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4, 2012년, pp.370 - 379  

노소영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영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6 married immigrant women in Jeollanamdo,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1 and analyzed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며, 선행연구에서 우울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제시된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결혼생활만족도(Kim, 2011; Kim & Jung, 2011)를 재확인하여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들의 우울 예방과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농촌 거주 결혼 이주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결혼생활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증상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결혼생활만족도,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위 변수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우울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계획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2011년 전체 혼인건수 중 국제결혼 건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2011년 전체 혼인건수 중 국제결혼 건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10.5%에 이르는 총 34,235건으로 2009년보다 9백 건 증가하였다. 그 중 한국 남성이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경우가 26,274건으로 전년보다 4.
결혼목적의 입국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0%) 순으로 도시보다 농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tatistics Korea, 2011). 특히 전남은 결혼목적의 입국이 92.3%로 가장 많았으며, 읍 ․ 면 지역 88.4%로 동 지역 75.65%보다 높았으며, 결혼이주여성의 83.7%가 결혼목적으로 입국해 남성 결혼이민자의 31.7%보다 현저히 높았다(Kim et al., 2010).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은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한국의 농촌사회에서 국제결혼은 상업적 결혼중매업체를 통해 사전에 충분한 교류 없이 짧은 시간 내에 결혼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주여성들은 결혼 당시 한국사회나 남편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갖지 않았거나 왜곡된 정보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입국과 동시에 남편과 그 주변 환경을 볼 때 자신의 기대와 현저한 차이로 많은 충격을 경험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Yang et al., 2012). 농업의 특성상 일 년간의 노동이 투자 된 후에 수입이 발생하기 때문에 결혼이주여성은 실생활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고, 농촌에서 주부가 가사일뿐만 아니라 농사 일 돕기에도 노동인력으로 동원되기 때문에 다양한 역할 수행으로도 높은 스트레스를 예견 할 수 있다(Nam & Ah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J., & Park, H. (2010). Depress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American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 (1), 67-75. 

  2. Bhugra, D. (2004). Migration and mental health. Acta Psychiatrica Scandinavia, 109 (4), 243-258. 

  3. Chun, K. M., Choi, S. J., & Yang, B. C.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 (1), 59-76. 

  4. Fenta, H., Hyman, I., & Noh, S. (2004).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Ethiopian immigrants and refugees in Toronto.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2 (5), 363-372. 

  5. Han, J. H. (2011). Jeonnam,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Retrieved February 15, 2012, from http://www.herald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 

  6. Hoschl, C., Ruiz, P., Casas, M., Musalek, M., Gaebel, W., & Vavrusova, L. (2008). The impact of migration on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European Psychiatry, 23, S42. 

  7. Huang, Y. C., & Mathers, N. J. (2008). Postnatal depression and the experience of South Asian marriage migrant women in Taiwan: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5 (6), 924-931. 

  8. Hwang, J. Y., Lee, S. E., Kim, S. H., Chung, H. W., & Kim, W. Y. (2010). Psychological distress is associated with inadequate dietary intake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10 (5), 779-785. 

  9. Kim, H. S. (2011). Impacts of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n depressio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Daegu and Kyungpook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 (2), 188-18. 

  10. Kim, H. S., & Jung, Y. M. (2011).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 (5B), 2417-2432. 

  11. Kim, K. H., Lee, E. K., & Kim, J. S. (2011). Cogni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 (6B), 3049-3058. 

  12. Kim, S. K., Kim, Y. K., Cho, E. J., Kim, H. R., Lee, H. K., Seol, D. H., et al. (2010). 2009 A study of national survey on the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Implications and polic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3. Kim, Y. P., Park, H. K., & Hwang, H. S. (2009). FACES III and family APGAR score of multicultural family marriage female migrant in Jeollanam-do provinc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 (3), 201-220. 

  14. Koh, S. K., & Rhee, Y. S. (2011).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hildcare teacher's cultural cap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 (4B), 2027-2038. 

  15. Kweon, G. Y., & Park, K. W. (2007).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wives. Social Research, 14, 187-219. 

  16. Kwon, B. S. (2009). The effects of Korean ability and self-esteem on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Focused on Vietnamese, Filipino, and Chinese women in Daegu.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1 (2), 5-32. 

  17. Lee, S. H. (2011). The status and perceptions of mental health in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8. Lee, Y. H., Shin, M. H., Kweon, S. S., Choi, S. W., Rhee, J. A., & Choi, J. S. (2008).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an urban community.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3 (3), 303- 315. 

  19. Lim, H. S. (2010).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in Korea: an examination of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5 (2), 27-45. 

  20. Lim, H. S. (2011).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in pregnancy and childbirth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7 (3), 243-255. 

  21. Nam, I. S., & Ahn, S. H. (2011). Comparison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married immigrant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 (2), 99-108. 

  22. Park, J. W. (1985).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3.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Measures, 1, 385-401. 

  24. Sandhu, S. D., & Asrabadi, R. B. (1994). Developn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preliminary findings. Psychological Reports, 75 (1), 435-448 

  25. Statistics Korea. (2011). Immigrant status (2010). Retrieved February 15, 2012, from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2819 

  26. Yang, J. H., Park, H. J., Kim, S. S., Kang, E. J., Byun, S. H., & Bang, J. S. (2012). Adaptation experience to family of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2, 36-47. 

  27. Yang, O. K., & Kim, Y. S. (2007). A study on the effects of depressiveness among foreign wives through marriage migr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26, 79-110. 

  28. Yang, S. M. (2006). Adjustment and an aspect of family life of the rural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focusing on the Chinese (Korea tribe), Japanese, and Philippine immigrant woman and their's husband. Journal of Rural Community, 6 (2), 151-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