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REDD+ 프로그램 이행 적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the Suitable Sites to Implement REDD+ Program and Plan of Activation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2, 2014년, pp.171 - 181  

박홍철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의 16개 시 도 지역을 대상으로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 방지를 위한 REDD+ 프로그램 이행 적지를 도출하고, REDD+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Forest Carbon Index 개념을 활용하여 비용 대비 잠재이익, 거래 가능한 탄소배출권 발행량 등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16개 시 도 지역 중 경기도,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강원도가 5위 안에 포함되었다. 최적지로 도출된 경기도의 경우, 현재까지의 산림전용 감축면적이 높아 탄소배출 감축량이 16개 대상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이행에 따른 잠재 이익도 높은 편에 속하였다. 나아가 적지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 내 REDD+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4가지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vent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and vitalize REDD+ program through suitable site analysis at the 16 districts of South Korea. For this, we worked out profit potential, opportunity cost, carbon credits through making it use of conception of the Forest Carbo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REDD+ 프로그램을 객관적 경제원리에 입각한 사업성 판단에 집중하기보다, 국가정책 차원에서 투입되는 비용 대비기후변화 대응 차원의 이익을 비교·분석하여 정책적 효용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판별하는데 집중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별 탄소배출권 발행의 형평성 구조와 불리한 산림여건 지역에 대한 참여요인 구조를 갖출 수 있는 기저선 접근법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산림여건에 적합한 REDD+ 기저선 접근법에 대한 선행연구가 Park and Oh(2012)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해당 연구에서 개발된 기저선 접근법인 MCAK (Modified Corridor Approach for Korea) 접근법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REDD+ 프로그램은 산림전용 및 황폐화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활동과 공익적 차원의 산림보전 활동이 주요하게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기반 사업을 의미하며, 비영리 목적의 정책사업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는 수익성과 재정지원, 탄소거래 등은 REDD+ 프로그램의 참여유인과 지속성 확보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수단으로서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REDD+ 프로그램을 객관적 경제원리에 입각한 사업성 판단에 집중하기보다, 국가정책 차원에서 투입되는 비용 대비기후변화 대응 차원의 이익을 비교·분석하여 정책적 효용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판별하는데 집중하였다.
  • 본 연구는 잠재적 이익 평가를 위해 REDD+ 프로그램 이행에 따른 잠재이익과 잠재비용을 고려하였다. 잠재이익은 발생되는 탄소배출권의 거래이익을 기준하였고, 잠재비용은 보전에 따른 기회비용, REDD+ 프로그램 이행비용, 배출권 거래시장에서의 거래비용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의 16개 시·도지역별 REDD+ 프로그램 이행을 위한 지역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며, REDD+ 프로그램의 제도적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잠재적 이익 평가를 위해 REDD+ 프로그램 이행에 따른 잠재이익과 잠재비용을 고려하였다. 잠재이익은 발생되는 탄소배출권의 거래이익을 기준하였고, 잠재비용은 보전에 따른 기회비용, REDD+ 프로그램 이행비용, 배출권 거래시장에서의 거래비용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또한 REDD+ 프로그램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준과 고려사항들을 지표화화고, 이를 평가함으로써 한국의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 방지를 위한 REDD+ 프로그램 이행 적지를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대상지별 기회비용을 기준으로 잠재 이익을 도출하고 산림전용 면적을 기준으로 탄소배출권 발행량을 도출하여 16개 대상지에 대한 최종 평가를 진행하였다. 잠재 이익과 탄소배출권 발행량의 중요도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평가된 수치를 상대화하여 잠재 이익과 탄소배출권 발행량간의 비교가 가능하며, 각 대상지별 격차를 보기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0점부터 100점 분포로 점수화하여 표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EDD+ 프로그램 이행 적지와 활성화 방안 연구 결과 탄소배출 감축량이 가장 큰 지역은? 이를 위해 Forest Carbon Index 개념을 활용하여 비용 대비 잠재이익, 거래 가능한 탄소배출권 발행량 등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16개 시 도 지역 중 경기도,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강원도가 5위 안에 포함되었다. 최적지로 도출된 경기도의 경우, 현재까지의 산림전용 감축면적이 높아 탄소배출 감축량이 16개 대상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은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졌나요? 이러한 논란 속에서도 기후변화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과 걱정은 전 세계적으로 쉽게 사라지지 않았으며, 지속적인 지구촌의 불안과 걱정은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기후변화협약(UNFCCC)의 체결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정식 명칭인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은 지구의 기후시스템을 위협하는 온실가스의 농도 안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규제문제, 재정지원, 기술이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09).
산림탄소상쇄 표준에 따른 비규제(자발적) 시장의 종류는? 특히 세계 최대 배출권 시장인 유럽 배출권거래제도 (EU ETS)는 산림 및 토지이용 부문(AFOLU; 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 Use)의 배출권 거래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VCS (Verified Carbon Standard), CFS (Carbon Fix Standard), CAR (Climate Action Reserve), J-VER (Japanese Verified Emission Reduction) 등 다양한 산림탄소상쇄 표준에 따른 비규제(자발적) 시장이 형성되었다. 이들 비규제 시장은 산림을 통한 배출권의 검·인증 과정을 간소화하고, 절차 및 배출권 인정범위를 확대함으로써 규제시장에서 거래될 수 없는 다양한 배출권의 거래를 수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J.S. and K.K. Bae(2009) Assessment of the potential carbon credits from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enhancement of forest carbon stock activ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Jour. Korean For. Soc. 98(3): 263-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ellassen, V. and V. Gitz(2008)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degradation in Cameroon-assessing costs and benefits. Ecological Economics 68(1-2): 336-344. 

