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Study on the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the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High Schools: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2 no.3, 2012년, pp.597 - 617  

정현철 (KAIST) ,  채유정 (KAIST) ,  류춘렬 (KAIS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Research and Education(R&E)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에 운영된 과학고와 영재고 21개 학교의 R&E 과제 현황과 참여자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총 1,466명의 학생과 310명의 지도자를 대상으로 인식과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고 18개교, 영재고 3개교에서 총 502개의 R&E 과제가 운영되었다. 이 중 362과제(72.1%)는 교수위주의 지도 형태이며, 교사단독 지도는 117과제(23.3%), 교수자문 지도는 23과제(4.6%)로 나타났다. 참여한 인원은 지도자가 861명(지도교수 385명, 지도교사 476명), 학생이 2,168명이며, R&E에 투입된 총 예산은 약 45억이다. 분석 결과 R&E 운영에 있어 1) 주제 선정 시 학생의 사전지식과 교육과정을 고려하고 2) 주제와 관련된 충분한 기초학습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3) 수행 과정의 주기적인 점검 및 주도적인 연구 기회의 제공이 요구된다. 그리고 4) 지속적 연구관련 정보 지원과 5) 연구 수행환경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 The sample included 21 high schools(18 science high schools and 3 gifted high schools) and 1,466 students and 310 men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tal 502 R&E projects were planned and com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사교육이란? 사사교육은 영재교육에 있어 전통적인 교육방법이며, 모든 시대와 문화를 통해 전해져 내려왔다. 전통적인 의미에서 사사교육이란 도제제도로서, 특정 분야의 거장(master)아래 소수의 도제(apprentices)가 수년간의 교육을 받는 형태였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사사교육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 그리고 동일한 분야에 관심과 재능을 가진 학생들이 관계를 맺고 교육 활동을 수행하는 형태이다(최호성 외, 2003). 사사교육은 인지적 도제, Vygotsky의 사회적 구성주의, 상황학습, 구성주의 학습 등 다양한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과학의 본질에 가깝게 과학을 경험할 수 있는 실제 과학탐구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박은영, 2007; 박종원, 2009) 과학영재교육 상황에서도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는 교육 형태이다 (Torrance, 1984).
사사교육이 지니는 의의는 무엇인가? 사사교육은 인지적 도제, Vygotsky의 사회적 구성주의, 상황학습, 구성주의 학습 등 다양한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과학의 본질에 가깝게 과학을 경험할 수 있는 실제 과학탐구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박은영, 2007; 박종원, 2009) 과학영재교육 상황에서도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는 교육 형태이다 (Torrance, 1984). 더불어 사사교육은 학교라는 제한된 공간에 비해 광범위한 능력과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영재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Tannenbaum, 1983).
사사교육의 효과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사사교육의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사사교육의 효과는 크게 인지적 영역의 효과와 정의적 영역의 효과로 구분할 수 있다. 인지적 영역의 효과는 창의성의 계발(Nash & Treffinger, 1986; Noller, 1982; Pleiss & Feldhusen, 1995; Torrance, 1984), 과제 집중력 증가(Torrance, 1984), 메타인지 능력의 발달(Ambrose et al., 1994; Beck, 1989; Bowers & Flinders, 1990), 특수아의 성취 증가(Clasen & Hanson, 1987), 학습 장애 개선(Lambert & Lambert, 1982; Lengel, 1989)을 들 수 있으며, 정의적 영역의 효과는 흥미와 관심, 자신감의 증가(Casey, 2000; Macdonald & Sherman, 2007)와 인간관계와 동료관계의 발달(Casey, 2000; Pleiss & Feldhusen, 1995; Torrance, 1984), 자아존중감 증가(Moore et al., 1978)를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경대, 심재영 (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2. 박은영 (2007). 영재들의 지식공유와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구성주의적 E-Mentoring 시스템의 조건 분석 및 설계. 중등교육연구, 55(2), 81-111. 

  3. 박종원 (2009).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 준비와 유형에 대한 논의. 과학영재교육, 1(3), 1-19. 

  4. 심규철, 박경애, 길지현 (2009). 과학적 연구 기반 과학영재 사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제과학영재학회지, 3(1), 9-19. 

  5. 이광형, 편은진, 김영주, 한상준 (2007). 과학영재를 위한 e-mentoring 활성화방안. KAIST과학영재교육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19. 

