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 집단에서 집단 따돌림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정신병리 현상
Prevalence of School Bullying and Related Psychopatholog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3 no.3, 2012년, pp.143 - 153  

권순재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박태원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박선희 (전라북도교육청) ,  양종철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영철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상근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prevalence rate of school bullying and its related psychopathology. Methods : A total of 3,550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 self-report questionnaire on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in school bul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및 5학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집단 따돌림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피해아동과 가해아동 그리고 집단 따돌림의 경험이 없는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심리적, 인격적 성향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여 이들의 따돌림 양상, 정서문제, 행동문제, 정신병리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즉, 최근 6개월간의 따돌림 가해, 피해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들을 대조군, 가해군, 피해군, 피해-가해군으로 분류하며 이들의 임상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가 개발한 것으로 부모 및 교사용으로 개발된 Child Behavior Checklist(CBCL)에 대비되는 척도로서 12-18세 소아청소년용 자기보고식 평가도구이다. 소아청소년 자신의 적응능력과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해 평가하도록 고안되었다. CBCL과 마찬가지로 크게 사회능력 척도와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로 구분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및 5학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집단 따돌림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피해아동과 가해아동 그리고 집단 따돌림의 경험이 없는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심리적, 인격적 성향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여 이들의 따돌림 양상, 정서문제, 행동문제, 정신병리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즉, 최근 6개월간의 따돌림 가해, 피해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들을 대조군, 가해군, 피해군, 피해-가해군으로 분류하며 이들의 임상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수준의 유병률은 1990년대 초반 Whitney와 Smith22) 가 영국에서 6,0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대규모의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의 2배 이상이었으며 2001년 국내에서 53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또래지명 설문지 등을 이용하여 시행된 연구보다 높았다.23) 이러한 결과는 유럽이나 미국의 유병률보다는 높았고 홍콩이나 일본의 결과와는 비슷한 수치였다. 이번 연구에서 미국이나 유럽보다 따돌림 유병률이 높게 나타난 것은 따돌림 평가 척도가 다르고 이번 연구에서 따돌림의 기준을 지난 6개월동안 한 번이라도 따돌림을 가하거나 피해 입었던 경우로 폭넓게 정했기 때문일 수도 있고, 미국이나 유럽의 따돌림 형태가 아시아권과 다르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소아청소년기는 학교를 통해 다양한 인간관계를 습득해가는 시기이다. 소아청소년기에 경험하게 되는 인간관계의 특성은 개인의 인격형성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인생의 전 과정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소아청소년기의 경험은 어떻게 중요한가? 소아청소년기는 학교를 통해 다양한 인간관계를 습득해가는 시기이다. 소아청소년기에 경험하게 되는 인간관계의 특성은 개인의 인격형성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인생의 전 과정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학교 현장에서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개개인의 특성과 이해관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부정적인 관계형성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소아청소년기의 학교 현장에서 이루게 되는 관계는 어떠한가? 소아청소년기에 경험하게 되는 인간관계의 특성은 개인의 인격형성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인생의 전 과정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학교 현장에서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개개인의 특성과 이해관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부정적인 관계형성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관심이 되는 현상으로는 ‘따돌림(bullying)’을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Dawkins J. Bullying in schools: doctors' responsibilities. BMJ 1995; 310:274-275. 

  2. Reid K. Retrospection and persistent school absenteeism. Educ Res 1983;25:110-115. 

  3. Kaltiala-Heino R, Rimpela M, Marttunen M, Rimpela A, Rantanen P. Bullying,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Finnish adolescents: school survey. BMJ 1999;319:348-351. 

  4. Berger KS. Update on bullying at school: science forgotten? Dev Rev 2007;27:90-126. 

  5. Eslea M, Rees J. At what age are children most likely to be bullied at school? Aggress Behav 2001;27:419-429. 

  6. Choi ES. A study of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bullying. Seoul: Sogang Univ.;2000. 

  7. Lee KS.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bullying and Self-Concept and Impulsivity. Daejeon: Deajeon Univ.;2006. 

  8. Kovacs M, Beck AT. An empirical 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In: Schulterbrant JG, Raskin A, editors. Depression in Childhood: Diagnosis, Treatment, and Conceptual Models. New York: Raven Press;1977. 

  9. Cho SC, Lee Y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943-955. 

  10. Speilberger CD. Preliminary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Palo Alto: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73. 