  3. CCFM(2009) A Framework for Forest Management Offset Protocols. Canadian Council of Forest Ministers, 142pp. 

  4. Cha, J.H., J.H. Lee, K.J. Han, J.S. Bae, M.H. Seol and R.W. Joo(2012) Research on the solution of non-permanence problem of forest carbon offset project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buffer system. Jour. Korean For. Soc. 101(1): 83-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a Fonseca, G.A.B., CM. Rodriguez, G. Midgley, J. Busch, L. Hannah and R.A. Mittermeier(2007) No forest left behind. PLoS Biol. 5(8): pp. 1645-1646. 

  6. Deveny, A., J. Nackoney and N. Purvis(2009) Forest Carbon Index. Climate Advisers and Resources for the Future. Washington, 80pp. 

  7. Ebeling, J. and A. Vallejo(2011) Building Forest Carbon Projects - Step-by-step Overview and Guide. DC: Forest Trends, 67pp. 

  8. Ebeling, J. and M. Yasue.(2008) Generating carbon finance through avoided deforestation and its potential to create climatic, conservation and human development benefit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 363(1498): 1917-1924. 

  9. Global Canopy Programme, Amazon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Fauna and Flora International, and UNEP Finance Initiative(2014) Stimulating Interim Demand for REDD+ Emission Reductions: The Need for a Strategic Intervention from 2015 to 2020. A Report of the Interim Forest Finance(IFF) Project, Rep. Global Canopy Programme, Oxford UK, 48pp. 

  10. Griscom, B., D. Shoch, B. Stanley, R. Cortez and N. Virgilio(2009) Implication of REDD+ Baseline Methods for Different Country Circumstances during an Initial Performance Period. The Nature Conservancy, 35pp. 

  11. Harris, N.L., S. Petrova, F. Stolle and S. Brown(2008) Identifying Optimal Areas for REDD+ Intervention: East Kalimantan, Indonesia as a Case Study.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3(3): 035006, 11pp. 

  12. IPCC(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996pp. 

  13. Kim, Y.K.(2013)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iered-approach to Integrate Biodiversity Safeguards into REDD++ Design and Implementation. Ph. 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2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ndermann, G., M. Obersteiner, B. Sohngen, J. Sathaye, K. Andrasko, E. Rametsteiner, B. Schlamadinger, S. Wunder and R. Beach(2008) Global cost estimates of reducing carbon emissions through avoided deforest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5(30): 10302-10307. 

  15. Kong, W.S.(2005) Environment and ecosystem of North Korean mountai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pp. 53-55. (in Korean) 

  16. Korea Forest Service(2009) Climate Change and Forest. Korea Forest Service, pp. 87-98.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2011) Th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1. Korea Forest Service, pp. 166-167. (in Korean) 

  18. KREI(2010) Understanding of the UNFCCC REDD+ Mechanism and Prospect of REDD+ Negotiation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H.C. and C.H. Oh(2012) A study of baseline approach for implementing program of reduced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in South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6(4): 484-4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K.S., S.Y. Lee and S.Y. Park(2011) A study on the basic directions for forest rehabilitation programs considering to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North Korea. Jour. Korean For. Soc. 100(3): 423-4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eck, K.Y.(2010) Thoughts for REDD+ moving forward. Symposium on the Out-look if REDD+ and Strategy by Countries at University of Chungnam, KGPA, Korea, December 16, pp. 8-13. (in Korean) 

  22. REDD+SES(2012) REDD+ Social and Environmental Standards Version 2. Rep. Redd-standard, Washington DC, USA, 27pp. 

  23. Stern, N.(2006) Stern Review: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662pp. 

  24. UNEP and UNCBD(2011) REDD-plus and Biodiversity. Secretariat for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68pp. 

  25. UNFCCC(2006)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Potential Policy Approaches and Positive Incentives. Submission to the UNFCCC/SBSTA, UNFCCC/SBSTA/2006/L.25 ; Joint Submission by Joanneum Research,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Woods Hole Research Center, Instituto de Pesquisa Ambiental da Amazonia, 20pp. 

  26. UNFCCC (2013) FCCC/CP/2013/Add.1, Report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on its Nineteenth Session, Held at Warsaw from 11 to 23 November 2013. 

  27. White, D. and P. Minang(2011) Estimating the Opportunity Costs of REDD+. World Bank Institute. Washington, 262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