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급종합병원의 예측 제왕절개분만율과 실제 제왕절개분만율의 격차 관련요인
Factors on the Gap between Predicted Cesarean Section Rate and Real Cesarean Section Rate in Tertiary Hospital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8 no.3, 2012년, pp.200 - 208  

김윤미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김세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gap between predicted cesarean section rate and real cesarean section rate and it's determining factors of 44 tertiary hospitals. Method: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the data of 25,623 deliveries in 2009 drawn from homepage of Health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의 예측 제왕절개분만율, 실제 제왕절개분만율과 그 격차를 비교하고, 예측 제왕절개분만율과실제 제왕절개분만율의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44개 상급종합병원에서 2009년 출산한 산모 25,623명의 분만실적에 관한 2차 자료이며, 구체적으로 분만과 관련된 의료기관별 연간 총 분만건수, 예측 제왕절개분만율, 실제 제왕절개분만율, 제왕절개분만 평가 정보와 의료기관별 소재지, 설립유형, 병상수, 간호등급에 관한 정보가 분석되었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의 예측 제왕절개분만율과 실제 제왕절개분만율의 격차를 비교하고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간호등급이 1등급인 기관은 모두 제왕절개분만 평가등급에서도 1등급을 받았으며, 간호등급 1등급에 비해 간호사 확보수준이 낮아지는 간호등급 3등급, 4등급의 경우에 제왕절개분만 평가등급도 3등급 이하로 낮아 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의 예측 제왕절개분만율과 실제 제왕절개분만율의 격차와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예측 제왕절개분만율과 실제 제왕절개분만율의 격차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2차 자료를 이용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의 간호등급이 예측 제왕절개분만율과 실제 제왕절개분만율의 격차에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를 통해 국내에서 최초로 간호사 확보수준과 분만서비스의 질의 관련성을 객관적 자료로써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한편 의료기관들이 분만장에서 복강경 시술이나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거나, 수술장에서 제왕절개분만을 시행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분만장을 운영하기 때문에 분만장 간호사의 업무 범위가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제왕절개분만율은 어떤 수준인가? 우리나라의 제왕절개분만율은 2008년에 36.3%로(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 2009a), 이는 우리나라 여성들과 산과적 조건이 유사한 일본이나 타이완 또는 미국에 거주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산모(2006년 30.6%)보다 높은 수준으로, 멕시코(2007년 39.
의료서비스의 질을 평가하고 이에 따라 비용을 가감지급함으로써 의료의 질 향상과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을 도모하는 정책으로 무엇을 시행중인가? 이에 정부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평가하고 이에 따라 비용을 가감지급함으로써 의료의 질 향상과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을 도모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 그 일차 지표로써 의료기관별로 차이가 큰 제왕절개분만율(예측 제왕절개분만율실제 제왕절개분만율 값)을 활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2007년부터 3년 동안 진료비명세서 정보를 토대로 의료기관별 위험도를 보정한 예측 제왕절개분만 율과 실제 제왕절개분만율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적을 5등급으로 구분한 후 1등급 의료기관에는 수가를 2% 가산지급하는 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 또한 2010년부터 예측 제왕절개분만율과 실제 제왕절개분만율 비교평가 결과를 토대로 수가를 가산 또는 감산하여 지급하는 가감지급제(Payment for performance)를 종합병원까지 확대적용하고 있다(HIRA, 2010).
필요한 수준 이상의 제왕절개분만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7%)에 이어 세계 3위에 해당되는 수준이다(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9). WHO는 제왕개분만율이 7%를 크게 상회할 경우 제왕절개분만으로 인한 이득이 거의 없고 오히려 필요 이상의 제왕절개분만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의료가 요구된다고 강조하였는데(AbouZahr & Wardlaw, 2001), 이처럼 필요한 수준 이상의 제왕절개분만은 오히려 산모와 신생아의 유병과 사망위험을 높일 뿐 아니라 의료자원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원인이 된다(Childbirth Connection,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ouZahr, C., & Wardlaw, T. (2001). Maternal mortality at the end of a decade signs of progress?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79, 561-568. 

  2.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Lake, E. T., & Cheney, T. (2008). Effects of hospital care environments on patient mortality and nurse outcome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 223-229. http://dx.doi.org/10.1097/01.NNA. 0000312773.42352.d7PMCID: PMC2586978 

  3. Almeida, S., Bettiol, H., Barbieri, M. A., Silva, A. A., & Ribeiro, V. S. (2008).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sarean section rates between a private and a public hospital in Brazil. Cadernos de Saude Publica, 24, 2909-2918. 

  4. Buchan, J. (2004). A certain ratio? Minimum staffing ratios in nursing: A report for the Royal College of Nursing. London: RCN. 

  5. Chalmers, B., Mangiaterra, V., & Porter, R. (2001). WHO principles of perinatal care: The essential antenatal, perinatal, and postpartum care course. Birth, 28, 202-207. 

