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노인의 근력, 일상생활동작, 건강지각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Muscle Streng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 Perception, and Depression in Post-stroke Elde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3, 2012년, pp.317 - 326  

김기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권보은 (서울여자 간호대학) ,  허혜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노영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신명진 (상애원 의료재활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muscle streng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health perception, and depression among post-stroke elders. Method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ith pretest and posttest was used. A total of 23 pos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력 측정과 자료수집은 노인 간호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이 담당하였다. 근력은 연구보조원 2명이 측정하였는데, 이를 위해 편마비 환자 1명을 대상으로 연구보조원 2명간의 상호 근력 측정 실습을 통해 합의도가 100%가 될 때까지 반복 측정함으로써 측정자 간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일상생활동작은 연구보조원 1명이 Barthel Index를 이용하여 면접과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Barthel Index의 각 항목별 점수기준표와 점수 산정근거를 중심으로 사전교육을 실시하였다.
  • , 2007), 국내 연구는 소수이므로 뇌졸중환자의 운동재활을 위한 근거기반 마련을 위해서는 이 영역에서의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노인에게 적용한 근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이 근력, 일상생활동작, 건강지각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만성 뇌졸중 노인들이 질병과 관련되어 낙상의 두려움과 손 상 받은 부분의 관절을 움직이지 않음으로 인해 관절구축과 근육위축이 초래되어 신체기능저하는 물론 뇌졸중 재발의 가능성이 높음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노인의 관절운동 및 근육의 움직임을 자극하고 친숙한 음악적 리듬을 활용하여 보다 긍정적인 운동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노인에게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신체적, 심리적 기능상태를 향상시키고자 시도된 것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근력강화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만성 뇌졸중 노인의 근력, 일상생활동작, 건강지각 및 우울 에 있어 프로그램 적용 전 ․ 후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노인에게 적용한 12주간의 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이 근력, 일상생활동작, 건강지각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주당 3회, 회당 30~40분, 12주간의 근력강화운 동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노인의 근력, 일상생활동작, 건강 지각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된 운동 프로그램은 만성뇌졸중 노 인의 우측 상하지 근력향상, 건강지각 증가와 우울 감소에 긍 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 먼저 훈련된 간호사 2인이 직접 시범을 보여 각 운동을 따라하게 하 였으며, 매 회 프로그램에서도 1인의 연구보조원이 앞에서 시 범을 보이면서 운동 프로그램 진행을 주도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중에는 항상 1인의 연구보조원이 대상자에게 흉통, 숨가쁨, 심계항진 등 운동으로 인한 심근허혈 증상 등의 발생 여부 를 체크하고 운동 중 대상자의 안전을 위해 함께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3.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건강지각 점수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근력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우울 점수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일상생활동작 점수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은 어떻게 근력을 강화하는가?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은 밴드가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을 함으로써 근육의 힘을 발휘하게 되고 근육의 운동단위 활성화가 증가되어 근력이 강화된다(Kim, 2009). 또한 이러한 근력의 향상은 상하지 근력의 통합성이 요구되는 동작인 일상생활동작의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Han et al.
국민건강영양조사제 4기 3차년도 보고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뇌졸중 유병률은 어떠하였는가? 뇌졸중은 65세 이상 노인인구에 호발하는 주요 신경계질환 으로 ‘2009년 국민건강 통계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3차 년도’ 보고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뇌졸중 유병률은 5.1% 였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뇌졸중은 언어 장애, 감각장애, 운동장애 등의 신체적 장애뿐만 아니라 우울과 재발에 대한 두려움 등의 심리 ․ 정서적 장애를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Kim & Koh, 2005; Shin, 2002).
노인들에게 근력이 강화되면 어떠한 긍정적 현상이 유발되는가?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은 밴드가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을 함으로써 근육의 힘을 발휘하게 되고 근육의 운동단위 활성화가 증가되어 근력이 강화된다(Kim, 2009). 또한 이러한 근력의 향상은 상하지 근력의 통합성이 요구되는 동작인 일상생활동작의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Han et al., 2007; Macko et al., 2008; Youn, 2004), 근력 향상 및 신체적 기능상태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어 스스로의 건강상태를 좋다고 지각하게 되고, 집단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 간의 상호교류로 인한 사회적 지지로 우울 감소와 긍정적 정서를 유발 할 수 있다(Jeong & Kim, 2007; Macko et al., 2008; Stuar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auraugh, J. H., Lodha, N., Naik, S. K., & Summers, J. J. (2010). Bilateral movement training and stroke motor recovery progress: A structured review and meta-analysis. Human Movement Science, 29, 853-870. 

