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버학습환경에서 학급공동체의식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a Sense of Classroom Community and Social Pres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in a Cyber Learning Sett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8, 2012년, pp.3436 - 3443  

김정겸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  조혜령 (대전현암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이버학습환경에서 학급공동체의식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광역시 M초등학교 6학년 사이버가정학습 학습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학급공동체의식,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급공동체의식과 사회적 실재감, 학습만족도 간에는 의의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학급공동체 의식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 사이버학습환경에서 학급공동체의식은 학습자의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변인임을 시사한다. 이에 향후 사이버학습환경을 구성할 때 학급공동체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수설계 전략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sense of classroom community and social pres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in a cyber learning sett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 sixth graders in M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D, who studied in a cyber setting at home. A surve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이버학습환경에서 학급공동체의식 및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그러므로 초등교육 환경에서도 이들 변인이 학습만족도와 관계가 있는가를 밝힐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사이버학습환경에서 이들 세 변인간의 간의 관계를 밝혀 향후 사이버학습환경에서의 교수설계 및 교수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사회로의 진입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새로운 학습방식으로 자리잡게 된 것은? 사이버학습은 정보사회로의 진입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새로운 학습방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최근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교육의 장을 확장 하고자 e-learning을 도입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e-learning 활성화 방안으로 정부 주도적인 학습 체제인 사이버가정학습을 실시하고 있다 [14].
사이버가정학습의 학생 측면의 만족도는? 하지만 이런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정부 주도로 실시한 사이버가정학습은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였으나 이용률이 10% 미만으로 저조하였고[25]. 사이버가정학습의 학생 측면의 만족도는 58.97로 보통 수준이며, 초등학생이 중고생보다 학력제고와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17]. 학습공동체의식을 가진 학생들과 교수자는 수업에서 공동의 관심을 가지게 되며 공통의 수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에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 Bush, M. D. Svinicki, M. S., & M. V. Achacoso, Developing classroom community: Defining dimensions of the Post-Secondary Classroom Community Scale. Manuscript under review. 2007. 

  2. D. Chapman, L. Ramondt, & G. Smiley, "Strong community, Deep learning: exploring the link".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42(3). pp. 217-230, 2005. 

  3. Eun Mi Cho, The Effect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The Ch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0. 

  4. C. Hostetter, & M. Busch, "Measuring up onl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student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6(2) pp. 1-12, 2006. 

  5. Ha Sung Hwang, "Development of Social Presence Measurement of Mediated Social Interaction: A Case Study of Instant Messaging",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7(2). pp. 529-561, 2007. 

  6. Young Joo Joo, Hye Ri Choi, Young Hee Lee, & You Kyeong Le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n-line task value, University support, Satisfaction, Learning persistence in Cyb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4(3), pp. 341-353, 2010. 

  7. Myung Hee Kang, & Min Jung Kim,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Presence,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e-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4), pp. 1-27, 2006. 

  8. Eun Ju Kim, & Sun Young Jung, "The Character Effect on the Sense of Social Presence in the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14(1). 73-98, 2008. 

  9. Jeong Kyoum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Perception of a Sense of Community an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Effectiveness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1). pp. 1-22, 2009. 

  10. Jong suk Kim,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e-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Inje University, 2007. 

  11. Jung Joo Kim,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Social Presence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Korea University, 2009. 

  12. Min Jeong Kim.,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Presence,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e-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The Ewha Womans University, 2005. 

  13. Myoung Sook Kim, & Min Jeong Kim, "The Impact of Sense of Classroom Community on Goal Orientation in Hybrid College Cours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1(4). pp. 1071-1092, 2007. 

  14. Sung Ho Kwon, Kyung Hee Kang, & Sun Hee Bhang, "An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in Elementary School - Focus o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12(4). pp. 105-130, 2006. 

  15. Sung Ho Kwon, In Ho Choe, Hyeon Ae Sim, Seung Jin Lee, Gyeong Hyeon Kim, & Sang Hyeon Jang, A Study on Establishing Cyber Home Learning System. RR 2003-12. Seoul : KERIS, 2003. 

  16. Sung Ho Kwon, Si Hyuk Leem, Jung Hoon Leem, June Lee, Sun Hee Park, Sang Hee Shin, Sang Hyun Jang, Bo Young Chae, & Jung Won Kim, An evaluation study of effectiveness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CR 2006-8. Seoul : KERIS, 2006. 

  17. Jong Yuen Lee, "An Analysis of Parent's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n Chungbuk-do Cyber Home Learning," CBNU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9(1), pp. 259-271, 2008. 

  18. D. W. McMillan & D. M. Chavis,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pp. 6-23, 1986. 

  19. L. A. Moller, D. Harvey, M. Downs, & V. Godshalk, "Identifying factors that effect learning community development and performance in a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The Quarte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1(4). pp. 293-305, 2010. 

  20. C. Nass & J. Steuer. "Voices, Boxes and Sources of Messages: Computers and Social Actor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9(4). pp. 504-527, 1993. 

  21. Sung Hee Park, & Jin A Chung., "Investigation of the Perceived Effectiveness and User Satisfaction with the Cyber Home-Learning System,"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3). pp. 59-87, 2007. 

  22. A. P. Rovai, "Building Sense of Community at a Distanc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3(1). pp. 84-99. 2002a. 

  23. A. P. Rovai,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lassroom community."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5(3). pp. 197-211. 2002b. 

  24. A. P. Rovai, "Sense of community, Perceived cognitive learning, and persistence in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5(4). pp. 319-332, 2002c. 

  25. Hyeon Jeong Shin, Analysis of Participation Hindrance Factors Cyber home study in Elementary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45th KSCI Summer Conference, 19(2). pp. 265-268, 2011. 

  26. J. Short, E. Williams, & B. Christie.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 London:Wiley. 1976. 

  27. Kyu Young Song, Factors Influencing on the Effect of the Cyber Home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7. 

  28. Sang Ho Song, Jeong Im Choi, Jung Hoon Leem, & June Lee, "A Study on the roles and support strategie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or facilitating e-Learning in K-12 settings,"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11(4). pp. 125-155, 2005. 

  29. C. H. Tu, & M. McIsaas, "The Relationship of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in Online Classes,"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6(3), 131-150,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