  11. Choi JS, Cho SC. Assessment of anxiety in childre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691-702. 

  12. DuPaul GJ.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ADHD symptoms: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community-based sample. J Clin Child Psychol 1991;20:245-253. 

  13. Kim YS, So YK, Noh JS, Choi NK, Kim SJ, Koh YJ. Normative data on the Korean ADHD Rating Scales (K-ARS) for parents and teach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3;42:352-359. 

  14. So YK, Noh JS, Kim YS, Ko SG, Koh YJ.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arent and teacher ADHD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281-289. 

  15. Achenbach T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1991. 

  16. Oh K, Lee H, Hong K, Ha E. K-CBCL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checklist manual. Seoul: Chung Ang Aptitude Pressing;1997. 

  17. Achenbach TM. Manual for the Youth Self-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1991. 

  18. Oh KJ, Ha EH, Lee HR, Hong KE. K-YSR, Korean youth self report. Seoul: Chung Ang Aptitude pressing;2001. 

  19. Mass R. Characteristic subjective experiences of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2000;26:921-931. 

  20. Mass R, Haasen C, Borgart EJ. Abnormal subjective experiences of schizophrenia: evaluation of the Eppendorf Schizophrenia Inventory. Psychiatry Res 2005;135:91-101. 

  21. Chung YC, Kang NI, Im YJ, Kim SW, Cho IH, Lee YM,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pendorf Schizophrenia Inventory as a screening measure to detect adolescents at ultra-high risk for psychosis. Early Interv Psychiatry 2012. [Epub ahead of print] 

  22. Whitney I, Smith PK. A survey of the nature and extent of bullying in junior/middle and secondary schools. Educ Res 1993;35:3-25. 

  23. Kim YS, Koh YJ, Noh JS, Park MS, Sohn SH, Suh DH, et al. School Bullying and Related Psychopatholog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1;40:876-884. 

  24. Taki M. Japanese School Bullying: Ijime a survey analysis and intervention program in school. Proceedings of the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Bullying: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ct 19; Canada: Queen's University;2001. 

  25. Wong DS. School bullying and tackling strategies in Hong Kong.Int J Offender Ther Comp Criminol 2004;48:537-553. 

  26. Nansel TR, Overpeck M, Pilla RS, Ruan WJ, Simons-Morton B, Scheidt P. Bullying behaviors among US youth: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JAMA 2001;285:2094-2100. 

  27. Espelage DL, Meban SE, Swearer SM. Gender differences in bullying: Moving beyond mean level differences. In: Espelage DL, Swearer SM, editors. Bullying in american schools: a social-ecological perspective 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Hilsdale: Erlbaum;2004. p.15-35. 

  28. Pelegrini A, Long JD. A longitudinal study of bullying, dominance, and victimiz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school through secondaty school. Br J Dev Psychol 2002;20:259-280. 

  29. Solberg M, Olweus D. Prevalence estimation of school bullying with the Olweus bully/victim queationnaire. Aggress Behav 2003;29:239-268. 

  30. Choi YJ, Jhin HK, Kim JW. A study on the personality trait of bullying and victimized school childrens.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1;12:94-102. 

  31. McGlashan TH, Johannessen JO.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with schizophrenia: rationale. Schizophr Bull 1996;22:201-222. 

  32. McGlashan TH, Johannessen JO.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with schizophrenia: rationale. Schizophr Bull 1996;22:201-222. 

  33. Stephenson P, Smith D. Bullying in the junior school. In: Tattum DP, Lane DA, editors. Bullying in schools. Stoke on Trent. Staffordshire: Trentham books;1989. p.45-57. 

  34. Kochenderfer BJ, Ladd GW. Peer victimization: cause or consequence of school maladjustment? Child Dev 1996;67:1305-1317. 

  35. Kim YS, Leventhal BL, Koh YJ, Hubbard A, Boyce WT. School bullying and youth violence: causes or consequences of psychopathologic behavior? Arch Gen Psychiatry 2006;63:1035-1041. 

  36. Shin DW, Lee SM. Characteristics of the bully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9;20:90-96. 

  37. Kim YS, Leventhal BL, Koh YJ, Boyce WT. Bullying increased suicide risk: Prospective study of Korean adolescents. Arch Suicide Res 2009;13:15-30. 

  38. Ha EH, Lee SJ, Oh KJ, Hong KE. Parent-adolescent agreement in the assessment of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 comparison of factor structures of K-CBCL and YSR.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8;9:3-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