  2. Cho, M. J., & Kim, K. H.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 381-399. 

  3. Choi, J. G., Kim, Y. J., Moon, S. J., Lee, Y. J., Kim, J. H., Lee, E. H., et al. (2008).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ambulation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Exercise Science, 17 (3), 269-278. 

  4. Chon, K. K., Choi, S. C., & Yang, B. C.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 (1), 59-76.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New Jersy: Lawrence Erlbaum. 

  6. Han, S. S., Her, J. J., & Kim, Y. J. (2007).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using a Thera Band on lower limb function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844-854. 

  7. Hyung, E. J., Ro, H. L., & Lee, D. H. (2010). Effects of the trunk muscle strength training on balance and daily living activity in individual with hemiplegia.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8, 111-122. 

  8. Jeong, S., & Kim, M. T. (2007). Effects of a theory-driven music and movement program for stroke survivors in a community setting. Applied Nursing Research, 20 (3), 125-131. 

  9. Johnson, G., Otto, D., & Clair, A. A. (2001). The effect of instrumental and vocal music on adherence to a physical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with persons who are elderly. Journal of Music Therapy, 38 (2), 82-96. 

  10. Kim, H. S., & Kim, N. J. (2003). The effect of rubber-band exercise on daily living fitness among stroke patient.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2, 649-655. 

  11. Kim, K. H. (2001). A study of musicial preferences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2. Kim, N. J. (2009). The effects of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on myoelectrical activity in stroke induced patients with different paralytic period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7, 1315-1324. 

  13. Kim, S. J., & Koh, I. J. (2005). The effects of music on pain perception of stroke patients during upper extremity joint exercises. Journal of Music Therapy, 42 (1), 81-92. 

  14. Kim, Y. H. (2010). The effect of thera-band and treadmill training on the daily physical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of hemiplegia.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8 (3), 155-167. 

  15. Kwon, B. E. (2003). A development of nursing outcome indicators for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5, 88-93. 

  16. Macko, R. F., Benvenuti, F., Stanhope, S., Macellari, V., Taviani, A., Nesi, B., et al. (2008). Adaptive physical activity improves mobilit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hemiparesi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 Development, 45, 323-328. 

  17. Malcolm, M. P., Massie, C., & Thaut, M. (2009). Rhythmic auditory- motor entrainment improves hemiparetic arm kinematics during reaching movements: A pilot study.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6 (1), 69-79.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0). 2009 national health statistics- 4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Third Year. Retrieved January 9, 2012,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b site: http:// knhanes.cdc.go.kr/ 

  19. Prassas, S., Thaut, M., McIntosh, G., & Rice, R. (1997). Effect of auditory rhythmic cuing on gait kinematic parameters of stroke patients. Gait and Posture, 6, 218-223. 

  20. Sacco, R. L., Adams, R., Albers, G., Alberts, M. J., Benavente, O., Furie, K., et al. (2006).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stroke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Council on Stroke: Co-sponsored by the Council on Cardiovascular Radiology and Intervention: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ffirms the value of this guideline. Circulation, 113 (10), e409-e449. 

  21. Shin, J. B. (2002). Post-stroke Compli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 13-22. 

  22. Stuart, M., Benvenuti, F., Macko, R. Taviani, A., Segenni, L., Mayer, F., et al. (2009). Community-based adaptive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chronic stroke: Feasibility, safety, and efficacy of the empoli mode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3, 726-734. 

  23. Studenski, S., Duncan, P. W., Perera, S., Reker, D., Lai, S. M., & Richards, L. (2005). Daily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rapeutic exercise for subacute stroke survivors. Stroke, 36, 1764-1770. 

  24. Tseng, C. N., Chen, C. C., Wu, S. C., & Lin, L. C. (2007). Effects of a range-of-motion exercise programm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7, 181-191. 

  25. van de Port, I. G., Wood-Dauphinee, S., Lindeman, E., & Kwakkel,G. (2007).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programs on walking competenc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6, 935-951. 

  26.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Troch, M., Herregodts, I., Lafosse, C., et al. (2006).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ical Rehabilitation, 20, 451-458. 

  27. Whitall, J., McCombe Waller, S., Silver, K. H., & Macko, R. F. (2000).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cueing improves motor function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Stroke, 31 (10), 2390-2395. 

  28. Yoo, S. H., Kong, S. A., & Lee, M. G. (2007). Effects of a 12-week Thera-band exercise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variables related to cardiovascular system in stroke patien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6, 447-457. 

  29. Youn, Y. S. (2004). The effectiveness of exercising unaffected upper extremity in operating electroacupunture after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30. Yun, H. D. (2006). The effects of isometric exercise and isotonic exercise using elastic band on strength, range of motion, standing balance for patient with chronic knee arthrit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