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 운전 시 WRSM의 성능 향상 및 IPMSM과 비교
High Speed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WRSM and its Comparison with the IPMSM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61 no.11, 2012년, pp.1595 - 1600  

채웅찬 (한양대 공대 전기공학과) ,  김미정 (한양대 공대 전기공학과) ,  이기덕 (한양대 공대 전기공학과) ,  이재준 (한양대 공대 전기공학과) ,  한정호 (한양대 공대 전기공학과) ,  정태철 (한양대 공대 전기공학과) ,  이주 (한양대 전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hows an improvement of the WRSM (Wound Rotor Synchronous Motor) by satisfying the voltage limit condition at high speed. After that, it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he improved WRSM to that of the IPMSM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The comparison has been made unde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비희토류계 전동기 중 하나인 회전자 권선형 동기전동기와 Traction용으로 설계된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를 동일한 고정자 외경, 극수와 적층길이의 제약 조건에서 특성 차이를 비교하고 WRSM의 특성 향상 방안에 대해 논한다.
  • 현재 이러한 견인용 전동기로 출력밀도가 높은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PMSM)가 대부분 사용되어 왔지만, 영구자석의 고온과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불가역 감자영향, 무엇보다도 폭등하는 가격 등의 이유로 비희토류계 전동기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비희토류계 전동기들 중에서 발전기로 주로 사용되다가 최근 Traction용 전동기로 주목 받고 있는 회전자 권선형 동기전동기(WRSM)에 대해서 분석하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RSM의 특징은 무엇인가? WRSM의 다른 특징으로는 제어 변수가 id , iq , if로 IPMSM의 id , iq보다 많아 다양한 제어방식이 존재한다[1]. 제어변수가 많다는 것은 다양한 방법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제어가 더 복잡해질 수 있다[2].
비희토류계 전동기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 및 에너지 고갈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EV와 HEV의 시장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현재 이러한 견인용 전동기로 출력밀도가 높은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PMSM)가 대부분 사용되어 왔지만, 영구자석의 고온과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불가역 감자영향, 무엇보다도 폭등하는 가격 등의 이유로 비희토류계 전동기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비희토류계 전동기들 중에서 발전기로 주로 사용되다가 최근 Traction용 전동기로 주목 받고 있는 회전자 권선형 동기전동기(WRSM)에 대해서 분석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IPMSM에서 고정자를 고정시킨 채 회전자 형상을 회전자권선형으로 변경하여 비교해보고 더 나은 운전을 위해 WRSM을 개선한 후에 비교한 결과 어떠한가? IPMSM에서 고정자를 고정시킨 채 회전자 형상을 회전자권선형으로 변경하여 비교해보고 더 나은 운전을 위해 WRSM을 개선한 후에 비교해 보았다. 회전자만을 단순히 권선형으로 바꾼 기본모델의 경우 최대토크와 고속 시의 출력 모두 성능이 저하 되었지만 고정자 턴수를 줄이고 회전자의 크기를 키운 개선모델에서 최대토크 값은 IPMSM보다는 낮지만 더 높은 역률과 최대토크 운전영역이 더 넓고, 고속 시에는 출력, 효율 및 역률 모두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G. Friedrich, "Experimental comparison between Wound Rotor an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achine for Integrated Starter Generator applications", Energy Conversion Congress and Exposition 2010 IEEE, pp.1731-1736, 2010 

  2. Claudio Rossi, "Wound Rotor Salient Pole Synchronous Machine Drive for Electric Traction", Industry Applications Conference 2006 IEEE, vol.3, pp.1235-1241, 2006 

  3. 김원호, "EV 견인용 IPM 동기전동기의 NE-MAP 기반 설계", 학위논문(박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4. 채웅찬, "최대 계자전류에 따른 권선형 동기전동기의 제어법 분석",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07-P-093, 2012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