  6. 이선길 (2006). 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 연구(R&E) 프로젝트 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7. 정영란 (2003). 웹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이 학습자의 태도, 학습 결과 및 성찰적 실천 과정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8. 정현철, 류춘렬, 채유정 (2012).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실태 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안: R&E 운영담당자 면담사례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2), 243-264. 

  9. 최호성, 강호감, 서혜애, 박일영, 이혁우, 이진희, 박경희, 박지현 (2003). 연구와 교육(R&E)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정책연구보고서 2002-5092. 

  10. 편은진, 이선길, 오혜미, 이범진 (2008). 일반 과학고와 영재고등학교 R&E 실태 비교를 통한 지원 방안 특성화 연구. KAIST과학영재교육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40. 

  11. Allen, T. D., Poteet, M. L., & Burroughs, S. M. (1997). The mentor's perspective: A qualitative inquiry and future research agenda.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1(1), 70-89. 

  12. Allen, T. D., & Eby, L. T. (2003). Relationships effectiveness for mentors: Factors associated with learning and quality. Journal of Management, 29(4), 469-486. 

  13. Ambrose, D., Allen, J., & Huntley, S. (1994). Mentorship of the highly creative. Roeper Review, 17(2), 131-134. 

  14. Beck, L. (1989). Mentorship: Benefits and effects on career development. Gifted Child Quarterly, 33(1), 22-28. 

  15. Bowers, C. A., & Flinders, D. J. (1990). Responsive teaching: An ecological approach to classroom patterns of language, culture, and thought. NY: Teachers College Press. 

  16. Casey, K. M., & Shore, B. M. (2000). Mentor's contributions to gifted adolescents' affective, social, and vocational development. Roeper Review, 22(4), 227-230. 

  17. Clasen, D. R., & Hanson, M. (1987). Double mentoring: A process for facilitating mentorships for gifted students. Roeper Review, 10, 107-110. 

  18. Ellingson, M. K., Haeger, W. W., & Feldhusen, J. F. (1986). The Purdue mentor program: A university-based mentorship experience for GICIT children. Gifted Child Today, 9(2), 2-5. 

  19. Haeger, W. W., & Feldhusen, J. F. (1989). Developing a mentor program. East Aurora, NY: D.O.K. Publishers. 

  20. Harris, R. (1985). The in/out approach to locating mentor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Today, 37(2), 10-11. 

  21. Lambert, S. E., & Lambert, J. W. (1982). Mentoring: A powerful learning device. Gifted Child Today, 25(6), 12-13. 

  22. Lengel, A. (1989). Mentee/mentor: Someone in my comer. Gifted Child Today, 12(1), 27-29. 

  23. Moore, B. A., Feldhusen, J. F., & Owings, J. (1978). The Professional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minority and/or low income gifted and talent high school students. West Lafayette, IN: Purdue University Department of Education. 

  24. Nash, D., & Treffinger, D. (1986). The mentor. East Aurora. NY: D.O.K. Publishers. 

  25. Noller, R. B. (1982). Mentoring: A voiced scarf. Buffalo, NY: Bearly Limited. 

  26. Pleiss, M. K., & Feldhusen, J. F. (1995). Mentors role models, and heroes in lives of gifted children. Educational Psychologist, 30(3), 159-169. 

  27. Purdy, P. (1981). The great mentor hunt: Suggestions for the search. Gifted Child Today, 16(1), 18-20. 

  28. Shim, K. C., & Kim, Y. S. (2005). Science gifted learning program: Research & education mode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6), 635-641. 

  29. Tannenbaum, A. (1983). Gifted children. NY: Macmillan. 

  30. Torrance, E. P. (1984). Mentor relationships: How they aid creative achievement, endure, change and die. Buffalo, NY: Bearly Limited. 

  31. VanTassel-Baska, J. (1989). Counseling the gifted. In J. F. Feldhusen, J. VanTassel-Baska, & K. Seeley (Eds.), Excellence in educating the gifted (pp. 299-314). Denver, CO: Love Publishing. 

  32. Wiley, T. T. (2009). Elements of effective practice for mentoring (3rd Edition). Alecandria, Va: MetLife Foundation. Retrieved December 1, 2010, from http://www.mentoring.org/downloads/mentoring_1222.pdf 

  33. Wilson, J. E., & Elman, N. (1990). Organizational benefits of mentoring.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4(4), 88-94. 

  34. Young, A. M., & Perrewe, P. L. (2000). What did you expect? An examination of career-related support and social support among mentors and proteges. Journal of Management, 26(4), 611-6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