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EG-8 Capryliccapric Glycerides와 Polyglyceryl-3 Diisostearate를 이용한 마이크로 에멀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Microemulsion with PEG-8 Capryliccapric Glycerides and Polyglyceryl-3 Diisostearate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8 no.3, 2012년, pp.209 - 217  

김경민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김성호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이근수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강기춘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표형배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 마이크로 에멀젼은 잘 알려져 있는 처방이다. 액정형 에멀젼은 마이크로 에멀젼의 한 종류이며, 액정형 에멀젼은 기능성 성분을 포집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액정은 이름이 의미하듯이 액체와 고체 결정의 중간의 성질을 가지는 물질 상태이다. 주로 계면활성제 이중층 또는 마이셀로 이루어지는데 종류도 다양하고 모양도 상당히 많다. 최근, 마이크로 에멀젼은 콜로이드 과학 분야에서 열역학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PEG-8 Capryliccapric Glycerides 와 Polyglyceryl-3 Diisostearate 유화제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오일과 유화제의 함량 및 2가지 유화제의 비율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 에멀젼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액정형 에멀젼의 일종인 페이셜 오일과 클렌징 오일을 개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popular formulations is microemulsion in cosmetics. A kind of microemulsions is liquid crystal emulsion. Liquid crystal emulsion is used by wrapping functional ingredients. As the meaning of the name, Liquid crystals (LCs) are a state of matter that has properties between those of a con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의 목적은 PEG-8 Capryliccapric Glycerides와 Polyglyceryl-3 Diisostearate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에멀젼을 만들고, 오일의 종류에 따라 마이크로 에멀젼의 생성 영역을 파악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액정은 어떠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액정은 계면활성제와 물과 오일의 배합으로 되며 계면활성제의 친수기 쪽에 물이 친유기 쪽에 오일이 용해된 구조이다. 오일, 물 이온성 계면활성제, 중간 정도의 체인을 가진 알코올을 혼합하면 투명한 계가 자연적으로 생성되는데 이것을 마이크로 에멀젼이라고 한다, 최근의 콜로이드 과학의 분야에서는 마이크로 에멀젼을 오일물-양친매성 물질로 된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하나의 액상으로 열역학적으로 안정하며 팽윤된 큰 미셀이 분산한계로 있으면 마이크로 에멀젼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마이크로 에멀젼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마이크로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안정하게 분산된 액체/액체 시스템이며, 그 사이즈는 10 ~ 100 nm 정도로 알려져 있다. 특징은 여러 조건 하에서 안정하며, 제조하기가 간단하고 용해성이 뛰어나고, 활성성분의 피부 침투 촉진제 기능도 있다[5].
액정이란 무엇인가? 액정(Liquid crystal)이란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결정과 액체의 중간상태라고 할 수 있다. 즉, 액체도 아니고 고체도 아닌 중간 상태의 물질이라고 표현하며, 다르게는 제3의 물질이라고도 표현한다. 즉, 결정과 같이 분자배열이 규칙적이지는 않지만, 액체보다는 비교적 규칙적인 상태를 액정 또는 메조페이스(meso-phase)라고도 말한다[1-3].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액정의 기술은 계면활성제에 의한 유화기술과 함께 아주 다양한 제형과 효능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I. Y. Kim, H. C. Ryoo, and C. K. Zhoh, Liquid crystalline technology of cosmetic industry and moisturizing effect of ski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0, 279 (2004). 

  2. I. Y. Kim, J. D. Lee, H. C. Ryoo, and C. K. Zhoh, Formation of liquid crystalline with hydrogenated lecithin and its effectivenes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0, 159 (2004). 

  3. C. K. Zhoh, I. Y. Kim, and C. G. Han, Preparation of liquid crystalline with gemini surfactant ,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0, 369 (2004). 

  4. B. D. Park, M. J. Lee, J. G. Lee, and S. H. Lee,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lamella liquid crystal to skin care produ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6, 93 (2000). 

  5. H. E. Junginger, Colloidal structures of O/W creams, Pharmaceutisch Weekbad Scientific Edition, 6, 141 (1984). 

  6. U. Citernesi and M. Sciacchitano, Phospholipid/ active ingredient complexes, Cosmetics&Toiletries, 110, 57 (1995). 

  7. R. G. Ackman, C. A. McLeod, and A. K. Banerjee, An overview of analyses by chromarod-iatrosan TLC-FID, J. Planar Chrom., 3, 450 (1990). 

  8. S. Fukushima, M. Yamaguch, and F. Harusawa, Effect of cetosteary alcohol on stabilization of oil in water emulsion, J. Collodand Interface Science, 59, 159 (1997). 

  9. E. T. Higgins, W. S. Rholes, and C. R. Jones, Category accessibility and impression form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3, 141 (19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