  6. Chen, C. S., Lin, H. C., Liu, T. C., Lin, S. Y., & Pfeiffer, S. (2008). Urbanization and the likelihood of a cesarean section.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141, 104-110. 

  7. Childbirth Connection. (2006). Listening to mothers II: Report of the second national U.S. survey of women's childbearing experiences. America: Author 

  8. Forster, D. A., McLachlan, H. L., Yelland, J., Rayner, J., Lumley, J., & Davey, M. A. (2006). Staffing in postnatal units: Is it adequate for the provision of quality care? Staff perspectives from a state-wide review of postnatal care in Victoria, Australia. BioMedCentral Health Services Research, 6, 83. http:// dx.doi.org/10.1186/1472-6963-6-83 

  9. Garcia, F. A., Miller, H. B., Hugginns, G. R., & Gordon, T. A. (2001). Effects of academic affiliation and obstetric volume on clinical outcome and cost of childbirth.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ies, 97, 567-576. 

  10.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9a). Evaluation and follow up report on cesarean section in Korea. Seoul: Author. 

  11.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1). Cesarean section rate evaluation result by hospitals. Retrieved June 1, 2011, from http://www.hira.or.kr/rec_infopub.hospinfo.do? methodlistDiagEvl&pgmidHIRAA030004000000 

  12.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9b). Nurse staffing grade by hospitals. Retrieved May 1, 2009, from http://www.hira.or.kr/rdc_hospsearch.hospsearch.do? methodhospital&pgmidHIRAA030002000000 

  13.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0). 2010 report about appropriateness of cesarean: Preliminary test payment for performance. Seoul: Author. 

  14. Hodnett, E. D., Stremle, R., Willan, A. R., Weston, J. A., Lowe, N. K., Simpson, K. R., et al., SELAN (Structured Early Labour Assessment and Care by Nurses) Trial Group. (2008). Effect on birth outcomes of a formalized approach to care in hospital labour assessment units: Internation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337, a1021. http:// dx.doi.org/10.1136/bmj.a1021 

  15. Hopkins, K. (2000). Are Brazilian women really choosing to deliver by cesarea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1, 725-740. 

  16. Hugonnet, S., Villaveces, A., & Pittet, D. (2007). Nurse staffing level and nosocomial infections: Empirical evaluation of the casecrossover and case-time-control design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5, 1321-1327. 

  17. Kane, R. L., Shamliyan, T., Mueller, C., Duval, S., & Witt, T. (2007). Nursing staffing and quality of patient care. AHRQ publication 07-E005.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Quality and Research. 

  18. Kim, Y. M., & Go, S. K. (2002). Factors Determining Cesarean Section Frequency Rates of the OBGY Clinics in Metropolitan A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 , 389-401. 

  19. Kim, Y. M., Cho, D. S., Cha, B. H., Hur, M. H., Oh, H. S., & Kim, E. Y. (2007). A study of the health policy for the cesarean section rate reduction. Seoul: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 Kim, Y. M., Kim, J. Y., June, K. J., & Ham, E. O. (2010). Changing trend in grade of nursing management fee by hospital characteristics: 2008-2010.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99-109. 

  21. Lee, S. I., Khang, Y. H., Yun, S., & Jo, M. W. (2005). Rising rates, changing relationships: caesarean section and its correlates in South Korea, 1988-2000.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12, 810-819. 

  22. Liberto, J., Peiro?, S., & Caldero?n, S. M. (2000). Inter-hospital variations in cesarean sections. A risk adjusted comparison in the Valencia public hospital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4, 631-636. 

  23. Lin, H. C., Xirasagar, S., & Liu, T. C. (2007). Doctors' obstetric experience and Caesarean section (CS): Does increasing delivery volume result in lower CS likelihood?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13, 954-957. 

  24.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06). Notification No. 2006- 105. 2006. 12.18. 

  25. Ontario Women's Health Council. (2000). Attaining and maintaining best practices in the use of caesarean sections-An analysis of four Ontario hospitals. Toronto, Ontario: Author. 

  26.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9). 2009 Health data CD. 

  27. Park, J. O., Kim, H. Y., Roh, G. S., Roh, Y. D., Park, M. B., So, J. E., et al. (2010). Comparison of nursing activity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grade of nursing management fee in one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95-105. 

  28. Wax, J. R., Cartin, A., Pinette, M. G., & Blackstone, J. (2005). Patient choice cesarean-the Maine experience. Birth, 32, 203-206. 

  29. West, E., Mays, N., Rafferty, A. M., Rowan, K., & Sanderson, C. (2009). Nursing resources and patient outcomes in intensive car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 , 993-1011. 

  30. Yun, S. G., Park, Y. J., Kim, K. H., & Han, C. H. (2010).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nursing in according to the nursing grade of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5 (3),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