.A.B., C.M. Rodriguez, G. Midgley, J. Busch, L. Hannah and R.A. Mittermeier(2007) No forest left behind. PLoS Biology 5(8): 1,645-1,646. 

  5. Everitt, B.(1980) Cluster Analysis. Quality and Quantity 14 (1): 75-100. 

  6. Griscom, B., D. Shoch, B. Stanley, R. Cortez, N. Virgilio(2009) Implication of REDD baseline methods for different country circumstances during an initial performance period. 

  7. Joanneum Research,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Woods Hole Research Center, and the Instituto de Pesquisa Ambiental da Amazonia(2006)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potential policy approaches and positive incentives. UNFCCC/SBSTA/2006/L.25. 

  8. KFRI(2011) Carbon emission factor for forest GHGs inventory. pp. 33-40. (in Korean) 

  9. Korea Forest Service(2009) Climate change and Forest. pp. 87-98. (in Korean) 

  10. Korea Forest Service(2011) Th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1. pp. 166-167. (in Korean) 

  11. KREI(2010) Understanding of the UNFCCC REDD+ Mechanism and Prospect of REDD+ Negotiations. pp. 9-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ischner, B. and P. Elsasser(2010) Reference emission level for REDD : Implications of four different approaches applied to past period's forest area development in 84 countries. vTI Agriculture and Forestry Research 3(60): 119-130. 

  13. Mollicone, D., F. Achard, S. Federici, H. D. Eva, G. Grassi, A. Belward, F. Raes, G. Seufert, H. Stibig, G. Matteucci, E. Schulze(2007) An incentive mechanism for reducing emissions from conversion of intact and non-intact forests. Clim Change 83(4): 477-493. 

  14. Parker, C., A. Mitchell, M. Trivedi and N. Mardas(2009) The little REDD+ book : an updated guide to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proposals for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degradation. Oxford, Global Canopy Programme, pp. 60-70. 

  15. Peck, K.Y.(2010) Thoughts for REDD moving forward. Symposium on the Out-look if REDD+ and Strategy by Countries at University of Chungnam, KGPA, Korea, December 16, pp. 8-13. 

  16. Santilli, M., P. Moutinho, S. Schwartzman, D. Nepstad, L. Curran and C. Nobre(2005) Tropical deforestation and the Kyoto Protocol. Climate Change 71(3): 267-276. 

  17. Strassburg, B., R.K. Turner, B. Fisher, R. Schaeffer and A. Lovett(2008) An Empirically-Derived Mechanism of Combined Incentives to Reduce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CSERGE Working Paper ECM 08-01. 

  18. UNFCCC(1998) Kyoto Protocol(online). http://unfccc.int/kyoto_ protocol/items/2830.php. 

  19. Ward, J. H., Jr.(1963) Hierarchical Grouping to Optimize an Objective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48: 236-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