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 품종 및 부위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yrus serotina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Part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5 no.4, 2012년, pp.498 - 503  

진영욱 (순천대학교 원예학과) ,  송원섭 (순천대학교 한.중청장고원야생화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한국 배 5 품종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원황, 선황, 황금배, 추황, 신고 등 5 품종 배의 페놀성 물질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신고와 추황에서 가장 많았으며,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은 원황, 선황에서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신고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육보다는 과피 부분에서 더 양호한 반응을 보였고, 에탄올 용매 추출보다 메탄올 용매 추출시 더욱 좋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원황과 추황에서 가장 좋은 반응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에서와 같이 메탄올 용매 추출이 에탄올 용매 추출보다 더 좋은 반응을 보였다. 또한 과육 보다는 과피에서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pH의 범위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은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생리활성이 높은 일부 한국 배 품종은 향후 천연기능성 식품과 미용소재로 개발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5 cultivars of Korean pears cultivated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phenolic substance of 5 cultivars, such as Wonwhang, Sunwhang, Whangkeumbae, Chuwhang, and Shingo, the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다양한 배 품종 가운데 우수한 생리활성을 지닌 품종을 선발하여 식품, 건강소재 및 미용소재로 개발하고자 배의 페놀성 물질과 항산화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한국 배 5 품종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원황, 선황, 황금배, 추황, 신고 등 5 품종 배의 페놀성 물질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신고와 추황에서 가장 많았으며,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은 원황, 선황에서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의 기능은 무엇인가? 이러한 배에는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인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Lee et al., 1975) 배의 과육과 과피 등에는 폴리페놀 물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서 항암, 항염, 항산화 등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Hasimoto et al.,1989; Jangaard, 1970; Okuda et al.
DPPH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은 한국 배의 품종은 무엇인가? DPPH radical 소거능은 신고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육 보다는 과피 부분에서 더 양호한 반응을 보였고, 에탄올 용매 추출보다 메탄올 용매 추출시 더욱 좋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배의 어느 부위가 더 좋은 반응을 보였는가? 아질산염 소거능은 원황과 추황에서 가장 좋은 반응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에서와 같이 메탄올 용매 추출이 에탄올 용매 추출보다 더 좋은 반응을 보였다. 또한 과육 보다는 과피에서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pH의 범위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은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생리활성이 높은 일부 한국 배 품종은 향후 천연기능성 식품과 미용소재로 개발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B.J., J.T. Lee, J.H. Gwag, J.M. Park, J.Y. Lee, J.H. Shom, J.H. Bae and C. Chung. 2004. Biological activity of polyphenol group fraction from Korean pear peel. J. Kor. Soc. Appl. Bio. Chem. 47:92-95. 

  2. Boo, H.O., J.S. Shin, S.J. Hwang, C.S. Bae and S.H. Park. 2012. Antimicrobial effec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having natural plant pigments. Korean J. Plant Res. 25(1): 80-88. 

  3. Choi, H.J., J.H. Park, H.S. Han, J.H. Son and C. Choi. 2004.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Korean pear on ligid metabolism. J. Kor. Soc. Food Sci. Nutr. 33:299-304. 

  4. Choi, J.H., E.Y. Lee, J.S. Kim, G.B. Choi, S.G. Jung, Y.S. Ham, D.C. Seo and J.S. Heo. 2006. Physiological activities according to cultivars and parts of Ulsan pear.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1), 43-48. 

  5. Choi, H.J., H.S. Han, J.H. Park, J.H. Park, J.H Bae, H.S. Woo, B.J. An, M.J. Bae, H.G. Kim and C. Choi. 2003.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Korean pear on immunofuntional activity. Kor. J. Food cult. 18:303-310. 

  6. Choi, H.S., X. Li, W.S Kim and Y. Lee. 2010 Comparison of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compound of Niitaka' pear trees grown in the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managed systems. Korean J. Enriron Agric. 29(4):367-373. 

  7. Choi, J.H., E.Y. Lee, J.S. Kim, G.B. Choi, S.G. Jung, Y.S. Han, D.C. Seo and J.S. Hea. 2006. Physiological activities according to cultivars and parts of Ulsan pear. J. Kor. Soc. Appl. Biol. Chem 49:43-48. 

