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자 청소년에서 식품군 점수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비만 관련 신체계측치의 평가: 2007-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related to Obesity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according to Dietary Diversity Scor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09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7 no.4, 2012년, pp.419 - 428  

배윤정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trient intak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related to obesity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according to dietary diversity score. We analyzed data from the combined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subjec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2~18세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품군 점수에 따른 비만과 관련된 신체계측치,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 영양소 및 식품 섭취의 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1일 열량 섭취량은 1,796.
  • 현대 사회 여자 청소년의 경우 과체중과 저체중이 공존하고 있으며 영양 섭취 불균형 상태가 남자 청소년에 비해 높기 때문에, 균형되고 다양한 식품의 섭취를 통한 올바른 체격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품군 점수에 따른 비만과 관련된 신체계측치,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 식사의 질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여자 청소년의 바람직한 건강 및 식사관리를 위한 영양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양섭취기준 대비 대상자별 섭취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비율 및 평균 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영양의 질적 지수(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는 개인의 영양소 섭취량을 섭취 열량 1,000 kcal에 해당하는 식이 내 영양소 함량으로 환산하고 이를 에너지 필요추정량 1,000 kcal당 개개 영양소의 권장 섭취량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계산하였다(Hansen 1973).
  • 식품 섭취의 다양성이 영양소 섭취상태 및 비만 관련 신체계측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군 점수(DDS)에 따라 군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DDS는 한국 청소년의 식사의 질 평가에 적합한 식품군 조성시 최소량 기준에 대한 선행연구(Um 등 2006)를 참고하여, 섭취한 식품들을 6가지 식품군(곡류군, 육류군, 유제품군, 과일군, 채소군, 유지류군)으로 분류한 후 1일에 여섯 가지 식품군을 최소량 이상 섭취하면 6점을 부여하고 한 군이 빠질 때마다 1점씩 감하는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특징은?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성장과 발달이 급격히 일어나는 동시에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전체 생애주기 중 열량 및 영양소의 필요량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또한 청소년기는 식사습관이 형성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는 바람직한 식습관 및 균형잡힌 영양소의 섭취를 통하여 적절한 신체적 성장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을 도모함이 중요하다.
청소년기의 영양 불균형이 미치는 영향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는 영양 섭취 과다 및 영양 섭취 불량으로 야기된 영양 불균형으로 인해 다양한 임상적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청소년기의 영양 섭취 불량은 정상적인 신체 기능 유지 및 지적기능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청소년 중에서도 여학생인 경우는 체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 자신의 체형을 실제 체형보다 살찐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자신의 체형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반면 비만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섭식장애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 Jung 2007).
한국의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부적절한 식사양상은? 또한 청소년기는 식사습관이 형성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는 바람직한 식습관 및 균형잡힌 영양소의 섭취를 통하여 적절한 신체적 성장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을 도모함이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청소년은 빈약한 아침식사, 잦은 결식, 고열량 및 저영양 식품의 섭취, 식사시간의 불규칙 등과 같은 부적절한 식사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ang 2001; Kim & Ba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rker DJP (1992): Fetal and infant origins of adult disease. British Medical Journal Publishing, London 

  2. Barker DJP (1994): Mothers, babies, and diseases in later life. British Medical Journal Publishing, London 

  3. Beardsworth A, Keil T (1997): Sociology on the menu. Routledge London 

  4. Chang N, Jo D, Hwang J, Kang E (1998): Assessment of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North Koreans utilizing an exhaustive literature search and survey. Korean J Nutr 31(8): 1338-1346 

  5. Chang N, Kang EY, Lee JM, Lee MK (2000a):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dietary patterns of North Korean migrant children in China. Korean J Nutr 33(3): 324-331 

  6. Chang N, Hwang JY (2000b): Food shortage, nutritional deprivation, and reduced body size in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J Nutr 33(5): 540-547 

  7. Choi SK, Park SM, Jung H (2010): Still life with less: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in South Korea show continued poor nutrition and physique. Nutr Res Pract 4(2): 136-141 

  8. Choue RW, Hong JY, Yim JE (1997): The changes of dietary intakes in the defectors from North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4): 470-476 

  9. DPRK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2): Report on the DPRK nutrition assessment, 2002. Available from http://www.unicef.org/ dprk/resources_254.html [cited 2012 June 15] 

  10. DPRK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5): DPRK 2004 nutrition assessment Report of survey results. Available from http:// www.unicef.org/dprk/resources_254.html [cited 2012 June 15] 

  11. FAO, WFP (2011): FAO/WFP crop and food security assessment mission to the democratic peopleis republic of Korea. Available from http://www.wfp.org/content/dpr-korea-faowfp-crop-and-foodsecurity- assessment-november-2011 [cited 2012 June 15] 

  12. Gibson RS (1990):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3. Gluckman P, Hanson M (2006): Developmental origins of health and disea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4. Hoffman DJ, Sawaya AL, Verreschi I, Tucker KL, Roberts SB (2000): Why are nutritionally stunted children at increased risk of obesity? Studies of metabolic rate and fat oxidation in shantytown children from Sao Paulo, Brazil. Am J Clin Nutr 72(3): 702-707 

  15. Hwang JY, Chang N (2001): Dietary patterns and nutrient intake in North Koreans by utilizing literature search and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6(3): 371-379 

  16. Kim SG (2011): Physical health status of North Korean migrants in South Korea.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Health of North Korean Migrants, pp.97-118 

  17.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Available from www.cdc.go.kr [cited 2012 June 15]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2009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10 

  20. Lee SK, Sobal J, Frongillo EA (1999): Acculturation, Food Consumption, and Diet-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mericans. J Nutr Educ 31(6): 321-330 

  21. Lee SK, Sobal J, Frongillo EA (2000): Acculturation and Health in Korean Americans. Soc Sci & Med 51(2): 159-173 

  22. Lee SK (2003): Dietary acculturation in Korean Americans. J Community Nutr 5(4): 246-253 

  23. Ministry of Unification (2012): 2012 Unification white paper. Available from http://www.unikorean.go.kr [cited 2012 June 04] Ministry of Unification (2012): The statistic of displaced North Korean. Available from http://www.unikorean.go.kr [cited 2012 June 04] 

  24. North Korea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 UNICEF. Demographic Peopleis Republic of Korea: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09. Poyngyang, DPR Korea, 2010 

  25. Park YS, Rhee KC, Lee KY, Rhee EY, Yi SH, Kim DN, Choi YS (1997): A glance at the health status and food intake of North Koreans. Korean J Community Nutr 2(3): 396-405 

  26. Park YS, Rhee KC, Lee KY, Rhee EY, Yi SH, Kim DN, Choi YS, Seok D (1999): Dietary living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defectors. Korean J Community Nutr 4(1): 64-73 

  27. Satia-Abouta J, Patterson RE, Neuhouser ML, Elder J (2002): Dietary acculturation: applications to nutrition research and dietetics. J Am Diet Assoc 102(8): 1105-1118 

  28. Shim JE (2011): Dietary quality of future Korea after reunification. In: Quality improvement of family life quality improvement of North Koreans in reunited Korea. Conference proceeding, Incheon, Korea, pp. 15-30 

  29. Shim JE, Yoon J, Jeong SY, Park M, Lee YS (2007): Status of early childhood and maternal nutri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2): 123-132 

  3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p. 33-43 

  31. Yeoh YJ, Yoon JH, Shim JE (2009): Relation of breakfast intake to diet quality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4(1): 1-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