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토구를 이용한 불안정한 표면에서 운동과 안정된 표면에서 운동 시 하지 근활성도와 균형의 비교
Comparision of the Muscle Activity and Balance of Lower Extremities in Exercise Using TOGU on the Unstable Surface and Stable Surface after Reconstruction of the ACL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3, 2012년, pp.251 - 258  

임창훈 (강릉영동대학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icient and basis for muscle activity of Quadriceps muscles and balance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patients through unstable surface exercise and stable surface exercise.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30 anterior cruciate lig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이유로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근력을 회복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신경적 되먹임을 향상시키고 체성감각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비교적 물리치료실에서 사용하기 쉽고 가격도 저렴한 기구인 TOGU를 이용하여 불안정한 표면을 만들어 체성감각을 입력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래서 불안정한 표면에서의 감각입력 근력운동이 체성감각을 고려하지 않은 고정된 표면에서 근력운동을 실시한 그룹과의 비교를 통해 하지근육 근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을 위한 운동적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정한 표면에서의 실험군과 고정된 표면에서의 대조군 간 하지의 근활성도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두 그룹간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근활성도가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실험군의 근활성도가 평균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균형능력의 경우에는 실험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대조군은 유의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앞십자인대 재건술을 실시한 환자의 재활과정에서 운동을 실시할 때 기존의 고정된 표면에서의 근력강화운동을 불안정한 표면에서 운동하였을 때 하지에서의 근활성도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ajors과 Woodfin(1996)은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근력운동을 조기에 실시해야만 이식건의 견고함과 주변 구조물과의 적응에 따른 해부학적 안정성이 조속히 이루어지고 점진적 체중부하, 등속성 근력운동을 단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4주간의 체성감각 운동이 기존의 근력운동과 비교했을 때 하지 근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앞십자인대 재건술 시행 후 결여된 고유수용성 감각을 활성화 하기 위해 TOGU를 이용하여 발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체성감각의 변화를 유도하여 불안정한 표면에서 운동한 실험군에서 고정된 표면에서 운동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총궤적거리(WVL)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 바닥의 변화가 주어지고 체성감각 운동이 고유수용성을 활성화 시켜 자세조절의 재획득과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릎관절의 안정성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다양한 상황에서 신체의 기능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허리와 무릎관절의 안정성이 우선되어야 하며, 약화가 있을 때는 강화시켜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Panjabi, 1992). 무릎관절의 안정성이란 중립지대(neutral zone)를 유지하는 안정화체계(stabilizing system)이며, 수동 하부체계(passive subsystem)과 능동 하부체계(active subsystem), 그리고 신경 하부체계(neural subsystem)가 서로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된다고 하였다(Marshall와 Murphy, 2005). 수동 하부체계는 대퇴골과, 반월판, 무릎관절, 관절낭, 인대들이며 이러한 조직은 관절가동범위의 끝에서 운동을 구조적으로 제한하여 손상방지를 한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이루는 세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무릎관절의 안정성이란 중립지대(neutral zone)를 유지하는 안정화체계(stabilizing system)이며, 수동 하부체계(passive subsystem)과 능동 하부체계(active subsystem), 그리고 신경 하부체계(neural subsystem)가 서로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된다고 하였다(Marshall와 Murphy, 2005). 수동 하부체계는 대퇴골과, 반월판, 무릎관절, 관절낭, 인대들이며 이러한 조직은 관절가동범위의 끝에서 운동을 구조적으로 제한하여 손상방지를 한다. 능동 하부체계는 무릎관절 주위의 근육과 건의 활동으로 생리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고 관절에 부하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며 국소근육(local muscle)의 활동으로 관절가동범위 중간범위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경 하부체계는 고유 수용성 감각이 중추신경계로 정확한 정보를 전달되는 신경적 안정화(neural stabilization)이다.
무릎관절이란 무엇인가? 무릎관절은 정적 및 동적 상황이 발생했을 때 몸통의 체중을 직접적으로 받으며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반발력에 대해 자세동요에 대해 골반과 발목을 준비시키는 관절이다(Aruin와 Latash, 1995). 다양한 상황에서 신체의 기능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허리와 무릎관절의 안정성이 우선되어야 하며, 약화가 있을 때는 강화시켜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Panjabi,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배영숙, 엄기매, 김난수. 발목관절의 고유수용성 운동이 여성노인의 자세정렬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 2009;21(3):53-9. 

  2. 조종현, 박원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슬관절 등 속성 변인의 특성. 대한스포츠학회지. 1999;17(1): 176-87. 

  3. 조우신, 설의상, 김민영 등.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스포츠 재활 운동의 효과.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005;23(3):241-5. 

  4. 채정병, 이문환. 체성감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공간적 보행요소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2010;5(4):587-96. 

  5. Arnold JA, Coker TP, Heaton LM et al. Natural history of anterior cruciate tears. Am J Sports Med. 1979;7(6):305-13. 

  6. Aruin AS, Latash ML. Directional specificity of postural muscles in feed-forward postural reactions during fast voluntary arm movements. Exp Brain Res. 1995;103(2):323-32. 

  7. Barrack RL, Buckley SL, Bruckner JD et al. Partial versus complete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The results of nonoperative treatment. J Bone Joint Surg Br. 1990;72(4)622-4. 

  8. Frank C. Natural history of untreated anterior cruciate tears. Clin J Sport Med. 1996;6(2):138. 

  9. Haim A, Pritsch T, Yosepov L et al.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Harefuah. 2006;145(3):208-14, 244-5. 

  10. Insall JN. Anotomy of the Knee. In Sursury of the Knee. P.l. Edited by Insall, J.N. 1984. 

  11. Janda V, Va Vrova M. Sensory motor stimulation. In: Liebenson, C.(ed.), Rehabilitation of the Spine.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6:319-28. 

  12. Kennedy JC, Alexander IJ, Hayes KC. Nerve supply of the human knee and its functional importance. Am J Sports Med. 1982;10(6):329-35. 

  13. Laurie LE. Neurosci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3th ed. New York. Elsevier Inc. 2008. 

  14. Lewit K. Disturbed balance due to lesions of the cranio-cervical junction. J Orthop Med. 2007;29 (3):91-4. 

  15. Majors RA, Woodfin B. Achieving full range of moti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m J Sports Med. 1996;24(3):350-5. 

  16. Marshall PW, Murphy BA. Core stability exercises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Rehabil. 2005;86(2):242-9. 

  17. Myer GD, Ford KR, Brent JL et al. The effects of plyometric vs. dynamic stabilization and balance training on power, balance, and landing force in female athletes. J Strength Cond Res. 2006;20(2): 345-53. 

  18. Panjabi MM.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I. Function, dysfunction, adaptation, and enhancement. J Spinal Disord. 1992;5(4):383-9; discussion 397. 

  19. Schubert M, Beck S, Taube W et al. Balance training and ballistic strength training are associated with task-specific corticospinal adaptations. Eur J Neurosci. 2008;27(8):2007-18. 

  20. Shumway-Cook A, Horak FB. Assessing the influence of sensory interaction of balance. Suggestion from the field. Phys Ther. 1986;66(10):1548-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