  8. Chung, H.A .and S.J. Yoon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according to serial solvent fractio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6):1092-1096. 

  9. Ha, M.H., W.P. Park, S.C. Lee, H.J. Heo and S.H. Cho. 2007. Antimicrobial characteristic of methanolic extracts from Prunus mume against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 J. Food Sci. Technol.14(2):183-187. 

  10. Halliwell, B. 1997.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 a general introduction. Nut. Rev. 55:267-277. 

  11. Hasimoto, F., G.I. Nonaka and I. Nishioka. 1989. Tannins and related compound from Oulog tea. Chem. Pharm. Bull. 37:3255-3263. 

  12. Heo, J.C., K.Y. Lee, B.G. Lee, S.Y. Choi, S.H. Lee and S.H. Lee. 2010. Anti-allergic activities of ultra-fine powder from persimmon. Kor. J. Food Preserv. 17:145-150. 

  13. Jangaard, N.O. 1970. Thin-layer chromatography of some plant phenolics. J. Chromat. 50:146-148. 

  14. Jang, J.K. and J.Y. Han.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4(3):524-528. 

  15. Ji, L.L. 1996. Exercise,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Am. J. Sports Med. 24 (6 Suppl.):520-524. 

  16. Kato, H., I..E. Lee, N.V. Chuyen, S.B. Kim and F. Hayase. 1987. Inhibition of nu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1333-1338. 

  17. Kim, E.Y., I.H. Baik, J.H. Kim, S.R. Kim and M.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6:333-338. 

  18. Kim, H.S., K.M. Ku, J.K. Suh and Y.H. Kang. 2009.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hepatoma cell of oriental melon extract. J. Bio-Environm. Cont. 18:448-453. 

  19. Lee, D.S., S.k. Woo and C.B. Yang. 1975.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fruits in Korea. Kor. J. Food Sci. Teehnol. 4:123-139. 

  20. Lee, C.H., S.L. Shin, N.R. Kim and J.K. Hwang. 2011. Comparison of antioxdant effects of different Korean pear species. Korean J. Plant Res. 24(2):253-259. 

  21. Lee, Y.J. and J.P. Han. 2000. Antioxidantive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extract from ulmus devidian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893-899. 

  22. Moon, J.W., Chen. Zhi and W.S. Song. 2011. Antitussive effect of Fritillaria unibracteata Hsiano et K. C. Hsia. Korean J. Plant Res. 24(6):729-732. 

  23. Okuda T., T. Yoshida and M.Ashida. 1981. Tannins of medicainal plants and drugs. Hetero Cycles 16:1618-1622. 

  24. Park, S.J. and D.H. Oh. 2003. Free radical scaven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121-124. 

  25. Park, W.P., S.C. Lee, S.Y. Kim, S.C. Choi, H.J. Heo and S.H. Cho. 2008. Separation and in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Prunus mume extract. Kor. J. Food Sci. Technol. 15(6):878-883. 

  26. Park, J.H., J.A. Kwon, Y.J. Yang, H.S. Han, M.W. Han, Y.I. Lee, I.S. Kim, J.I. Lee and S.C. Kang. 2011.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fruit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Korean J. Plant Res. 24(4):337-242. 

  27. Park, K.J., W.S. Song, Mohammad Nazrul Islam, J.I. Lee and Y.S. Kim. 2011. Effects of mechanochemical pretreatment on the extraction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Houttuynia cordata. Korean J. Plant Res. 24(3):309-313. 

  28. Song, W.S., K.J. Park and E.S. Choung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pretreated by mechanochemical technology. Korean J. Plant Res. 24(3):314-318. 

  29. Yu, T.J. 1989. The food guide. Munundang, Seoul, Korea. p. 166. 

  30. Zhang, Y.B., H.J. Choi, H.S. Han, J.H. Park, J.H. Son, J.H. Bae, T.S. Seung, B.J. An, H.G. Kim and C. Choi. 2003.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ol isolated from Korean pear. Kor. J. food Sci. Technol. 35:969-967. 

  31. Zhang, Y.B., M.J. Bae, B.J. Ahn, H.J. Choi, J.H. Bae, S. Kim and C. Choi. 2003.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 in quality of chemical composition and polyphenol compound during long-term stroage. Kor. J. Food Sci. Technol. 35(1):115-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